■ 이전
 ▶ 1907
            안창호(30)를 중심으로 국내 비밀결사 단체인
            신민회가 조직됨.
 ▶ 1909.2
            신민회 산하에 청년학우회(흥사단의 전신)를 설립함.
 ▶ 1910 경술국치 
 ▶ 1911
            105인 사건(신민회 사건)으로 신민회와 청년학우회가 해체됨.
          
            ■ 흥사단
□ 미주 활동
 ▶ 안창호는
            미국에서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장에 취임하여
 - 대중적인 정치 단체가 아닌, 민족의 실력 양성을 목표로 하는
              핵심 인재 양성 단체를 구상함. 
 ▶ 1912 흥사단 창립
            위원으로 8도 대표를 선임하고,
 ▶ 1913.5
            샌프란시스코에서 흥사단 창립총회 개최함.
 - 민족의
            자립과 발전을 위해서, 실천과 용기를 바탕으로 행동하는 정신을 기르는
            단체
 ↘ 1907~1911
              국내에서 유길준이 동명의 ‘흥사단’을 운영
□ 중국 활동
 ▶ 1920
            상반기에 상하이에서 흥사단 단원을 모집하여, 하반기에 원동위원부를 발족함. 
 ▶ ~1949 중화인민
            공화국 수립될 때까지 존속함.
 - 이상촌 건설
            운동과 민족유일당 운동에 관여하고, 한국독립당(1930)의 재정적 후원을 담당함.
□ 국내 활동
 ▶ 1921
            흥사단 단원이 국내에 들어와
 ▶ 1922.2
            수양동맹회를 발기하고, 이광수는 민족개조론(1922.5)을 발표함.
 ▶ 1922 봄
            대성학교(안창호가 세운 학교) 출신 상공인 중심으로 동우구락부
            결성되어,
 ▶ 1923.1
            동우구락부 창립대회가 열림.
 ▶ 1926.1
            수양동맹회와 동우구락부는 안창호의 권유로 수양동우회로 통합함. 
 - 수양 단체로 정치와 시사에 관여하지 않았고,
            잡지 ‘동광’을 발행함.
 ▶ 중국 관내에서
            민족유일당 운동이 일어나고(1926)
            국내에서 신간회가
            창립되자(1927),
 ▶ 미주 본부, 원동위원부, 수양동우회는 흥사단의
            개조를 요구했지만, 이광수와 안창호는 별도 개혁당 조직을 주장하며
            반대함.
 ▶ 1929.11
            수양동우회는 명칭을 동우회로 변경하고,
 ▶ 1931~
            동아일보와 함께 브나로드 운동을 주도함.
 ▶ 1937.6~1938.3 동우회 사건 
 - 조선총독부는 동우회가 미국 한인사회와 연계되어 있고, 기독교계 및
            사회문화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어 직접적인 탄압을 가함.
 - 또한,
            민족·문화운동을 주도하는 이들을 전향시켜 조선인 동원에 활용하고자
            했고, 그 결과 일부는 일제에 협력함.
 - 1937.7
            중일 전쟁
          
            ■ 광복, 이후
 ▶ 흥사단은
            미군정에 참여했으며,
 ▶ 1946
            국내위원부를 설치하여 조직을 재정비함.
 ▶ 1948
            흥사단 본부를 서울로 이전
 ▶ 1948.8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자, 미군정에서 활동한 흥사단 인사들은 권력에서 배제됨.
 - 이는
            안창호의 흥사단과 이승만의 동지회 간 경쟁과
 - 두
            집단의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인식 차이가 이어진 것으로 보임.
 ▶ 1960
            4.19 혁명으로 제2공화국
            정부가 들어서며 정부 요직을 차지함.
 ▶ 1961
            5.16 군사 정변이
            일어나 활동을 중지당함.
 ▶ 1963.7
            활동 재개하여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