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중국, 북방 대륙
연대
대한민국
우리의 유산, 문화, 기억 등
일본, 열도

기원전


호모 사피엔스 출현

BCE
390만년 ~ 1만년

구석기

마지막 빙하기 끝

선사 시대

아프리카 대륙)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출현 약 390만년 전

아프리카 대륙) 사피엔스 출현 약 20만년 전

BCE
3,900,000 ~ 10,001

구석기 문화 발생 약 70만년 전
 - 이동생활, 뗀석기

마지막 빙하기 끝 약 12,000년 전

평안남도 상원의 검은 모루 동굴 유적 구석기 시대
경기도 연천 전곡리 유적 구석기 시대
흥수 아이 약 40,000년 전

메소포타미아 문명

이집트 문명

신석기

BCE
100~31C

신석기

선사 시대

조몬 문화

메소포타미아 문명) 3,500년 경
 -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

이집트 문명) 3,000년 경
 - 나일강 유역

신석기 시대 시작 8,000-6,000년 경
 - 황허강 유역

BCE
10,000 ~ 3,001

신석기 문화 발생 10,000-8,000년 경
 - 간석기, 농경과 목축, 정착생활, 빗살무늬 토기

서울 암사동 유적지 5,000-4,000년 경

조몬 토기 사용

인더스 문명

황허 문명

BCE
30~21C

☀️고조선 건국

인더스 문명) 2,500년 경
 - 인더스강 유역

황허 문명) 2,500년 경
 - 황허·창장강 유역

BCE 3,000 ~ 2,001

☀️고조선 [단군왕검, 평양성] 2,333
 - '동국통감'에 따르면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

미케네 문명

상 왕조

주 건국

BCE
20~11C

청동기 보급

미케네 문명

아리아인 인더스강 유입 1,500년 경

상(은) 왕조 성립 1,600년 경
 - 갑골문, 청동 무기

주 건국 1,122년 경
 - 봉건제, 천명사상

BCE 2,000 ~ 1,001

청동기 보급 2,000-1,500년 경
 - 농경의 발달, 사유재산 발생

기자조선? 1,122~BCE195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민무늬 토기

아리아인

BCE 10C

아리아인 1,000년 경
 - 갠지스강까지 세력 확대
 - 브라만교 형성, 베다 경전

1,000 ~ 901

BCE 9C

900 ~ 801

춘추 시대 시작

BCE 8C

주 나라) 낙읍 천도 770년 경
 - ⚔️춘추 시대 시작
 - 춘추오패: 제 환공, 진 문공, 초 장왕, 오 합려, 월 구천

800 ~ 701

BCE 7C

고조선, 기록상 첫 등장

700 ~ 601

고조선, 기록상 첫 등장

불교 창시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BCE 6C

불교 창시 6C 경
 - 싯다르타 560~480년 경
 - 카스트제, 브라만교 비판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 서아시아 통일 525
 - 지중해로 세력 확대

600 ~ 501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전국 시대 시작

BCE 5C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492~479
 → 💥펠로포네소스 전쟁 431~404

⚔️전국 시대 403~221
 - 전국 칠웅: 진, 조, 위, 한, 제, 연, 초

500 ~ 401

마케도니아 동방원정

마우리아 왕조

BCE 4C

철기문화 보급

💥알렉산드로스 동방원정 334
 - 이집트 멸망
 - 그리스 멸망
 - 아케메네스 왕조 멸망
 - 인더스강 서북쪽 진출

마우리아 왕조 317~
 - 통일 인도 제국

400 ~ 301

만주와 한반도에 철기문화 보급 400년 경

연 나라와 대립

로마) 이탈리아 반도 통일

진 중국 통일

한(전한) 건국, 진 멸망

BCE 3C

야요이 문화

로마) 이탈리아 반도 통일
 - 💥포에니 전쟁 승리
 - 지중해 장악


진 중국 통일_진시황제 221
 - 춘추전국시대 종료
 - 문자, 화폐, 도량형 통일
 - 만리장성 축조
 - 진 멸망 206

한(전한) 건국 202 - 중국 재통일

300 ~ 201

고조선 왕위 세습

벼농사 중심 농경 사회
 - 청동기 등 금속기 전래 3C 경
 - 야요이 토기 사용

비단길 개척

BCE 2C

위만의 정권 탈취

🏳️고조선 멸망

한 나라)
 - 서역에 장건 파견 BCE 139 → 비단길 개척
 - 💥위만조선🐯, 남월(베트남), 흉노를 공격

200 ~ 101

고조선) 위만의 정권 탈취 BCE 194 → 위만 조선


🏳️고조선 멸망 BCE 108 → 한 군현 설치

부여, 옥저와 동예, 삼한의 성장

제정 로마 성립

BCE 1C

☀️신라 건국

☀️고구려 건국

☀️백제 건국


기원


쿠샨 왕조

후한 성립

CE 1C

☀️금관가야 건국

쿠샨 왕조 CE 45

신 건국 CE 8

후한 성립 CE 25

베트남) 쯩 자매의 봉기 CE 40~43
 - 후한에 반란

1 ~ 100

고구려) 국내성 천도 CE 3

☀️금관가야 [김수로, 낙동강 하류] CE 42


왜) 노국왕
 - 후한에 조공하여 왕이라는 인정을 받음 57

제지술 개량

황건적의 난

CE 2C

고구려) 왕권 강화

제지술 개량 105년 경 : 채륜

⚔️황건적의 난 184

101 ~ 200

고구려_9. 고국천왕) 왕위 부자 세습, 💰진대법 시행 194

사산 왕조 페르시아 성립

후한 멸망, 삼국시대

진(晉) 건국

CE 3C

백제) 체제 정비

야마타이 국

사산 왕조 페르시아 성립 226
 - 동·서 중계무역

후한 멸망 220
 → 삼국시대 시작


진(晉) 건국 280 - 중국 통일

201 ~ 300

백제_8. 고이왕 즉위 - 율령 반포, 관등제 실시

30여개의 소국 연합체

게르만 대이동

밀라노 칙령

로마 분리

5호 16국 시대

동진 성립

CE 4C

고구려) 체제 정비

불교 전래

백제의 전성기

야마토 정권

게르만 대이동 4~6C
 → 유럽에 게르만 왕국들을 건설

밀라노 칙령 313
 - 크리스트교 공인


로마 분리 395
 - 서로마, 동로마(비잔티움)

5호 16국 시대 304~
 - 북쪽에 다섯 이민족과 남쪽 16개 국가의 시기

동진) 317 - 진 나라가 남으로 이주


북위) 선비족 386

301 ~ 400

고구려_미천왕) 💥낙랑군 지역 차지 313


💥고구려_고국원왕) ← 백제의 공격_근초고왕 371

# 백제의 전성기

고구려_소수림왕) 🙏불교 공인 372, 태학 설립 372, 율령 반포 373

백제_침류왕) 🙏불교 공인 384

칠지도 제작·전달 4C경 추정

야마토 정권 성립 4C경 - 통일 국가 형성

서로마 제국 멸망

힌두교 성립

송 건국

남북조 시대 시작

CE 5C

고구려) 남진 정책

신라, 백제) 나·제동맹 결성

💥고구려) 한강 유역 확보

고구려의 전성기


💥서로마 제국 멸망 476 ← 게르만족의 침입

굽타 왕조) 힌두교 성립 500년경

송 건국, 동진 멸망 420

북위) 화북을 통일 439
 - 남북조 시대 시작


북위) 낙양 천도 493

401 ~ 500

고구려_장수왕) 평양 천도(남진 정책) 427

신라, 백제) 나·제 동맹 결성 433


백제_개로왕) ← 💥고구려의 한강 유역 확보, 백제의 웅진 천도 475

# 고구려의 전성기

신라, 백제) 결혼 동맹 493

고구려) 부여 복속 494

충주 고구려비 5C로 추정

광개토대왕릉비 414

호우명 그릇 415

동로마(=비잔티움) 전성기

돌궐 제국 성립

수 건국, 남북조 시대 종료

CE 6C

신라) 체제 정비

💥신라) 한강 유역 차지

신라의 전성기

백제로부터 불교 수용

아스카 시대

비잔티움)
 - 중앙 집권체제 구축

💥비잔티움과 사산 왕조 페르시아의 대립 6C말
 → 아라비아해와 홍해 부근 교통로 활성화


돌궐 제국 성립 552

수 건국 581
 → 중국 통일, 남북조 시대 종료 589
 - 문제: 과거제, 균전제
 - 💥고구려 침략🐯 598

501 ~ 600

신라_22. 지증왕) 우경 보급 502, 💥우산국 정복 512 : 이사부

신라_23. 법흥왕)
 - 병부 설치 517, 율령 반포와 🙏불교 공인 527, 상대등 임명 531, 골품제 정비
 - 금관가야 통합 532

백제_성왕) 사비 천도('남부여'로 개칭) 538


신라_진흥왕)
 - 💥한강 유역 차지 551, 💥관산성 전투 554
 - 💥대가야 정복 562


단양 신라 적성비 진흥왕 때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568.10 이후 추정 - 국보 3호

신라) 황룡사 완공 569

신라) 화랑도 재편 576

고구려) 온달과 평강공주(평원왕의 딸)

백제)  정림사지 오층석탑 600년 전후 - 국보 9호

외국에서 문물 수입, 유교 전래
 - 백제에서 오경박사 파견 513
 - 백제로부터 불교 수용 538?, 552?


스이코 즉위 576
 - 아스카 시대 시작
 → 쇼토쿠 태자 섭정 593

이슬람교 성립

당 건국, 수 멸망

현장의 인도 여행

CE 7C

💥고구려) 수의 침략, 당의 침략

신라) 💥삼국 통일

☀️발해 건국

쇼토쿠 태자 섭정

다이카 개신

이슬람교 성립 610년 경
 - 헤지라(이슬람 기원) 622
 → 시아파, 수니파 분리

수_양제) 💥고구려 침략🐯 612

당 건국 618
 - 💥수 멸망 619
 - 현장의 인도 여행 629~645
 - 문성공주가 토번(티베트)으로 출가 640 → 불교전파

당_태종) 💥고구려 침략🐯 645

당_고종) 💥서돌궐, 백제, 고구려 침략🐯

601 ~ 700

고구려_영양왕) 💥살수대첩 612 : 을지문덕 ← 수) 양제

신라_선덕여왕) 💥대야성 전투 642 ← 백제) 의자왕

고구려_보장왕) 💥안시성 전투 645 ← 당) 태종

나·당 동맹 648
 → 🏳️백제 멸망 660 - 💥황산벌 전투 : 김유신, 계백, 관창
 → 🏳️고구려 멸망 668
 → 나·당 전쟁


신라_30. 문무왕) 💥삼국통일 676 → 통일 신라

☀️발해 건국 [대조영, 동모산] 698

신라) 🙏화쟁사상, 일심사상 7C 중후반 : 원효

신라) 의상 625~702

신라) 첨성대 선덕여왕대로 추정(632~647), 월지 건설 674

신라) 설총 665~미상

쇼토쿠 태자 섭정 ~622
 - '법령 17조' 제정 604
 - 호류사 건립 607

1차 견당사 파견 630

을사의 변 → 다이카 개신 645
 - 일왕 중심의 중앙집권체제


육식금지령 675

국호 일본 사용 7C 말

아바스 왕조

후우마이야 왕조

제지법이 서양으로 전파

안사의 난

CE 8C

발해의 성장기

통일 신라) 안정기 → ⚔️혼란기

나라 시대

헤이안 시대


아바스 왕조 성립 750

후우마이야 왕조 756~
 - 이베리아 반도

카롤루스 대제의 서로마 황제 대관 800

위구르 제국 성립 744


💥탈라스 전투 751
 - 아바스 왕조와 전쟁, 제지법이 서양으로 전파

⚔️안사의 난 755~763
 → 절도사 권한 강화

701 ~ 800

# 발해의 성장기


통일 신라) 💰녹읍 부활 757 → 왕권 약화

⚔️통일 신라) 자연재해와 지배층의 권력 다툼 8C 말

통일 신라) 독서삼품과 설치 788

무구정광대다라니경 한역 704로 추측

통일 신라)  법주사 쌍사자 석등 720 추정 - 국보 5호

'왕오천축국전' 저술 727 : 혜초


통일 신라)  탑평리 칠층석탑 8C 후반 추정 - 국보 6호

통일 신라) 불국사와 석굴암 건립 시작 751

통일 신라) 성덕대왕 신종 771

다이호 율령 반포 701

나라 시대 710~794


도다이사 대불 완성 752

헤이안 시대 794~1185
 - 불교 정치 개입 저지
 - 왕권 약화, 지방 무사 세력 성장

황소의 난

CE 9C

발해의 최대의 영토 확보

통일 신라) 호족 성장, 6두품 대두

견당사 폐지

위구르 제국 멸망 848


⚔️황소의 난 875

801 ~ 900

# 발해의 최대의 영토 확보

통일 신라) ⚔️김헌창의 난 822


통일 신라) 청해진 건설 828 : 장보고 - 해상 무역 장악

통일 신라) 51. 진성여왕 887~897
 → ⚔️원종과 애노의 난 889 - 농민 봉기의 시작
 → 호족 세력 확대, 6두품의 개혁 요구

☀️후백제 건국 [견훤, 무진주] 900

통일 신라)  중초사지 당간지주 827 - 보물 4호

통일 신라)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828 이후 - 국보 10호


최치원 귀국 884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 890 - 국보 8호

 경주 포석정지 신라 헌강왕 대 - 사적 1호 


견당사 폐지 894
 - 당에 조공하던 것을 폐지


고려시대


5대 10국 시대

거란 부족 통일

송(북송) 중국 통일

CE 10C

☀️고려 건국

후삼국 통일

💥1차 고려 거란 전쟁

무사의 성장

당 멸망 907
 → 💥5대 10국 시대 시작

거란 부족 통일 916
 → 요 건국 946


송(북송) 건국 960
 - 중국 통일 979

901 ~ 1,000

☀️후고구려 건국 [궁예, 송악] 901 - 철원 천도 904

☀️고려 건국 [1. 태조 왕건, 철원] 918
 - 🙏팔관회 918, 🙏연등회 ?, 송악 천도 919
 - 후삼국 통일 936 - 💥고창 전투 930, 통일 신라 멸망 935, 💥후백제 멸망 936
 - 💰역분전 지급 940, 훈요 10조 943

🏳️발해 멸망 926 → 발해 부흥 운동 927

4. 광종 즉위 949
 - 노비안검법 실시 956, 과거제 실시 958, 공복 지정 960


5. 경종 즉위 975 - 💰전시과 실시 976

6. 성종 즉위 981
 - 오조정적평·시무 28조 982 : 최승로, 12목 설치 983
 - 🙏대장경 도입 991, 📚국자감 설치 992
 - 💥1차 고려 거란 전쟁 993 - 🤝강화 회담 : 서희 → 강동 6주 확보

7. 목종 즉위 997 : 천추태후

 고달사지 승탑 고려 전기 추정 - 국보 4호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975 - 보물 5호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977 이전 - 보물 6호

 고달사지 석조대좌 10C 후반 - 보물 7호

헤이안 시대 중엽
 - 치안 악화 → 무사, 무사단 발전

교회의 대분열

카노사의 굴욕

1차 십자군 출정

전연의 맹

서하 건국

CE 11C

💥2차 고려 거란 전쟁

💥3차 고려 거란 전쟁 → 잠시 큰 전란 종료

셀주크 튀르크 건국 1037
 → 바그다드 입성 1055


교회의 대분열 1054
 - 로마 카톨릭(서유럽), 동방 기독교(동유럽)

카노사의 굴욕 1077 - 교황권 강화

💥1차 십자군 출정 1095

송) 전연의 맹 1004
 - 요 나라와 굴욕적 조약 체결

서하 건국 1038
 → 비단길 길목 차지

송이 요에 바치는 공물 증가 1042


왕안석 신법 시행 1069

1,001 ~ 1,100

7. 목종 997 - ⚔️강조의 정변 1009

8. 현종 즉위 1009
 - 💥2차 고려 거란 전쟁 1010 : 양규, ⚔️김훈·최질의 난 1014
 - 💥3차 고려 거란 전쟁 · 귀주대첩 1018 : 강감찬

9. 덕종 즉위 1031
 - 천리장성 축조 1033~1044

11. 문종 즉위 1046
 - 📚9재 학당 설립 1055 이후 : 최충 → 📚사학 12도 형성


벽란도 무역 11C 초

 봉선홍경사 갈기비 1026 - 국보 7호


🙏흥왕사 완공 1067

🙏초조대장경 완성 1087

천태종 개창 1097 : 의천

금 건국

남송 시작

성리학 창시

CE 12C

⚔️문벌 사회 갈등

⚔️무신 정변 → 무신 집권기 시작

농민과 천민의 봉기

상감 청자 제작

가마쿠라 막부 성립

금 건국) 만주 여진족 1115
 → 💥요(거란) 멸망 1125
 → 정강의 변, 북송 멸망 1126
 → 남송 시작 1127


'사서집주' 완성 1177 : 주희
 - 성리학 창시

1,101 ~ 1,200

15. 숙종 1095 -  별무반 편성 1104

16. 예종 즉위 1105
 - 💥여진 정벌과 9성 축조 1107 : 윤관 → 동북 9성 반환 1109

17. 인종 즉위 1122 → 문벌 체제 갈등의 표면화
 - ⚔️이자겸의 난 1126 : 척준경
 - 서경 천도 운동 → ⚔️묘청의 난 1135

18. 의종 즉위 1146 - ⚔️무신 정변 1170 : 정중부 → 김보당의 난 1173


# 초기 무신 집권기 1170
 - 19. 명종 즉위 1170
 - ⚔️망이·망소이의 난 1176, ⚔️김사미의 난 1193

# 최씨 무신집권기 1196
 - 20. 신종 즉위 1197
 - ⚔️만적의 난 1198

상감 청자 제작 12C

'삼국사기' 편찬 1145 : 김부식


지눌 1158~1210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1185 - 보물 8호

동명왕편 1193


기마쿠라 막부 성립 1185
 - 일본 특유의 봉건제 무사 정권 시작
 - 국교는 없고, 민간 무역은 활발

9차 십자군 원정

오스만 튀르크 건국

칭기즈 칸 정복 전쟁

원 제국 성립

CE 13C

💥몽골의 침략

원 간섭기 시작

개경 환도 → 무신 집권기 종료

권문세족 등장

팔만대장경 조판

성리학 전래

원의 침략

영국) 마그나 카르타(대헌장) 제정 1215
 - 국왕의 권리를 문서로 명시


9차 십자군 원정 실패 1272
 → 교회 분열, 왕권 강화

오스만 튀르크 건국 1299~1922

테무진이 칭기즈 칸에 추대 1206
 - 몽골족 통합

몽골 제국🐯
 - 💥서하, 금 멸망 1234
 - 💥호라즘 원정
 - 원 제국 성립 1271 : 쿠빌라이 칸 1260~
 - 남송 멸망, 중국 통일 1279


마르코 폴로가 대도(베이징)에 도착 1275

1,201 ~ 1,300

# 최씨 무신집권기
 - 21. 희종 즉위 1204, 교정도감 설치 1209
 - 22. 강종 즉위 1211, 23. 고종 즉위 1213
 - 💥거란족의 침략 1216 → 💥강동성 전투 1218
 - 💥몽골의 1차 침략 1231 → 강화 천도 1232 → 💥몽골의 지속적 침략 1232~1254


# 후기 무신 집권기 1258.3
 - 쌍성총관부 1258.12

# 원 간섭기 시작 1259

24. 원종 즉위 1259
 - 동녕부 1270~1290
 - 무신 집권기 종료·개경 환도 1270 → 삼별초의 저항 ~1273
 - 💰녹과전 지급 1272

25. 충렬왕 즉위 1274
 - 몽골의 일본 원정 1274, 1281
 - 도평의사사로 개칭 1279, 정동행성 1280, 성균관으로 개칭 1298

26. 충선왕 즉위 1298.1 → 폐위, 충렬왕 복위 1298.8

권문세족 등장 13C 말

 장정리 오층석탑 고려 후기 - 보물 9호

🙏팔만대장경 조판 1236~1251


삼국유사 13C : 일연 1206~1289

원으로부터 성리학을 소개 충렬왕 때 : 안향 1243~1306


1차 몽골의 침략 1274

2차 몽골의 침략 1281
 → 가마쿠라 막부 쇠퇴


조선시대


흑사병 창궐

르네상스 시작

홍건적의 난

명 건국

CE 14C

공민왕의 반원개혁정치

신흥 무인 세력과 신진사대부

⚔️위화도 회군

☀️조선 건국

무로마치 막부 성립

흑사병 창궐 1347~
 → 노동력 부족
 → 임금 상승
 → 농민 지위 향상

이탈리아에서 르네상스 시작 14~15C

원) 순제 1333
 - 기황후 책봉🐯 1340


원) 홍건적의 난🐯 1351
 → 한족의 주도

명 건국) 홍무제(주원장) 1368
 - 원(몽골 세력)은 북으로 이주(북원)

이갑제 실시 1381

1,301 ~ 1400

26. 충선왕 복위 1308

만권당 설치 1314

29. 충목왕 즉위 1344

30. 충정왕 즉위 1348
 - 💥왜구의 침입 본격화 1350


31. 공민왕 즉위 1351
 - 반원 개혁 정치 1356
 - 💥홍건적의 침입 1359, 1361
 - 신돈 집권기 1365~1370 → 💰전민변정도감 1366, 성균관 재건 1367 등 → 신진사대부 형성 : 이색
 - 자제위 구성 1372

32. 우왕 즉위 1374
 - 💥홍산대첩 1376 : 최영, 💥진포대첩 1380 : 최무선, 💥황산대첩 1380 : 이성계
 - 철령위 설치 사건 1388 → 요동 정벌 추진

⚔️위화도 회군 1388 → 33. 창왕 즉위 1388, 34. 공양왕 즉위 1389
 - 💥대마도(쓰시마) 정벌 1389 : 박위
 - 💰과전법 공포 1391, 선죽교 사건 1392.4 : 정몽주

☀️조선 건국 [1. 태조 이성계, 개경] 1392 : 정도전
 - 한양 천도 1394, ⚔️1차 왕자의 난 1398

2. 정종 즉위 1398
 - 개경 천도, ⚔️2차 왕자의 난 1400, 삼군부·의정부로 개칭 1400

3. 태종 즉위 1400

목화 재배 시도 1364 : 문익점


직지심체요절 1377

천상열차분열지도 1395

 흥인지문(동대문) 1396 - 보물 1호

 숭례문(남대문) 1398 - 국보 1호

가마쿠라 막부 멸망 1333

무로마치 막부 성립 1336
 - 남북조 대립
 - 조선과 국교, 명에 조공🐯


남북조 통일 1392

비잔티움 제국 멸망

신항로 개척

서인도 제도 발견

정화의 항해

자금성 건설

CE 15C

훈민정음 반포

경국대전 편찬, 완성 및 반포

훈구파와 사림의 등장

류큐국 건국

전국 시대 시작


💥비잔티움 제국 멸망 1453 ← 오스만 제국
 - 콘스탄티노플 함락

신항로 개척
 - 에스파냐, 포르투갈 중심
 → 유럽의 경제 무대가 지중해에서 대서양으로 변경

아메리카 서인도 제도 도착 1492
 - 콜롬버스

명) 영락제 즉위 1402
 - 정화의 항해 1405~1433
 - 자금성 건설, 베이징 천도 1421

토목보의 변 1449


1,401 ~ 1,500

3. 태종 - 왕권 강화와 국가 체계 정비
 - 호패법 시행 1402, 한양 천도 1405, 🙏불교 탄압 정책
 - 민무구의 옥 1407~

4. 세종 즉위 1418
 - 강상인의 옥 1418
 - 💥대마도 정벌(기해동정) 1419 : 이종무, 계해약조 1443
 - 장영실과 기기 제작, 💥4군 6진 개척 1434~1443
 - 💰공법 실시 1444, 훈민정음 창제 및 반포 1443, 1446.9

5. 문종 즉위 1450 - 군제를 '5사'로 개편


6. 단종 즉위 1452 - ⚔️계유정난 1453

7. 세조 즉위 1455 - 훈구파 성장
 - 사육신 사건 1456 → 집현전 혁파 1456, 경국대전 편찬 시작
 - 💰직전법 시행 1466, 이시애의 난 1467

8. 예종 즉위 1468 - 남이의 옥사 1468

9. 성종 즉위 1469 - 문치주의 → 사림 성장
 - 💰관수관급제 시행 1470, 홍문관 승격 1478, 경국대전 반포 1485

10. 연산군 즉위 1494 - 훈구파와 사림 대립 심화 → 무오사화 1498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1402

삼강행실도 1434

측우기 제작 1441

용비어천가 1445

몽유도원도 1447 - 안견/안평대군


 원각사지 십층석탑 1467 - 국보 2호

 옛 보신각 동종 1468 - 보물 2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1471 - 보물 3호

견명선 파견 1401 - 명과 국교 수립
 → 명일(감합) 무역 시작

류큐국 건국 1429


⚔️오닌의 난 1467~
 → 전국(센고쿠) 시대 시작

르네상스 확산

루터의 교회 비판

명 쇠퇴

서학 전래

CE 16C

사화

사림의 정계 주도, 붕당 정치 시작

💥임진왜란

일본에 조총 전래

일본 통일

조선 침략

르네상스 확산
 - 남유럽에서 북, 서유럽으로

루터의 교회 비판 1517
 - 성당 증축 비용을 위한 면벌부 판매 비판

마젤란의 세계 일주 시작 1519

인도) 무굴 제국 성립 1526

칼뱅의 종교 개혁 1536


💥영국이 에스파냐 무적함대 격파 1588


만리장성 보수 16C 중반 → 재정난
 → 장거정의 개혁 정치 1572 - 일조편법 전국 시행
 → 💥임진왜란 참전🐯, 여진족과의 전쟁
 → 재정 부담

마테오 리치가 마카오에 도착 1582
 → '곤여만국전도' 제작 1602

서학 전래 16C 말
 - 조선은 사신을 통해 간접적으로 서학과 접촉🐯

1,501 ~ 1,600

10. 연산군 - 갑자사화 1504, ⚔️중종반정 1506

11. 중종 즉위 1506
 - 💥삼포왜란 1510 → 임신약조 1512
 - 조광조의 개혁정치, 기묘사화 1519, 신사무옥 1521, 작서의 변 1527
 - 백운동 서원 건립 1543 : 주세붕 → 소수서원 개칭 1548

12. 인종 즉위 1544 - 재위 8개월 만에 승하


13. 명종 즉위 1545 - 문정왕후의 권력 장악
 - 을사사화 1545, 양재역 벽서사건 1547 등 사화 지속
 - 💥을묘왜변 1555 → 비변사 정식 기구화 1555

14. 선조 즉위 1567
 - 사림의 정계 주도권 장악 1575?, 붕당 형성, 기축옥사(정여립 모반사건) 1589
 - 💥임진왜란 1592.4 → 탄금대 전투 1592.4
 → 정암진 전투 1592.4 : 곽재우, 이순신 출전과 한산도대첩 1592.7, 진주대첩 1592.10 : 김시민, 행주대첩 1593 : 권율
 → 훈련도감 설치 1593
 → 💥정유재란 1597 - 명량해전 1597.9, 노량해전 1598

# 암행어사 파견 중종 때부터

퇴계 이황 1501~1570

황진이 중종대로 추정?

한석봉 1543~1605


오성과 한음(이항복과 이덕형)

임꺽정 활동 1559~1562

허균 1569~1618

십만 양병설, 율곡 이이 1536~1584

논개 ~1593

포르투갈인이 조총 전래 1543


나가사키 개항 1571

무로마치 막부 쇼군 추방 1573 : 오다 노부나가

일본 통일(전국 시대 종료) 1590 : 도요토미 히데요시

💥조선 침략🐯 1592

필리핀에 일본인 마을 건설 1592
 - 필리핀은 스페인의 식민지이자 동서양의 주요 무역항

청교도 혁명

후금·청 건국

청 중국 통일, 명 멸망

CE 17C

경기도 대동법 시행

💥병자호란

예송 논쟁과 환국

에도 막부

산킨코타이 제정

영) 아메리카 이주 개척

영) 청교도 혁명 1642~1649
 → 공화정 수립
 → 명예 혁명 1688
 → 권리장전 승인 1689
 - 입헌군주정 수립

유럽)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 1648
 - 자국의 영토에 대한 주권


여진족 통합_누르하치
 → 후금 건국 1616

타이완(대만) 점령 1624 ← 네덜란드

명) 이자성의 난 1636
 → 명 멸망, 대순 건국 1644
 → 대순 멸망 1645

청 건국_후금 1636
 - 💥조선 침략🐯 1636
 - 중국 통일 1644


동녕국 건국) 정성공 1661 - 타이완(대만) 점령
 → 청에 항복 1683

청) 삼번의 난 1673~1681

청) 러시아와 네르친스크 조약 1689

1,601 ~ 1,700

# 서학 전래 17C 초

15. 광해군 즉위 1608
 - 💰경기도 대동법 시행 1608, 기유약조 1609
 - 계축옥사 1613, 💥심하(사르후)전투 1619, ⚔️인조반정 1623

16. 인조 즉위 1623
 - ⚔️이괄의 난 1624, 💥정묘호란 1627
 - 💰영정법 1635, 💥병자호란 1636 → 삼전도의 굴욕(정축화약) 1637

17. 효종 즉위 1649 - 북벌론, 나선정벌 1654


18. 현종 즉위 1659 - 기해예송 1659 : 송시열, 갑인예송 1674 : 윤휴

19. 숙종 즉위 1674
 - 💰상평통보 주조 1678
 - 경신환국 1680, 기사환국 1689, 갑술환국 1694
 - 회니시비 1681 → 병신처분 1716
 - 안용복 사건 1693, 1696

징비록 1604 - 유성룡 1542~1607

동의보감 완성 1610 : 허준 1539~1615

벨테브레(박연) 제주도 표류 1627

삼학사 1637

소현세자 귀국 1645


'시헌력' 채택 1653 - 지금의 '음력'

하멜의 조선 체류 1653~1666

 사인비구 제작 동종 8점 1667~1711 - 보물 10~17호

정선 1676~1759

실학의 발달 17C 이후

에도 막부 수립 1603 : 도쿠가와 이에야스
 - 막번 체제(중앙 집권적 봉건 체제)
 - 일왕 정치 배제, 병농 분리

슈인선 무역 1604 - 허가 받은 상인만 무역

산킨코타이(참근교대) 제정 1635
 - 막부의 통제력 강화와 중앙 집권 안정화

해금령(쇄국) 반포 1641
 - 데지마(인공섬)에 네덜란드만 허용 1641
 - 영국이 상선 통상 요구 1673


나가사키에 청 상관(무역 사무소) 건설 1689

산업혁명 시작

미국 독립

프랑스 대혁명

다민족 대제국 건설

광둥 체제 성립

CE 18C

대동법 전국 시행

탕평책 시행

수원 화성 축성

# 양난 이후 시대


영) 산업혁명 시작
 - 면직물 공업 분야
 - 증기 기관 개량 1769

미국 독립
 - 보스턴 차 사건 발생 1773
 → 독립 선언문 발표 1776
 → 미국 정부 수립 1789

프랑스 대혁명 1789~
 - 삼부회 소집 1789.5 루이 16세
 → 테니스코트 선언, 바스티유 감옥 습격
 → 인권선언 발표 1789.8
 → 입헌군주제 수립, 공화정 수립
 → 급진파의 공포정치
 → 나폴레옹 쿠테타 1799.11

청) 지정은제 실시 1716?

청) 공행 설립 1720
 → 외국과 교역 독점 1760

청) 건륭제 즉위 1735
 → 💥신장, 중가르(몽골), 티베트 복속


청) 💰광둥 체제 성립 1757
 - 외국 무역을 광동에 한정

청) 백련교의 난 1796

1,701 ~ 1,800

19. 숙종 - 💰대동법이 전국적으로 시행 1708

20. 경종 즉위 1720 - 신임사화(신축환국, 임인년 옥사) 1721~1722

21. 영조 즉위 1724 - 탕평책 실시 1725
 - 이인좌의 난 1728, 기유처분 1729
 - 속대전 편찬 1746, 💰균역법 1750
 - 을해옥사 1755, 사도세자 사건 1762


22. 정조 즉위 1776
 - 규장각 설치 1776, '대전통편' 완성 1785, 장용영 설치 1788
 - 💰신해통공 1791
 - 🙏신해박해 1791, 수원 화성 축성 1794~1796, 🙏을묘박해 1795

23. 순조 즉위 1800

# 신분제 동요, 서민 문화 발달, 서당 교육 확대의 시작

곤여만국전도 모사 1708

'백두산정계비' 건립 1712
 - 압록강과 토문강을 경계로 국경을 정함

어사 활동 1727~ - 박문수 1691~1756

김홍도 1745~미상


택리지 1751 - 이중환

미인도 미상 - 신윤복 1758~미상

북학의 1778 - 박제가 1750~1805

열하일기 1783 - 박지원 1737~1805

풍속화 유행 18C 후반

산킨코타이 완화 1722

교호 대기근 1732


요네자와번에서 번교(교육기관) 개교 1776

덴메이 대기근 1782~

빈 체제

프랑스 혁명

증기 기관차 제작

💥1차 아편 전쟁 → 청 개항

💥2차 아편 전쟁 → 열강의 간섭이 본격화 됨

1801 ~1859
(19세기)

세도정치 시작

⚔️홍경래의 난

김대건 사제 서품

미·일 수호 통상 조약

빈 체제 1814~1815
 - 혁명과 전쟁 방지
 → 이에 저항하며 자유주의와 민족주의가 확산

영) 증기 기관차 제작 1814
 - 현재의 기관차와 유사한 형태


프랑스 혁명
 - 7월 혁명 1830 → 입헌군주정 수립
 - 2월 혁명 1848 → 공화정 수립


💥1차 아편 전쟁 1840 ← 영국
 → 난징 조약 1842 → 치외법권 허용 및 홍콩 할양

태평천국 운동 1851~

애로호 사건 1856
 → 💥2차 아편 전쟁 ~1860 ← 영국, 프랑스
 → 톈진조약 1858 → 외국 대사관 설치
 → 베이징 조약 1860 → 조계지 확대 및 구룡반도 할양

19C
초중반

23. 순조 - 세도정치의 시작
 - 공노비 해방 1801, 🙏신유박해 1801
 - 세도정치 → 삼정의 문란
 - 곡산 민란 1811, ⚔️홍경래의 난 1811~1812, 제주 민란 1813
 - 효명세자 수렴청정 1827~1830


24. 헌종 즉위 1834
 - 🙏기해박해 1839, 🙏병오박해 1846
 - 낙선재 건축 1847

25. 철종 즉위 1849 - 세도정치 절정

목민심서 완성 1818 - 정약용 1762~1836


세한도 1844 : 김정희(59)

천주교 사제 서품 1845 : 김대건(25)


페리 제독 내항 1853~
 → 미·일 화친 조약 1854
 → 미·일 수호 통상 조약 1858

미) 남북전쟁

양무운동

1차 사이공 조약

1860~

⚔️임술 농민 봉기

고종 즉위, 흥선대원군 실권 장악

💥병인양요

위정척사 운동 등장

메이지 유신 → 제국주의 시작

미) 💥남북전쟁 1861~1865
 - 노예 해방 선언 1863


양무운동 1861~
 - 중국 전통 유지, 서양 기술 흡수

베트남) 1차 사이공 조약 1862
 - 프랑스와 맺은 불평등 조약


대략
160년 전

25. 철종
 - 🙏동학 창시 1860 : 최제우 → 교조 신원 운동 1871~
 - ⚔️임술 농민 봉기 1862~ - 단성 민란, 진주 농민 봉기

26. 고종 즉위(12) 1863 : 흥선대원군(43)
 - 서원 철폐 1865~, 경복궁 중건 사업 1865~ → 💰당백전 발행 1866.12


🙏병인박해 1866 봄~1873 → 💥병인양요 1866.9

💥제너럴셔먼호 사건 1866.8 → 💥신미양요 1871.5

남연군묘 도굴 사건 1868 → 통상 수교 거부 정책 강화


# 위정척사운동 등장 19C 중엽 이후 - 반외세 운동

대동여지도 1861 - 김정호


메이지 즉위 1867

메이지 유신 1868
 - 서구화를 목표로 추진한 정치·사회·경제 개혁
 → 일왕 중심의 근대 중앙집권 체제 확립


개항기


통일 독일 제국 선포

이탈리아 왕국 경계 성립

청일 수호 조규 체결

2차 사이공 조약

1870~

💥신미양요

고종 친정 선포

조일수호조규(강화도 조약) → 개항

정한론

폐번치헌 조서 공포

류큐국 병합

통일 독일 제국 선포 1871

이탈리아 왕국 경계 성립 1871


청일 수호 조규 체결 1871

베트남) 2차 사이공 조약 1874


대략
150년 전

💥신미양요 1871 → 척화비 건립

고종 친정 선포(22) 1873 : 명성황후(23) → 통상 수교 거부 정책 완화, 개화파 형성


💥운요호 사건 1875.9
 → 💧조일수호조규(강화도 조약) 1876.2 → 1차 수신사 파견 1876


종두법 실시 1879 - 지석영 1855~1935

정한론 1870 전후
 - 조선정벌론

청일 수호 조규 체결 1871

폐번치현 조서 공포 1871
 - '번'을 폐하고, '부·현'을 중앙에서 통제

이와쿠라 사절단 1871~1873
 - 미국와 유럽에 보내는 시찰단

모란사 사건 1874 - 대만으로 출병

자유민권 운동 1874~ - 정부의 탄압


세이난 전쟁 1877
 - 메이지 정부에 대한 구 사무라이 계급의 반발

류큐국(현, 오키나와) 병합 1879

삼국 동맹

청프 전쟁

청일 톈진 조약

1880~

⚔️임오군란 → 청과 일의 내정간섭 심화

⚔️갑신정변 → 급진 개화파의 개혁 시도

방곡령 사건

근대적 교육 기관 설립

경제 구국 운동

근대 시설 수용

청일 톈진 조약 → 조선을 군사적 중립화로 만듬

제국 헌법 공포

삼국 동맹 형성 1882
 -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이탈리아


북양 해군 창설 1880

러시아와 이리 조약 체결 1881

청프(청불) 전쟁 1884.4~1885


베트남) 근왕 운동 1885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성립 1887

청일 톈진 조약🐯 1885

마카오를 포르투갈에 할양 1887

대략
140년 전

2차 수신사 파견 1880 - 조선책략

통리기무아문 설치 1880 → 영남 만인소 1881.2
 → 조사시찰단 파견 1881.4, 별기군 창설 1881, 영선사 파견 1881
 # 서구 열강과 수교 1882~ → 보빙사 파견 1883

⚔️임오군란 1882.7.19
 → 제물포 조약 1882.8,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1882.9, 조일통상장정 1883.7

⚔️갑신정변 1884.12 : 김옥균 등 → 한성조약 체결, 청과 일은 톈진조약 체결 1885

# 열강의 이권 침탈 대략 1884~1904


거문도 사건 1885~1887 ← 영국

방곡령 사건 1889

한성순보 창간 1883.10 - 최초의 근대적 신문


배재학당 : 아펜젤러 1885.8 - 최초의 근대적 사학 시설
 → 협성회 결성 1896.11

경복궁 내 건청궁에 전등 점화 1887.3


청일 톈진 조약🐯 1885.1

내각 제도 시행 1885.12

일본 제국 헌법 공포 1889
 - 입헌제 기반의 일왕 중심

파쇼다 사건

💥청일 전쟁

무술개혁

의화단 운동

1890~

⚔️동학 농민 운동 → 결과적으로 일본군이 조선에 파병됨

갑오개혁 → 온건 개화파 정권 수립과 일본의 간섭

💥청일전쟁

💧명성황후 시해사건(을미사변) → 친일 정권 수립

아관파천과 대한제국 → 친일 정권 붕괴와 자주 독립국 선포

독립협회 → 의회 설립 운동

항일 의병 활동 시작

독립신문 창간

💥청일 전쟁


수단) 파쇼다 사건 1898
 - 영국과 프랑스의 식민지 확보 경쟁 충돌

1차 만국평화회의 1899
 - 네덜란드 헤이그

💥청일 전쟁🐯 1894~1895
 - 시모노세키 조약, 삼국간섭


청) 변법자강운동 1898 → 무술정변 1898
 - 근대화 개혁과 실패

의화단 운동 1899~ - 농민들의 반 외세 운동
 → 8개국 연합군이 베이징 점령 1900
 - 러시아의 만주 점령 1900

대략
130년 전

⚔️고부 농민 봉기 1894.2 → ⚔️동학 농민 운동 1894.3 : 전봉준(40)
 → 🤝전주화약 1894.6
 →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1894.7, 갑오개혁 1894.7~ : 김홍집 → '홍범 14조' 1895.1
 + 💥청일 전쟁 1894.8~ → 삼국간섭 1895
 → 동학군 2차 봉기 1894.9 - 💥우금치 전투 1894.12


💧명성황후 시해사건(을미사변) 1895.10
 → 친일내각 수립, 을미개혁(3차 갑오개혁) → ⚔️을미의병 1895 말

아관파천 1896.2
 → 경운궁 환궁·광무개혁 추진 1897.2 - ☀️대한제국 선포 1897.10
 → '대한국 국제' 반포 1899.8

독립협회 창설 1896.7 : 서재필(33)
 → 만민공동회 개최 1898.3 → 관민공동회와 '헌의 6조' 1898.10
 → 독립협회 해산 1898.12

# 항일 의병 활동 시작

# 민간 은행 설립


영은문 철거 1895.2 - 중국 사신을 맞이하던 곳

시위대 창설 1895.5 - 왕의 호위 군대

진위대 창설 1895 - 근대적 지방 군대

독립신문 창간 1896.4 : 서재필(33)

독립문 완공 1897.11

매일신문·제국신문·황성신문 창간 1898

🙏명동성당 축성식 1898.5

한성 전차 개통, 경인선 개통 1899

대한천일은행 설립 1899

💥청일 전쟁🐯 1894~1895
 - 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1895.4~5
 → 러시아의 개입으로 랴오둥반도 반환(삼국간섭🐯)


금 본위제 실시 1897

러일 전쟁, 1차 러시아 혁명

삼국 협상

신축조약 → 서양 열강의 간섭이 심화 됨

중국 동맹회 성립

청일 간도협약

1900~
(20세기)

💥러일 전쟁 ~ 한일의정서와 1차 한일협약 체결

💧을사늑약 → 사실상 보호국화 됨

애국계몽운동

💧한일 신협약 → 사실상 식민지화 됨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해외 이민 시작

국권 피탈의 시작

국권 수호 운동

영일 동맹

러일 전쟁

💥러일 전쟁 1904
 - 피의 일요일 사건, 1차 러시아 혁명 1905.1
 → 패배, 포츠머스 조약 체결 1905.9


2차 만국평화회의 1907.6🐯
 - 네덜란드 헤이그

삼국 협상 결성 ~1907
 - 삼국 동맹에 대응하기 위해
 - 영국, 프랑스, 러시아

미국) 스티븐스 저격사건 1908.3 : 전명운, 장인환

신축조약 체결 1901
 - 베이징에 외국군이 주둔


동맹회 성립 1905
 - 쑨원의 삼민주의

베트남) 동유 운동 1905

청) 흠정헌법대강 공포 1908

청일 간도 협약🐯 1909.9

대략
120년 전

💥러일 전쟁 1904.2~1905.9
 - 💧한일 의정서 체결 1904.2 → 국권 피탈의 시작
 - 💧제 1차 한일 협약 체결 1904.8 : 메가타, 스티븐슨 → 고문정치 시작

# 러일전쟁 이후 대한제국의 단체들
 - 보안회 1904.7, 국민교육회 1904.8, 헌정 연구회 1905.5~11 : 윤효정
 - 일진회 1904.12 : 이용구, 송병준 → 친일·반정부 단체


💰화폐정리사업 1905.6 → 제일은행권이 사실상 법화로 기능

💧을사늑약(제2차 한일 협약) 체결 1905.11 → 대한제국 외교권 박탈, 통감정치 시작
 → 🏹을사의병 1905
 → 통감부, 이사청 설치 1906.2 : 이토 히로부미

# 애국계몽운동 → 교육·산업 진흥으로 독립을 준비
 - 대한 자강회 1906.4, 대한협회 1907.11, 서북학회 1908.1
 - 💰국채보상운동 1907.2 : 서상돈, 김성희
 - 신민회 조직 1907년 경 : 안창호(30), 이회영

헤이그 특사 파견 1907.6 : 이상설(37) → 고종 강제 퇴위 7.19
 → 💧한일 신협약(정미 7조약) 7.24 → 행정권과 사법권을 통감부가 관할, 차관정치 시작
 - 신문지법 선포 7.24, 보안법 공포 7.27
 → 🏹대한제국 군대해산 8.1 → 🏹정미의병 → 🏹13도 창의군 1907.9 : 이인영
 → 대한제국 순종 즉위 8.27

💰동양척식주식회사 1908 → 식민지 경제 착취를 위한 핵심 기구

💧기유각서 1909.7 - 사법권 박탈

남한 대토벌 작전 1909.9 → 사실상 국내에서 의병 활동이 불가능해짐

🏹하얼빈 의거(이토 히로부미 처단) 1909.10 : 안중근(32)

활빈당 1900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으로 이민 1903.1
 → 하와이에서 한인합성협회 창립 1907.9
 → 북미 공립협회와 통합하여 국민회 창립 1909.2
 - 신한민보 개제 1909.2

# 국권 피탈 과정 1904~

대한매일신보 창간 1904 : 베델


경부선 개통 1905.1

멕시코 이민 1905~1909
 → 숭무학교 설립 1910

시일야방성대곡 1905.11.20 : 장지연

# 국권 수호 운동
 - 의병, 무장투쟁, 외교

서전서숙 설립 1906 : 이상설(36)

자신회 1907.2 - 을사오적 암살단

대종교(단군교) 1909.1 : 나철

석조전 준공 1909

영일 동맹 1902

대한방침 결의🐯 1903.12
 → 대한시설강령 수립🐯

💥러일 전쟁 1904~1905
 → 불법으로 독도 편입🐯 1905.2
 - 가쓰라-태프트 밀약 7월, 2차 영일동맹 8월
 → 포츠머스 조약 체결 9월
 → 열강의 일원이 됨


1차 러일협약 1907.7

청일 간도 협약🐯 1909.9

남한 대토벌 작전🐯 1909


일제강점기


💥1차 세계대전

2차 러시아 혁명 → 소비에트 정권 수립

파리 강화회의 → 민족자결주의가 국제질서의 보편 원칙으로 제시됨

중화민국 수립 → 군벌 시대 시작

5.4 운동 → 중국의 반제국주의 운동 시작

1910~

😈경술국치(한일병합) → 일제의 무단통치

파리 강화회의

3.1 운동 → 독립운동단체가 결성되어 무장투쟁 전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일제의 식민통치

국내 독립운동 단체

미주, 중국, 러시아 독립운동 단체

한일 병합

다이쇼 데모크라시

1차 세계대전 → 연합국으로 참전

멕시코 혁명 1910~1920 - 독재에 반대한 사회 혁명

💥1차 세계대전 1914~1918
 - 사라예보 사건 1914.6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에 선전포고
 → 삼국동맹과 삼국협상이 참여 1914
 + 2차 러시아 혁명 1917 → 러시아 내전
 → 미국 참전 1917.4
 → 벨푸어 선언 1917.11 → 유대인 국가 건설 지지
 → 미 의회에 민족자결주의 등 14개조 원칙 제기 1918.1 : 윌슨
 → 연합국과 독일의 정전협정 1918.11
 → 파리 강화회의🐯 1919.1~1920
 - 베르사유 조약 1919.6, 생제르맹 조약 등 ~1920

러시아) 코민테른 창설 1919.3

간디의 비폭력 운동 시작 1919

청) 신해혁명 1911 → 청나라 멸망
 → 중화민국 수립 1912 : 쑨원(47) → 위안스카이(54)
 → 군벌 시대 시작 1916

💥1차 세계대전
 → 일본이 칭다오를 점령 1914.11
 → 일본이 21개조 요구 1915.1
 - 중국이 연합국으로 참여 1917.8
 - 일본이 칭다오의 이권 획득(∵ 베르사유 조약)
 → 이에 반발하는 5.4 운동 발생 1919

대략
110년 전

💧한일 약정 각서 1910.6 - 경찰권 박탈

😈경술국치(한일병합) 1910.8 : 경술국적 → 조선총독부 설치 1910.10
 - 💰회사령 1910.12 → 민족 자본 성장을 억제
 - 조선교육령 1911.8 → 조선인을 하급 노동력으로 양성
 - 조선 민사령과 조선 태형령 1912.3
 - 💰토지조사령 공포 1912.8 → 일본인 대지주 증가

# 국내외 독립운동

# 항일 운동 탄압 - 안악사건 1910.11, 105인 사건 1911~

💰조선은행 1911 → 금융 주권 상실, 경제적 수탈의 핵심 도구로 기능


대동 단결 선언 1917.7 : 신규식(39) → 국민 주권 주장, 임시정부 필요성 제기

💰조선식산은행(≒산업은행) 1918

🗺️ 1차 세계대전 종료와 🌏러시아 내전
 → 파리 강화회의 1919.1~ : 김규식(39) - 독립운동가들이 회의 참석을 시도
 → 도쿄에서 2.8 독립선언 1919

무오독립선언 기미독립선언 전? 후?

기미독립선언 1919.3.1 : 민족대표 33인
 →  3.1 운동 1919 : 유관순(18) → 약 1년간 전국과 해외에서 전개
 - 제암리 학살 사건 4.15
 → (러시아) 대한국민의회, ☀️상하이 임시정부 4.11, (국내) 한성정부 등 수립
 - (상하이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4월
 → 대한민국 임시정부 9.11 : 이승만(45), 이동녕(51), 이동휘(47)

# 일제의 식민 통치

멕시코에 숭무학교 설립 1910.3

미주 지역에 대한인 국민회 통합·개칭 1910.5
 → 하와이에 대조선국민군단 설립 1914.6

(국내에서 신민회 결성 1907)
 → 서간도에 경학사 설립 1911 : 이회영(45)
 → 신흥강습소(신흥무관학교) 설립 1911.6

연해주에 권업회 설립 1911.6 : 이상설, 이동휘, 이종호
 - 권업신문 1912, 대한광복군 정부 1914

고종의 밀명으로 독립의군부 조직 1913 : 임병찬(63)

미주 지역에 흥사단 설립 1913 : 안창호(36)


국내, 대한광복회 결성 1915.7

러시아에서 한인사회당 결성 1918.4
 : 이동휘(46), 김알렉산드리아(34)

(상하이에 동제사 조직 1912.7 : 신규식(34))
 → 신한청년당 조직 1918.11 : 여운형(33)

(북간도에 중광단 설립 1911.3)
 → 북로군정서 1919 : 서일(39), 김좌진(31)

서간도에서 한족회로 통합 1919.3
 → 서로군정서 1919 : 이상룡(62), 여준(58)

구미위원부 1919.8

의열단 1919.11

대한 제국 병합🐯 1910 - 일제의 식민 통치

다이쇼 데모크라시 1911~1925
 - 자국내 민주주의, 자유주의 운동

다이쇼 즉위 1912

💥1차 세계대전
 → 독일에 선전포고하며 연합국으로 가담 1914.8
 → 중국에 21개조 요구 1915
 → 지중해에 해군 파견 1917
 - 산둥반도와 뉴기니에 대한 이권을 약속받음


2.8 독립 선언🐯 1919 - 도쿄 유학생들

국제 연맹 창설

소련 수립 → 사회주의 확산

💰세계 대공황 → 자본주의의 구조적 문제 노출

중국공산당 창당

1차 국공 합작

1차 국공 내전

1920~

🏹봉오동 전투 등 무장 투쟁 → 일제의 독립군 말살 작전

독립운동단체 통합 시도 → 3부 형성

6.10 만세 운동

민족유일당 운동 → 정당 중심의 민족운동 전개

광주학생항일 운동

국내외 무장 투쟁 전개

사회주의 유입 → 조선공산당 창당

민중의 생존권 투쟁

관동 대지진

쇼와 즉위

국제 연맹 창설 1920

워싱턴 회의 1921.11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현안 논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 공식 출범 1922


미국) 💰검은 목요일 1929.10
 → 각국에 연쇄적 대공황 발생 ~1939
 - 미) 뉴딜정책(수정 자본주의 도입)
 - 영,프) 블록경제(식민지 중심 경제권) 형성
 - 독,이,일) 파시즘(전체주의 + 군국주의) 강화

훈춘 사건 1920.10 - '간도지방 불령선인 초토 계획'의 시작

중국공산당 창당 1921.7

1차 국공합작 1924.1
 - 황포 군관학교 1924.1
 → 국민당의 북벌 개시 1926 - 군벌 타도
 → ⚔️1차 국공내전 1927.4~1936
 → 국민당의 중국 통일 1928 : 장제스

대략
100년 전

산미증식계획 시행 1920 → 일제의 수탈을 위한 미곡 증산 계획

💰회사령 폐지 1920.4물산장려운동 전개 1920.8

국내에서 사회혁명당 조직 1920.6

🏹봉오동 전투 1920.6 : 홍범도(53)
 → 일본군의 만주 진출 계획 1920.8 → 훈춘 사건 1920.10
 → 🏹청산리 대첩 1920.10 : 김좌진(32), 💧간도 참변 1920.10 → 한인 사회 붕괴
 → 자유시 사변 1921 → 무장 독립 투쟁 전선 약화

만주 지역 독립운동단체 통합 → 3부 형성
 - 서간도에 통의부 결성 1922.8 → 참의부 성립 1924.5
 - 남만주에 정의부 결성 1924.11
 - 북만주에 신민부 결성 1925.3

임시정부 국민대표회의 1923.1~6 → 결렬, 임시정부의 활동 위축


치안 유지법 시행 1925.5, 미쓰야 협정 체결 1925.6

6.10 만세 운동 1926

(중국 관내) 민족유일당 운동 1926.10
 - 국내에서 신간회 창립 1927.2, 근우회 창립 1927.5 -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연대
 - 북만주에서 혁신의회 조직 1928.12 → 한국독립당 결성
 - 남만주에서 국민부 조직 1929.4 → 조선혁명군정부 결성

조선일보의 문자 보급 운동 1929

🗺️세계 대공황 1929
 → 북부는 공업화를, 농촌에는 남면북양 정책을 추진

광주학생항일 운동 1929.11 : 장재성(22)

# 사회주의 유입
 - 고려공산당 창당 1921.5
 - 1925 조선공산당 창당 1925.4

조선일보·동아일보 창간 1920

하와이에서 대한인동지회 결성 1921.7 : 이승만(47)

# 의열 투쟁 전개,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 1923.1

종로 경찰서 폭탄 투척 1923.1 : 김상옥(35)

# 민중의 생존권 투쟁
 - 조선 형평사 1923.4
 - 암태도 소작쟁의 1923.12
 - 원산 총파업(노동쟁의) 1929.1

첫 어린이날 기념식 1923.5 : 방정환(25)


'님의 침묵' 발간 1926 : 한용운(48)

조선어 연구회의 첫 가갸날(한글날) 기념식 1926

# 실력 양성 운동
 - 문자 보급 운동 1929, 브나로드 운동 1931

수평운동 1922

일본공산당 창당 1922

관동 대지진 1923
 - 조선인 학살


쇼와 즉위 1926

대공황 1929~
 - 산업생산량 감소, 실업자 속출
 - 한반도에 양 사육, 면화 재배 강요🐯

💰수정 자본주의

2차 세계대전

만주사변 → 일제의 만주 침략

공산당의 대장정

중일 전쟁과 난징 대학살

1930~

🏹이봉창, 윤봉길의 의열투쟁

💥중일 전쟁 → 일제의 민족말살통치

무장 독립 전쟁 - 중국군과 연합

만주 침략 → 군국주의 체제 심화

💥중일 전쟁 → 전시체제기 시작


베를린 하계 올림픽 1936
 - 손기정 선수의 마라톤 금메달 획득🐯

💥2차 세계대전 1939
 -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발발

만보산 사건🐯 1931.7

# 만주사변
 - 류탸오후 사건 1931.9 → 만주국이 세워짐 1932.3 : 푸이(27)
 + 1차 상하이 사변 1932.1~3

공산당의 대장정 1934~1935


시안 사건 1936 - 장제스 구금

💥중일 전쟁 1937
 - 루거우차오 사건 7월
 - 2차 상하이 사변 8~11월 → 2차 국공합작 9월
 - 난징 대학살 1937.12~1938.2

대략
90년 전

상하이에서 한국독립당 결성 1930.1 : 김구, 조소앙(44)
 - 한인애국단 1931 : 김구(56)
 🌏 만주사변 1931.9
 → 🏹이봉창 의사 의거(32) 1932.1, 🏹윤봉길 의사 의거(25) 1932.4
 → 임시정부 이동 시작 1932.5~

동아일보의 브나로드 운동 1931

(조선어 연구회 1921) → 조선어 학회 개칭 1931
 - 한글 맞춤법 통일안 1933

조선 혁명군 정부 결성 1934.11


💥중일 전쟁 1937.8
 - 황국 신민 서사 제정 1937
 - 국가 총동원법 실시 1938.5

3차 조선 교육령 1938 - 조선어 말살정책


민족 혁명당(난징) 1935 - 조선 의용대 1938

'날개' 출간 1936 : 이상(27)

만주 침략 1931
 - 5.15 사건 1932 - 강경파 군부의 쿠데타
 → 국제 연맹 탈퇴 1933
 - 2.26 사건 1936 - 쿠데타 미수 사건


관동군 검역급수부(731부대) 운영🐯 1936~1945
 - 인체 실험, 생화학 무기 개발

💥중일 전쟁
 - 루거우차오 사건 1937.7
 - 국가총동원법 시행 1938.5
 - 괴뢰정부 중화민국 국민정부 수립 1940.3
 - 진주만 기습 1941.12


광복, 이후


2차 세계대전 확장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2차 국공 내전

중화 인민 공화국 성립

1940~

🌺8.15 광복

모스크바 삼상회의 → 미소 공동 위원회 설치 및 신탁통치에 관한 협의

5.10 총선거(남한 총선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

추축국 동맹

진주만 기습

히로시마, 나가사키 원폭투하

추축국 동맹 결성 1940
 - 독일, 이탈리아, 일본

💥2차 세계대전 확장
 - 연합국) 미국, 영국, 소련 등
 - 태평양 전쟁 1941~1945
 - 스탈린 그라드 전투 1942~1943
 - 카이로 선언: 한반도의 독립 약속🐯 1943.12
 - 노르망디 상륙작전 1944


포츠담 선언: 카이로 선언 재확인🐯 1945.7

소련이 일본에 선전 포고🐯 1945.8.8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1945.12

미국) 트루먼 독트린 1947.3 - 자유 민주주의 국가 지원 정책
 → 마셜 계획


⚔️2차 국공내전 1946~1950
 - 2.28 사건(사변) 1947 - 대만 본성인의 항쟁
 → 공산당) 중화 인민 공화국 성립 1949
 → 국민당) 타이완으로 이동

대략
80년 전

창씨개명 1940

충칭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정착 1940.9 - 한국 광복군 창설 1940.9
 - 대한민국 건국강령 1941

💥태평양 전쟁 발발 1941
 - 임시정부가 일본에 선전포고 1941.12
 - 독수리 작전 준비 1945

4차 조선 교육령 1943


🌺8.15 광복 1945
 - 건국 준비 위원회 8.15 : 여운형(60) → 인민 위원회
 - 미소 군정 실시 9.7, 임시정부 요인 귀국 11.23, 12.1
 - 모스크바 삼상회의 12.16~26 → 신탁통치 반대운동
 - 미소 공동 위원회 1946~1947.10
 - 좌우 합작 위원회 1946.7~1947.12 → 중도파는 민족자주연맹 결성 1947.12

제주 4.3 사건 - 3.1절 발포사건 1947, 4.3 무장봉기 1948
 - 여수·순천 사건 1948.10

남북 협상 추진 1948.4

5.10 총선거(제헌 국회의원 선거) 시행 1948
 → 제헌 헌법 공포 7.17
 → 1대 대통령 선거 7.20 : 이승만 취임(74) 7.24
 →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 1948.8.15

반민족 행위 처벌법 공포 1948.9.22
 → 국회 프락치 사건 1949.5~, 반민특위 습격사건 1949.6.6, 김구 암살사건 1949.6.26
 → 반민법 소멸 1951.2.14

재미한족연합위원회 1941

조선 의용군 1942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출간 1948 : 윤동주 1917~1945

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1948.9

교육법 제정·공포 1949.12
 - 초등 6년간의 의무교육을 규정

추축국 동맹 1940

💥진주만 기습 1941.12
 → 미드웨이 해전 1942.6

예금봉쇄 1944


💥히로시마, 나가사키 원폭투하🐯 1945
 → 무조건 항복
 → 극동 국제 군사 재판(도쿄 재판, 전범 재판) 1945
 → 미국의 감시

에치슨 선언

냉전 체제

대약진 운동

1950~

💥6.25 전쟁 발발과 정전 협정 조인

부산 정치 파동 → 대통령 직선제 도입

사사오입 개헌 → 이승만의 3선 출마 가능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미국) 에치슨 선언🐯 1950.1
 - 한반도를 미국의 태평양 방위선에서 제외
 → 한·미 상호 방위 원조 협정 체결

영국) 엘리자베스 2세 1952.2


베트남 전쟁 1955~1975

# 냉전 체제
 - 자유 민주주의 진영 vs. 공산주의 진영
 - 제 3세계 등장

인도와 평화 5원칙 발표 1954


대약진 운동 1958~1962 : 마오쩌둥
 - 농공업 대증산 정책

인도와 국경 분쟁 1959

대략
70년 전

💥6.25 전쟁 발발 1950
 - 인천 상륙 작전 1950.9, 1.4 후퇴 1951, 고지 전투
 - 보도 연맹 사건 1950.6~9,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1950.7, 거창 사건 1951.2
 - 부산 정치 파동(발췌개헌) 1952 → 2대 대통령 선거 1952.8 : 이승만 취임 1952.8
 → 정전 협정 조인 1953.7

한·미 상호 방위 조약 1953.10

💰삼백 산업 발달

사사오입 개헌 1954.11
 → 3대 대통령 선거 1956.5 : 이승만 취임 1956.8


제 2대 국회의원 선거 1950.5.30

제 3대 국회의원 선거 1954.5.20


제 4대 국회의원 선거 1958.5.2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1951
 → 주권 회복
 → 방위청 설치, 자위대 발족 1954


55년 체제 1955~1993

아프리카의 해

닉슨 독트린

통킹 만 사건

문화대혁명

1960~

4.19 혁명

⚔️5.16 군사 정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아프리카의 해 1960
 - 아프리카 17개국 독립

쿠바 미사일 위기 1962


미) 닉슨 독트린 1969
 - 아시아 안보에 관한 외교 전략
 - 베트남 전쟁 철수

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 결성 1960

통킹 만 사건 1964
 → 미군 파병
 → 미 철군 시작 1969


문화대혁명 1966~1976 : 마오쩌둥
 - 자국의 문화재 파괴
 - 류사오치 숙청 1968

대략
60년 전

4대 대통령 선거(3.15 부정선거) 1960
 → 4.19 혁명 → 이승만 하야 성명 4.26 → 6.15 개헌 → 대한민국 제 2공화국
 → 4대 대통령 재선거 8.12 : 윤보선 취임 8.13, 국무총리 장면 취임 8.19

⚔️5.16 군사정변 1961 : 박정희(45) → 군사 정부
 - 💰제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공표 1962.1 → 정부 주도형 경제개발
 - 파독 광부 1963~1977, 파독 간호사 1966~1976

5대 대통령 선거 1963.10 : 박정희 취임 1963.12
 - 6.3 항쟁 1964.6 → 한일 협정 체결 1965 → 기존 조약 및 협정을 무효로 함.
 - 베트남전쟁 파병 1964.9~1973.3
 - 브라운 각서 체결 1966


6대 대통령 선거 1967.5 : 박정희 취임 1967.7

제 5대 국회의원 선거 1960.7.29

경무대를 청와대로 개칭 1960.8

제 6대 국회의원 선거 1963.11.26


제 7대 국회의원 선거 1967.6.8

1.21 사태(김신조 사건) 1968 → 684부대 조직 1968.4

광화문 이순신 장군 동상 건립 1968.4

석유 파동

베트남 전쟁 종식

미·중 국교 정상화

1970~

7.4 남북 공동 성명

비상계엄 선포와 10월 유신

⚔️10.26 사건과 ⚔️12.12 군사 반란


석유 파동🐯
 - OPEC에 의해 석유 가격 급등 1973, 1979

미국) 코리아 게이트🐯 1976.10
 - 미 정치인 뇌물 수수사건

미국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 1972.2
 → 미·중 국교 수립 1978


베트남 전쟁 종식 1975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성립

대략
50년 전

새마을 운동 시작 1970

7대 대통령 선거 1971.4 : 박정희 취임 1971.7

7.4 남북 공동 성명 1972

비상계엄 선포, 10월 유신 1972 → 대한민국 제 4공화국
 - 8대 대통령 선거 12.23 : 박정희 취임 12.27

6.23 평화 통일 선언 1973


9대 대통령 선거 1978.7 : 박정희 취임 1978.12

YH 사건 1979.8, 부마 민주항쟁 1979.10

⚔️10.26 사건 1979 → ⚔️12.12 군사 반란 1979 : 전두환(49)
 - 10대 대통령 선거 12.6 : 최규하 취임(61) 12.21

경부 고속 국도 개통 1970

전태일 사건 1970.11.13

제 8대 국회의원 선거 1971.5.25

실미도 사건 1971.8

제 9대 국회의원 선거 1973.2.27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8

제 10대 국회의원 선거 1978.12.12

중일 국교 수립 1972

미국이 오키나와 반환 1972


록히드 사건 1976 - 뇌물 수수 사건

베를린 장벽 붕괴

3저 현상

톈안문 사건

1980~

5.18 민주화 운동

6.10 민주항쟁

서울 올림픽 개최

잃어버린 30년

아키히토 즉위

💰3저 현상
 - 저유가, 저금리, 저달러 현상

💰플라자 합의 1985.9.22 - 환율에 관한 합의

베를린 장벽 붕괴 1989.11

미·소 몰타 회담 1989.12
 → 냉전 종식 선언


베트남) 도이 머이 정책 1986
 - 개혁 개방 정책

톈안문(천안문) 사건 1989.6
 - 정부의 무력 진압

대략
40년 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1980 - 정부의 무력 진압
 → 11대 대통령 선거 1980.8 : 전두환 취임 1980.9, 헌법 개정 1980.10
 → 12대 대통령 선거 1981.2 : 전두환 취임 1981.3 → 대한민국 제 5공화국


제 12대 국회의원 선거 1985.2.12 → 개헌 서명 운동 1986.2

박종철 고문 치사사건(23) 1987.1 → 이한열 열사 피격사건(22) 1987.6, 6.10 민주항쟁 1987
 → 6.29 선언 → 대한민국 제 6공화국(현재까지 지속)

13대 대통령 선거 1987.12 : 노태우 취임(57) 1988.2

서울 올림픽 개최 1988.9.17~10.2

전 국민 의료보험 실현 1989

제 11대 국회의원 선거 1981.3.25

이산가족찾기 특별생방송 1983.6~11

아웅산 테러 사건 1983.10


항소이유서 1985.5 : 유시민(27)

화성 연쇄 살인 사건 1986.9~1911.4

KAL기 폭파 사건 1987.11

제 13대 국회의원 선거 1988.4.26

잃어버린 30년 시작
 - 플라자 합의를 통해 달러화 가치 하락 유도


아키히토 즉위 1989

소련 붕괴

유럽 연합 출범

홍콩 반환

마카오 반환

1990~

💰금융실명제 시행

💰외환 위기

대중문화 성장과 청소년 문화 탄생

고노 담화

독일 통일 1990

소련 붕괴 - 독립 국가 연합 수립 허용 1991
 → 자본주의 경제 체제로 전환

미국) LA 폭동 1992

유럽 연합(EU) 출범 1993



베트남) 미국과 국교 수립 1995

홍콩 반환 1997
 - 영국

마카오 반환 1999
 - 포르투갈

대략
30년 전

소련과 국교 수립 1990

남·북 UN 동시 가입 1991.9,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1991.12

한중 국교 수립 1992.8

14대 대통령 선거 1992.12 : 김영삼 취임(65) 1993.2
 - 하나회 숙청, 💰금융실명제 시행 1993


지방 자치제 전면 시행 1995.6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1996

💰외환 위기 1997.11 → IMF 구제금융 요청
 → 금 모으기 운동 시작 1998.1

15대 대통령 선거 1997.12 : 김대중 취임(75) 1998.2
 - 금강산 관광 시작 1998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 시행 1999

서태지와 아이들 1집 발매 1992.3
 → 한국 음악의 패러다임을 바꿈

제 14대 국회의원 선거 1992.3.24

대전 엑스포 개최 1993.8

북한) 김일성 사망 1994.7 → 김정일 체제 구축

성수대교 붕괴 1994.10


대구 가스 폭발 사고 1995.4

삼풍백화점 붕괴 1995.6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시작 1995.8
 → 완전 철거 1996.11.13

제 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4.11

H.O.T 1집 발매 1996.9
 → 한국 아이돌 문화·산업의 기틀을 마련

북한) 고난의 행군 1996~1999

고노 담화 1993.8 - 위안부 문제 인정

미) 9.11 테러

미)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동북공정

2000~
(21세기)

6.15 남북 공동 선언

10.4 남북 정상 선언

김대중 전 대통령 노벨상 수상

닷컴 버블(나스닥 지수 5,048) 2000.3

미) 9.11 테러 2001
 - 테러와의 전쟁 선포


미)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2007
 - 리먼브러더스 파산 2008.9
 → 세계 금융 위기🐯

비트코인 소스코드 공개 2009

동북공정 시작 2002
 → 공식적으로 종료 2007

대략
20년 전

닷컴 버블(코스닥 지수 2,834) 2000.3

제 1차 남북 정상 회담 2000.6 → 6.15 남북 공동 선언

한·일 월드컵 공동 개최 2002.5

16대 대통령 선거 2002.12 : 노무현 취임(58) 2003.2
 - 대통령 탄핵소추안(특정 정당 지지발언) 2004.3 → 기각 2004.5

개성공단 건설 2004


한미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 2007.4

제 2차 남북 정상 회담 2007 → 10.4 남북 정상 선언

17대 대통령 선거 2007.12 : 이명박 취임(68) 2008.2

금강산 관광객 피살 사건 2008.7
 → 남북 관계 경색

제 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4.13

노벨 평화상 수상 - 김대중 2000.12

대구 지하철 참사 2003.2

제 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4.15

중앙버스전용차로 도입 시작 2004.7


청계천 복원사업 완료 2005.10

태안 기름 유출 사고 2007.12

숭례문 방화 사건 2008.2

제 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4.9

올해의 사자성어 매년 12월 - 교수신문

시리아 내전

코로나 확진자 발생

2010~

💥연평도 포격전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판문점 선언

세월호 침몰 사고

후쿠시마 원전 사고

나루히토 즉위

시리아 내전 발발 2011.3
 - 반정부 민주화 시위로 시작


미국) 트럼프 취임 2017.1

우한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확인 2019.12

대략
10년 전

💥천안함 피격 사건 2010.3, 💥연평도 포격전 2010.11

18대 대통령 선거 2012.12 : 박근혜 취임(62) 2013.2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유행 2015.5~

개성공단 가동 중단 2016.2.10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2016.3 -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 대국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2016.10
 - 대통령 탄핵소추안(국민주권·법치주의 훼손, 직무 유기, 뇌물 등) 2016.12
 → 인용, 박근혜 파면 2017.3

19대 대통령 선거 2017.5.9 : 문재인 취임(65) 5.10

평창 동계 올림픽 개최 2018.2.9

2018 1차 남북정상회담
 - 판문점 선언 2018.4.27

아덴만 여명 작전 2011.1

북한) 김정일 사망 2011.12 → 김정은 체제 구축

제 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4.11

세월호 침몰 사고 2014.4.16


제 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4.13

올해의 사자성어 매년 12월 - 교수신문

후쿠시마 원전 사고 2011


나루히토 즉위 2019

코로나 펜데믹 지정

2020

코로나 국내 첫 확진

💰옵티머스 사태

아시타비(我是他非)

브렉시트 1.31 -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Covid-19 팬데믹 지정🐯 3.11 - 세계보건기구(WHO)

대략
5년 전

코로나 국내 첫 확진자 확인 1.20
 - 대구 신천지 집단 감염 2월
 -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5월

💰옵티머스 사태 6월

제 21대 국회의원 선거 4.15

BTS 빌보드 메인 차트 첫 1위 9월

아시타비 - 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

2021

코로나 백신 접종

묘서동처(猫鼠同處)

미국) 바이든 취임 1.20

대략
4년 전

코로나 백신 접종 시작 2월

묘서동처 - (적대적인 관계에 있는) 고양이와 쥐가 함께 지낸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022

과이불개(過而不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24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

영국) 찰스 3세 9월

대략
3년 전

20대 대통령 선거 3.9 : 윤석열 취임(63) 5.10

이태원 압사 사고 10.29

과이불개 -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

아베 신조 피살사건 7.8

2023

엔데믹

견리망의(見利忘義)

WHO)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 해제 5.5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10

지지난해

엔데믹 선언 5.11

청주 지하차도 침수 사고 7.15

해병대 채상병 사망 사건 7.19

견리망의 - 이익을 보면 의리를 잊는다

시리아 내전 종료

2024

12.3 내란

한강 노벨상 수상

도량발호(跳梁跋扈)

시리아 내전 종료 12.8
 - 구국정부가 수도를 점령

지난해

여당 대표 이재명 피습사건 1.2


12.3 내란
 → 대통령 탄핵소추안(내란 수괴) 12.14

제 22대 국회의원 선거 4.10


노벨 문학상 수상 : 한강(55) 10.10
 → 노벨 문학상 시상식 12.10

제주항공 항공기 사고 12.29 - 181명 중 2명 생존

북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도량발호 - 권력이나 힘을 가진 자가 도리에 어긋나는 행동을 서슴지 않는 상황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2025

대통령 탄핵 심판

미국) 트럼프 취임(80) 1.20 - 미국 우선주의 정책 1.20
 → 관세 부과 행정명령 발표 2.1
 → 약 100개국 상호관세 발표 4.2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러시아 종전 협상 진행 2월~
 - 우크라이나 배제 논란이 있음

올해

대통령 탄핵 심판
 → 인용, 윤석열 파면 4.4

21대 대통령 선거 6.3 예정 : 취임 6.4 예정

전국적 산불 발생 3월 말
 -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산불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