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1903.1 한인들이 하와이로 이주하여 자치회와 친목회를
              결성 
 - 1903.8~1907.9
            신민회, 동회 등 24개 단체가 조직됨.
 ▶ 1903.9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 등이 친목회를 결성
 ▶ 1905.4
            하와이 한인들의 북미 이주 증가에 따라 안창호는 공립협회를
              창립하고, 
 - 북미 지역(서해안 일대)에 공립협회를 포함
            4개의 단체가 형성됨.
 ▶ 1905.11 을사늑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되자, 이민자들은 사실상 망국민이 되어
            항일운동을 전개함.
 ▶ 1907.7
            정미7조약으로 미주
            단체들의 통합 여론이 형성됨.
 - 1907.9
            하와이 단체들이 통합하여 한일합성협회를 창립하고,
 - 1908
            북미 지역에서 박용만의 제의와 스티븐슨 처단 사건이 통합의 계기로
            작용하여,
 ▶ 1908.10 하와이 한인합성협회와 북미 공립협회는 통합을
              선언함. 
 ▶ 1909.2
            하와이 한인합성협회와 북미 공립협회는 통합하여 국민회를 창립하고,
 ▶ 1910.2
            북미 지역 대동보국회와 동맹신흥회가 통합하여 활동하다 국민회로
            통합함.
 - 하와이지방총회, 북미지방총회로 개편 
          
            ■ 대한인 국민회
 ▶ 1910.5 대한국
            국민회로 개칭
 ▶ 1910.8 경술국치 
 ▶ 1910.10 기관지인
            ‘신한민보’를 통해
            자치제도 실시와 임시정부 수립을 표방하며 국민국가 건설을 선언함.
 ▶ 1911
            국내 신민회를 포함하여
            미국, 러시아, 만주 등 5개 지역에 116개 지방회를 설립
 - 국민회는
            공립협회 시절부터 국내외 한인단체를 통합한 통일연합기관을
            구축하고,
 - 국권 회복과 공화정체 독립국 건설을
            목표로 삼음.
 ▶ 1912.12 중앙총회 선포식을 통해 해외 한인의 최고기관으로서 자치제도
              실시를 선언함. 
 ▶ 1912~1913
            하와이지방총회에 박용만과 이승만이 참여하여 지도자로 부각됨.
 ▶ 1914.6
            대조선 국민군단 설립하고 독립군 양성에 힘씀.
 ▶ 1914 1차 세계대전 → 미주 지역에서만 활동이 이어지고 다른 지역은
            해체·금지됨.
          
            ■ 분열
 ▶ 1915
            하와이 지방총회에서 박용만 계열이 당선되어 이승만 계열이 밀리자,
 - 이승만은 임시대의원 회의를 개최하여 지난 선거와 모든 법안을
              무효화하고 박용만 계열을 축출함. 
 ▶ 1917 이승만이
            국민회 재정을 장악하고,
 ▶ 1918
            재정 남용 문제로 조사원들이 해명을 요구하던 중 유혈사태가 발생함.
 ▶ 1918.7
            이승만의 계속된 축출 시도로 박용만은 지지 세력과 갈리히 연합회
            결성하며,
 - 하와이 한인사회는 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와 갈리히연합회로 양분됨.
 ▶ 1919 3.1 운동 →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 1919.8
            이승만은 한성정부 집정관 총재 명의로 워싱턴에 구미위원부를 설치해
            외교와 재정 모금을 담당함.
 ▶ 1920 초반
            하와이지방총회가 중앙총회의 권한을 무시하며 독자적으로 행동하며,
 ▶ 1921.3
            중앙총회의 관할에서 벗어나 하와이대한인교민단으로 개편됨.
 ▶ 1923.1
            북미 지방총회는 대의원회를 통해 중앙총회를 폐지하고 ‘대한인 국민회
            총회’로 개칭
 - 하와이 한인사회와 완전 분리됨.
 ▶ 1920s
            북미 한인사회는 대한인 국민회 총회를 중심으로 움직였지만,
 - 하와이 한인사회는 이승만 계열(하와이 대한인교민단)과 박용만
              계열(1919.3 설립된 대조선독립단)로 양분됨. 
          
            ■ 통합
 ▶ 1929.11 광주 학생 항일 운동 
 ▶ 1933.2 하와이
            대한인교민단은 국민회 재건 운동을 통해서 대한인 국민회를
            재설립하고,
 - 1934
            박용만 계열의 대조선독립단도 통합됨.
 ▶ 1930s
            북미 국민회는 각지에 공동회를 설립하고, 대표들이 모여 위원제로
            변경하며 재도약을 모색함.
 ▶ 1937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하와이와 북미 국민회는
            임시정부
            지원을 강화하고,
 ▶ 1941.4
            동지회와 연합기구인 재미한족연합위원회를 설립함.
 ▶ 1944~ 북미와 하와이 국민회는 연합위원회의 주도권을 쥐고
              워싱턴사무소 개설, 연합국회의 민중대표단 파견 등 외교 활동을
              전개함. 
 ▶ 1945~
            해방 이후에도 국민회는 재미 한인사회의 구심체로 존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