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 1924~1925
            만주 지역에서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가 조직됨.
 ▶ 1926.10
            베이징에서
            민족유일당 운동이
            시작되어
 ▶ 1927~1929
            국내에서 신간회가
            결성되고, 만주에서는 혁신의회와
            국민부가 조직됨.
          
            ■ 상하이(상해) 한국독립당
 ▶ 1930 김구(55), 이시영 등 26명이 독립투쟁전선 통일과 지방 파벌
              청산을 목표로 창립함. 
 - 조소앙의 ‘삼균주의’를 채택하여 반일
            무장투쟁을 추구하고, 직할 단체와 지부를 두어 활동함.
 ▶ 1931
            김구 주도로
            한인애국단을
            조직함.
 🌏 1931.9~1932.3
            만주사변과 상하이
            사변으로 일제의 중국 본토 침략이 본격화됨.
 ▶ 1932.1~4
            이봉창 의거와
            윤봉길 의거
            이후,
 - 안창호 체포로 당 분열이 시작되어
            조소앙(46) 등 소수 인원만이 당을 운영함.
 - 임시정부는
            중국 국민당 정부의 도움을 받게 되지만, 상하이를 떠나게 됨.
 ▶ 1932.10
            조소앙은 당을 이끌고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에 참여함.
 ↘ 조선혁명당, 조선의열단, 한국혁명당, 광복동지회
              등
 ▶ 1935.5
            한국민족혁명당이 결성되자 조소앙 등 다수가 합류함.
□ 1935
            한국독립당
 ▶ 1935.9
            의열단 중심의 활동에 반발한 조소앙(49)은 민족혁명당을 탈당하고
            한국독립당을 재건함.
          
            ■ 충칭(중경) 한국독립당
 ▶ 1937.7~1939.9
            민족단일대당 결성운동이 실패하고,
 ▶ 1940.5 한국독립당은 민족진영 3당 통합을 이루어 임시정부를 주도하는
              집권당이 되었고, 김구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이끌어감. 
 ↘ 김구(65)의 한국국민당, 조소앙(54)의
              한국독립당, 지청천(53)의 조선혁명당
 🌺 1945.8.15 광복 
 ▶ 1945.8~1946
            국내로 들어와 반탁운동에 참여하고 과도정권 수립에 착수함.
 ▶ 1946.4
            조선국민당, 신한민족당과 한국독립당으로 합당함.
 ▶ 단독정부
            수립 문제로 이승만과 대립함.
 ☀️ 1948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 이후,
             김구 암살 사건(1949)과
              6.25 전쟁(1950)을 거치며
              쇠퇴함. 
          
            ■ 이후
□ 1962
            한국독립당
 ▶ 1962.10
            김홍일(65) 등이 중심이 되어 한국독립당을 재건함.
 ↘ 한인애국단 활동을 지원함
 ▶ 1962~1967
            국회의원 선거에서 모든 후보가 낙선했지만, 1965년 김두한(48)이
            보궐선거에서 당선됨.
 ▶ 1970
            신민당에 흡수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