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정의부


남만주에서 결성한 독립군 연합 조직으로, 민정 자치활동을 펼치며 준국가적 정부 역할을 수행함.
초기엔 경제·교육·산업 진흥을 통한 민족 역량 강화에 집중했고,
이후 무장 항일투쟁과 민족유일당 운동을 추진했음.

■ 이전
 ▶ 1919 3·1 운동 이후 만주에서 독립운동이 활발해지자,
 ▶ 1920.10 일제는 간도참변을 일으켜 독립군 근거지를 파괴하고 한인을 학살함.
 - 여기에 중국 군벌의 탄압과 마적단의 약탈까지 겹쳐 만주의 한인사회는 생존조차 위협받음.

 ▶ 1922 만주의 독립운동가들은 무너진 기반을 재건하고자 대한통군부를 조직했고, 이를 확대하여 통의부를 결성함.
 ▶ 그러나 통의부 내부에서 공화파와 복벽파 간의 갈등이 발생해 복벽파는 의군부로 분리되고,
 ▶ 이어 내부 분열과 충돌에 실망한 의용군이 참의부에 합류하며 통의부는 분열됨.

 - 만주 지역 독립운동가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 중심 방침에 실망해 창조파와 개조파로 갈라졌으며,
 ▶ 1923 국민대표회의에서도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함.

■ 정의부
 ▶ 국민대표회의 결렬 후 만주의 독립운동 지도자들은 독립군 단체들을 통합하기 위해 전만통일회주비회를 조직하고,
 ▶ 1924.10 본 회의를 열었으나 회의 과정에서 일부 단체들의 견해 차이로 이탈함.
 ▶ 1924.11 결국 남은 8개 단체 대표가 독립운동 연합단체인 정의부를 결성하고, 
 ↘ 군정서, 길림주민회, 대한광정단, 대한독립군단, 대한통의부 등
 - 독립 달성을 위해 경제·산업·교육 발전에 힘쓰겠다는 원칙과 구체적인 조직 및 운영 방침을 제시함.

 ▶ 1925.3 정의부는 중앙행정위원회를 설치하고,
 - 남만주에 지방조직을 두어 한인사회를 담당하며 자치정부의 역할을 수행함.
 - 공동농업과 농촌조합 등 농업 진흥사업을 펼치고, 교육기관과 언론 매체를 설립함.

 ▶ 1925.3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 탄핵
 ▶ 1925.7 임시 정부에 비판적이었던 정의부는 이상룡이 임시정부 국무령으로 추선되자 내부 갈등이 심화되었고,
 - 결국 중앙행정위원회(행정부)와 중앙의회(입법부)가 와해됨.
 ↘ 이상룡은 정의부 소속으로 만주 지역 독립운동의 중심인물이며, 같은 해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국무령으로 취임함.
 ▶ 1926.1 이를 수습하기 위해 군민대표회를 열어 헌장을 개정하여 중앙행정위원을 선출하고,
 - 무장 항쟁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국내 진입 유격전과 만주 내 일본 기관 파괴 등을 수행함.
 - 성립 초기엔 민정 중심으로 활동했고, 같은 해 10월 민정으로 복귀됨.

□ 민족유일당 운동
 ▶ 1926.3~12 양기탁 등이 민족유일당을 이루기 위해 고려혁명당을 조직했으나 해체됨.
 ▶ 1926.10 북경에서 한국독립 유일당 북경 촉성회 창립되어 단체 합작을 논의하지만,
 - ‘전민족유일당조직촉성회’와 ‘전민족유일당조직협의회’로 분열되고,
 - 정의부는 '협의회'를 지지하며 전민족유일당협의회를 주도함.

 ▶ 1928.9 정의부는 참의부, 신민부와 함께 3부 통일회의를 개최하여 통합을 추진하였고, 
 ▶ 1929.4 이후 정의부와 신민부의 민정파, 그리고 참의부의 일부 세력이 합류하여 국민부를 결성함.
 ▶ 정의부의 활동은 이후 국민부로 이어지며 민정 중심의 독립운동을 지속함.




# 참고 자료
[정의부]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