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통의부

통군부, 대한통의부
1920년대

서간도 지역의 독립군 단체들이 결성하여 자치정부 운영과 무장투쟁을 전개함.
복벽파와 공화파의 갈등으로 내부 대립이 심화되어 분열됨.

■ 이전
 ▶ 1919 3.1 운동 전후로 서간도 지역에서 무장 독립운동 단체가 조직되어 활동함.
 ▶ 1920 이에 일제는 만주 지역 한인 독립군을 토벌하려 했으나
 ▶ 1920.10 청산리 대첩에서 패배하고 간도 참변을 자행함.
 ▶ 서간도 지역 독립운동 단체들은 독립전쟁 전선을 재정비하며 통합된 독립군단 결성의 필요성을 느끼고,
 ▶ 1922 독립군 단체 대표들은 남만한족통일회를 열어 통군부 결성에 합의함. 
 ↘ 서로군정서, 대한독립단, 보합단, 광한단, 광복군총영 등

■ 통의부
 ▶ 1922.8 통군부를 확대·개편하여 통의부를 결성함. 
 ↘ 서로군정서, 대한독립단, 한교회, 광복군총영, 평안북도독판부 등
 - 하지만, 복벽주의자와 공화주의자 간의 이념 갈등과 군권 장악 문제로 내부 대립이 존재했음.
 ↘ 복벽주의는 왕정 복귀를 목표로 하는 정치 이념

 - 통의부는 총장을 중심으로 자치정부를 운영하고
 - 지방 행정 기구를 중심으로 한인 보호, 납세 징수, 광동학교 설립, 기관지 발행 등을 수행함.
 - 의용군을 편성하여 친일파 숙청, 일제 관공서 습격 등의 무장투쟁을 전개함.

 ▶ 1922.10 내부 폭력 사건이 발생하자 복벽파와 공화파의 갈등이 심화되어 무력 충돌이 일어남.
 ▶ 1923 이에 복벽파는 통의부를 탈퇴하여 의군부를 결성함. 

 ▶ 통의부와 의군부 간의 무력 충돌이 계속되자,
 ▶ 1924.5 의용군 일부가 통의부를 탈퇴하여 임시정부 직할의 참의부를 설립함. 
 ▶ 1924.6 의용군 5중대가 참의부에 가담함.

 ▶ 통의부와 참의부의 갈등은 계속되었고,
 ▶ 1924.11 정의부 결성 후, 통의부 남아있던 독립운동가 대부분이 정의부로 합류함.
 ▶ ~1927 통의부는 활동을 이어가지만, 서간도 지역 독립군 활동의 중심은 참의부와 정의부로 넘어감. 




# 참고 자료
[통의부]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