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감부 취임 이전
 ▶ 1841
            야마구치현에서 농민 집안에서 출생
 - 하급 무사의
            양자가 되어 ‘이토’ 성을 받음
 ▶ 1863
            영국 유학, 이후 개국론자가 됨.
 ▶ 1868 메이지 유신 - 유신에 참여한 이토는 메이지 정부에서 외국 사무를
            담당하며 관직 생활을 시작함.
 ▶ 1884.12
            갑신정변 - 급진개화파가 일본 공사의 협조를 받아 거사를
            도모하지만, 청군이 개입으로 실패함.
 ▶ 1885.1 톈진조약 - 이토와 이홍장의 협상으로 조선에서의 양국 군대 철수와
            출병 사전 통보를 합의.
 ▶ 1885.12 일본에서 내각 제도가 실시되며 초대 총리대신으로
              취임. 
 ▶ 1894
            동학농민운동,
            청·일 전쟁 - 조선 내 청군과 일본군이 충돌하며 일본이 승리.
 ▶ 1895 시모노세키 조약 - 이토는 이홍장과의 담판을 통해 중국의 조선 종주권 포기와
            랴오둥반도 등 영토 할양, 배상금을 얻어냄.
 ▶ 1905.9
            포츠머스 조약 - 일본이 러·일 전쟁에 승리하며
            남사할린과 만주 내 주요 이권을 차지함.
 ▶ 1905.11 을사늑약 - 이토는 대한제국에 입국해 을사오적의 서명을 받아냈고,
            고종의 재가 없이 외교권을 박탈함.
          
            ■ 통감부 취임 이후
 ▶ 1906.2
            통감부
            설치 - 초대 통감으로 취임하여 대한제국의 실질적 지배권
              장악. 
 ▶ 1907.6
            헤이그 특사 사건
 ▶ 1907.7 이토는
            고종에게 퇴위를 강제하고, 한·일 신협약(정미 7조약)을 체결
 ▶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시키고, 경찰권을 위임받음.
 ▶ 1909.6
            2대 통감 소네 아라스케 취임
 ▶ 1909.10
            러시아 재무장관과 열차 회담 후, 하얼빈역 플랫폼에서 안중근 의사에게 처단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