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1860 동학
            창시
 ▶ 1864 최제우
            처형 → 동학도들은 교조 신원 운동을 벌임
 ▶ 1884 갑신정변 → 청과
            일은 톈진조약 체결
 ▶ 1894 고부 농민 봉기 → 농민군이 해산하자 농민과 동학도를 탄압
          
            ■ 전주 화약 이전의 동학 농민 운동
 ▶ 1894.4.30
            백산대회 - 전봉준을 총대장으로 진군을 위한 전열 체계를
            갖춤(4개 약속, 12개조 기율 마련)
 ▶ 1894.5
            황토현 전투, 황룡촌 전투 - 동학 농민군은 정읍과
            장성에서 승리
 ▶ 5.31
            전주성 점령 - 농민군은 전주성에 무혈입성
 ▶ 조선 정부의 요청으로 청군이 국내에 파견, 톈진조약에 의해
              일군도 파견 
 ▶ 6.1~6.6
            완산전투 - 농민군과 경군 전주성을 둘러싸고 전투
 ▶ 6.5~15
            청군과 일군이 각각 아산만과 인천에 상륙
 ▶ 6.11 (음 5.8) 전주 화약 - 동학
            농민군과 조선 정부는 농민군 철수와 집강소 설치에 합의
 - 조선
            정부와 동학 농민군은 청군과 일본군의 충돌 우려
 - 동학
            농민군은 청군과 일본군의 철수가 시급하다고 판단
 ▶ 농민군은 해산 이후 전라도에 집강소(자치 기구) 설치하여 폐정
              개혁을 추진 
 - 폐정 개혁은 탐관오리 처벌과 삼정의 폐지 등
            사회 문제에 대한 해결을 목표로 함
 ▶ 이후 조선 정부는
            청과 일본에 철군을 요청
          
            ■ 전주 화약 이후의 동학 농민 운동
 ▶ 1894.7 갑오개혁 - 일본군이 경복궁을 점령하고, 왕권을 제한하는 내각 중심의
            정치를 강제
 ▶ 8.1 (음 7.1)
            청·일 전쟁 발발
 ▶ 동학 농민군은 조선 정부를 장악한 일본군을 몰아내기 위해
              다시 봉기 
 ▶ 10.23~25 (-) 1차
            격전(공주 전투, 능치 전투) - 농민군은 호전하지만,
            일본군 지원이 도착하며 퇴각함
 ▶ 11.8~11 (-)
            2차 격전(우금치 전투) - 동학 농민군은 관군과
            일본군에게 패배
 ▶ 이후 간헐적으로 지역별 항쟁이
            이뤄지지만, 계속 패배하며 농민군은 완전히 해산
 ▶ 1895.1 (음 1894.12)
            전봉준은 몸을 숨겼으나, 밀고에 의해 체포되어 한양으로 압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