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광주학생항일 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
11월 3일, 학생독립운동 기념일

나주역 사건을 계기로 광주 지역 학생들은 일제의 차별과 탄압에 맞서 항일 시위를 전개함.
신간회의 지원 속에 전국으로 확산되며 국내외로 이어지는 학생 중심의 항일운동으로 발전함.

■ 배경
 ▶ 일제 강점기 동안 일본인 대지주가 경제를 장악하여 한국인들은 극심한 빈곤과 차별 속에 살았고, 
 - 더욱이 조선교육령(1911)으로 교육 기회마저 제한받음.

 ▶ 1926 6.10 만세운동 이후 민족 운동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은 통합을 모색하였고,
 ▶ 1927.2 국내 좌·우익 지도자들이 모여 신간회를 창립함. 

■ 광주학생항일 운동
□ 나주역 사건
 ▶ 1929.10.30 나주역에서 일본 중학생들이 한국인 여학생을 희롱하자, 
 ▶ 이를 본 한국인 남학생이 항의하면서 충돌이 발생했고, 결국 양측 학생 간 집단 싸움으로 번짐.
 ▶ 일본 경찰이 일본 학생 편을 들자, 광주 지역 학생들의 분노가 폭발하면서 갈등이 격화됨.

□ 1차 학생 시위
 ▶ 11.3 개천절에 한국인 학생들은 일왕 생일 축하 행사(현, 일본 문화의 날)를 강요당했고,
 ↘ 당시 개천절은 음력으로 지냄
 ▶ 한국인 학생이 일본인 학생에게 테러를 당하면서 폭력 사태로 번짐.
 ▶ 장재성(22)의 지도 아래 학생들이 광주 시내에서 대규모 가두시위를 전개했으나, 경찰에 체포당함. 

 - 11.3 허정숙(근우회)이 광주에 내려와 학생들을 만나고, 이후 서울에 사건을 알리며 시위를 독려함.

□ 2차 학생 시위
 ▶ 11.12 광주 지역 학생들이 시위와 동맹휴학을 벌임.
 ▶ 일제는 학생들을 체포하고 언론을 통제했으며, 학교는 학생들에게 무기정학과 퇴학 등의 처분을 내림.
 ▶ 그러나, 이러한 탄압은 오히려 항일 열기를 더욱 고조시키는 계기가 됨.

□ 전국적 확산
 ▶ 11.16 신간회 광주지회는 시위 소식을 신간회 본부와 조선청년동맹 간부들에게 알리고, 전국적 확산을 제안함.
 ▶ 12.3 서울 학생들에게 시위 동참을 호소하는 격문이 배포됨.

 ▶ 12.9 서울 각 학교에서 항일 시위가 벌어졌고, 이에 따라 하루 동안 1,200여 명이 체포됨.
 ▶ 12.10 신간회는 학생운동을 전국 항일운동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대책회의를 개최함.
 ▶ 12.13 신간회 간부들이 체포됐지만, 지시문이 각 지회로 전달되어 전국적 시위로 확산됨. 
 ▶ 1930.1 허정숙 등이 만세 시위를 준비했지만, 정보가 누설되어 체포됨.
 ▶ ~1930.3 항일 운동은 지속되었고, 국내뿐 아니라 만주 등 해외까지 확산됨.

■ 이후
 ▶ 1953 ‘학생의 날’로 지정하여 기념함.
 ▶ 1973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학생의 날’을 폐지함.
 ▶ 2006 ‘학생독립운동 기념일’로 공식 지정하여 기념



# 참고 자료
중학교 역사2, 금성출판사 2023
중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광주학생항일운동]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