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1870 전후
            일본에서 정한론이 부각된 이후,
 ▶ 1876
            운요호 사건(1875)을 계기로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며 조선에서 일본의 영향력을 확대함.
 ▶ 1894 청일 전쟁 중에
              일본은 조선 보호국화 방침을 결정함. 
 ▶ 1904.2
            러일 전쟁
            중
 ▶ 1904.2 전쟁
            수행을 위해 대한제국의 영토 사용권을 확보하는
            한·일 의정서를
            체결하고,
 ▶ 1904.8
            이어 1차 한일 협약을
            통해 재정과 외교에 고문을 파견함.
 ▶ 1905.11 러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을사늑약을 통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부를
              설치함. 
 ▶ 1907 고종이
            조약의 부당함을 알리려
            헤이그 특사를
            파견했으나 강제로 퇴위당하고,
 ▶ 1907.7
            곧이어 한일 신협약이
            체결되어 통감부가 내정을 장악함.
 ▶ 1909.10
            안중근 의사가 하얼빈에서
            이토를 처단했지만,
            일본은 일진회를 통해 합방
            청원 운동을 전개함.
 ▶ 1910.4
            데라우치 통감이 부임하고 헌병 경찰 체제를 구축함.
          
            ■ 경술국치(한일병합)
 ▶ 1910.8 데라우치
            통감은 이완용, 조중응과 합방 조약 구체안을 밀의함.
 ▶ 8.22
            순종 앞에서 형식적 어전회의 후 이완용과 데라우치는 조약에 조인하고,
            비밀에 부침.
 ▶ 8.29 이완용, 윤덕영이 순종의 어새를 날인해 공식적으로
              선포됨. 
 - 
          
            ■ 이후
 ▶ 대한제국 국호가 폐지되고, 순종은 황제에서 왕으로
            격하됨.
 ▶ 1910.10
            조선총독부가 개설되어 데라우치가 초대 총독으로 부임함.
 - 조선총독부는 토지조사사업과
            회사령 등을 통해 한국
            경제와 자원을 체계적으로 일본에 예속화함.
 - 일본은
            한국을 식량·원료 공급지이자 상품 시장으로 삼아 식민지 경제 정책을
            펼치며,
 - 철도·도로·항구 등을 식민지 수탈과 대륙
            침략에 활용함.
 ▶ 1919 3.1 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