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경학사
 ▶ 1910
            😈경술국치
 ▶ 1911.4
            이회영(45) 등
            신민회 인사들은 서간도(백두산 북서쪽)에 경학사 설립하고,
 ▶ 1911.6
            무관학교인
            신흥강습소를
            설치함.
 - 경학사는 독립운동 기지 건설과
            자치·교육을 통한 민족 자립을 지향함.
 ▶ 1913.3
            자금 모집과 일제의 압박으로 경학사 활동은 중단됨.
□
            부민단과 한족회
 ▶ 1915 가을~1916 초
            서간도 자치기관인 부민단이 조직됨.
 - 1919 3.1 운동 
 ▶ 1919.3 부민단 등 서간도 단체들이 모여 한족회로 단합하고, 한족회는
              군정부를 조직함. 
 ▶ 1919.5
            무관학교를 이전하여 신흥무관학교로 개편함.
 ▶ 1919.6~1920.1
            한족회는 기관지인 ‘한족신보’ 발행했지만 폐간되고, 다시 ‘새배달’
            간행
 - 1919 여름
            파리 강화회의에서
            성과를 얻지 못하자, 독립운동가들은 독립전쟁론을 주장함.
          
            ■ 서로군정서
 ▶ 1919.9 대한민국 임시정부
              통합 
 ▶ 1919.11 한족회와
            군정부는 임시정부의 통합 제안을 받아들여 임시정부 통치하에
            들어감.
 ▶ 1920.3 군정부를 (서로)군정서로 변경하고, 무장 독립 투쟁을
              담당함. 
 - ~1922
            한족회와 국내에서 모은 군자금으로 독립군을 양성하여,
 - 국내·서간도
            지역에서 보민회, 일본거류민단 등 민족 반역자를 처단하고 일제 관공서
            파괴 등을 수행함.
 - 이후,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자,
            북로군정서와 협조하여
            활동함.
□ 간도참변과 청산리대첩
 ▶ 만주
            지역에서 무장 독립투쟁이 활발해지자, 일제는 ‘간도 지방 불령선인 초토
            계획’을 세우고,
 - 일제는 훈춘 사건을 일으켜
            일본인 보호를 명분으로 삼아, 만주에 2만여 명의 정규군을 투입함.
 ▶ 1920.10~11
            간도참변으로 일군은
            최소 3,000여 명의 만주 지방 한인들을 학살함.
 ▶ 1920.10.21~26
            🏹청산리 대첩
□ 자유시 사변
 ▶ 서로군정서의 지청천 부대는 홍범도 부대와
              합류하여 러시아와 만주의 국경지대인 밀산으로 이동함.
 ▶ 1920.12
            독립군 단체들은 일군에 대항하고자 대한독립군단을 조직하고
            러시아령으로 이동함.
 ▶ 1921.6
            자유시 사변 - 러시아 적군의 공격으로 독립군은 희생당하고 무장
            해제됨.
          
            ■ 이후
 ▶ 1922 서간도에 주둔하던 서로군정서 등 독립군 단체들은
              남만한족통일회를 개최하고 대한통군부를 결성함. 
 ↘ 대한독립단·보합단·광한단·광복군총영 등
 ▶ 1922.8
            대한통군부는 통의부로 개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