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자유시 사변

흑하사변

자유시로 집결한 한인 무장 부대는 대한의용군과 고려혁명군으로 나뉘어 대립함.
고려혁명군과 러시아 적군이 연합하여 대한의용군을 무장 해제시키는 과정에서 독립군들이 희생됨.

■ 이전
 ▶ 1919.3 러시아 혁명 이후 소비에트 정권은 코민테른을 창설하고 반제국주의 운동을 지원함.
 ↘ 코민테른(Comintern)은 국제 공산주의 조직(Communist International)
 ▶ 1920.10 일본이 훈춘 사건을 조작한 뒤 만주에 정규군을 투입하면서 청산리 대첩간도 참변이 발생함.
 ▶ 만주 지역의 독립군들은 밀산으로 이동하여 서일(40)을 총재로 대한독립군단을 조직하고,
 ▶ 소비에트 정권의 지원을 기대하며 자유시로 이동함. 
 - 당시 극동 지역의 한인 무장 부대들도 자유시로 집결하면서, 그곳에는 약 4,000명의 무장 세력이 모임.

 ▶ 1921.3 자유시에서 결집한 사회주의 계열의 한인 무장 부대는 대한의용군과 고려혁명군으로 나뉘었으며,
 - 재러시아 한인 무장 부대들의 지휘권을 놓고 대립함. 
 ▶ 재러시아 한인 군대의 관할권이 코민테른 동양비서부로 이관되면서 고려혁명군이 우세해짐.
 ▶ 1921.3 코민테른 동양비서부에서 ‘고려 혁명 군정 의회’를 설치하고 한인 무장 부대의 대립을 조정하려 함.
 ↘ 고려혁명군정의회는 고려혁명군을 총괄하는 정치·군사적 지도 기구
 ▶ 하지만, 조정에 실패하자 고려혁명군정의회는 대한의용군의 무장해제를 명령함.

■ 자유시 사변
 ▶ 6.28 고려혁명군과 러시아 적군이 연합하여 대한의용군 주둔지를 공격하고 포위하고,
 ▶ 대한의용군 등 지휘권 양도를 거부하는 다른 독립군 부대들까지 무장해제 시킴. 
 - 이 과정에서 수백 명의 독립군이 희생됨.

■ 이후
 ▶ 지청천과 홍범도 등은 이르쿠츠크로 이동하고,
 - 무장 해제된 독립군은 자유시에서 탈출하여 만주로 귀환함.




# 참고 자료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자유시 참변] 교과서 용어 해설, 우리역사넷 202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