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과 청의 영토 분쟁
□
간도 이주
- 조선 후기부터 조선과 청은 간도
지역의 출입을 제한함.
▶ 1860
2차 아편전쟁에 패배한 청은 베이징 조약을 체결한 뒤, 한족의 간도
이주를 장려함.
- 1863
고종 즉위
▶ 1869 함경도
대기근으로 조선인들도 간도로 이주함.
▶ 1882
청이 간도 조선인을 청나라 백성으로 편입하려 하자, 조선은 이들을
귀환시키겠다고 대응함.
▶ 1883 간도 주민들은 백두산정계비(1712)의 ‘토문강’이 두만강이 아니라 해란강이라며 간도가 조선 영토임을
주장함.
- 이에, 어윤중(37)은 간도 문제를 공식 제기할
것을 정부에 요청함.
↘ 어윤중은 갑오개혁에 참여한 개화파 정치인
□ 국경 확정 협상(감계 협상)
▶ 1885
을유감계
- 조선 측 감계사 이중하(40)는
해란강-분계강을 국경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 청
측은 토문강이 두만강의 다른 이름이라고 반박하며 백두산이 청나라
발상지라고 강조함.
▶ 조선의 문헌에서 토문강을
두만강과 동일한 강으로 기록한 내용이 확인됐지만, 협상은 결렬됨.
▶ 1887
정해감계
- 이중하는 청의 주장을 수용하여 두만강
하류 지역의 경계를 확정했으나, 상류 지역의 경계 합의에는
실패하고,
- 양국은 다시 회동하지 않아 경계
문제는 확정되지 않음.
▶ 1890
청은 간도 주민들에게 변발과 복장을 강요하고, 호구·토지 조사를 하여
강제로 자국에 편입시킴.
▶ 1894
청일 전쟁
▶ 1897
대한제국 선포 이후,
‘독립신문’과 ‘황성신문’ 등 언론과 함경도 출신 지식인들이 영토 문제를
제기함.
▶ 1898
오삼갑 등이 간도 영유권과 주민 보호를 요청하고,
▶ 1899 대한제국이 협상에 나서 주민 보호 조항을 포함한
한청통상조약을 체결함.
■ 간도 협약
□ 무력 충돌
▶ 1900
의화단 사건으로 러시아가 만주를 장악하자, 간도에서 청의 행정·군사
공백이 발생하며 한인들이 약탈 피해를 당함.
▶ 1901
대한제국은 회령에 변계경무서를 두어 한인 보호에 나섰지만, 청과
러시아에 의해 활동이 제한됨.
▶ 러시아는 대한제국과
청의 주민 공동 보호를 제안했으나, 청이 거부하면서 무력 충돌이
이어짐.
▶ 1902
대한제국은 이범윤을 시찰관으로 파견해 간도 한인의 호구·부동산 조사와
청의 세금 수탈 실태를 조사함.
▶ 1903
이범윤은 관리사로 승격되어 사포대를 조직해 청과 무력 충돌을 벌임.
▶ 1904
일본이 개입하여 무력 충돌 완화를 위한 잠정적 합의를 맺음.
□
을사늑약
▶ 1904.2
러일 전쟁
개전
▶ 1905 을사늑약으로
대한제국 외교권은 박탈되고, 이범윤(50)은 연해주로 이주하여 의병 활동의 중심인물이 됨.
▶ 1907
통감부에서 간도 파출소를
설치하고, 조선의 논리로 간도 문제에 대응함.
□ 간도
협약
▶ 1909.9
외교권을 강탈한 일본이 청의 요구를 수용하며 간도 협약을 맺음.
- 청이
간도를 차지하고 주민도 관할함.
- 일본은 간도를 포기하는 대가로 만주 철도 부설권과 광산
채굴권 등 이권을 확보함.
- 대한제국은 자국의 영토 분쟁에 참여하지 못함.
■ 이후
- 일본은 만주 지배를 위한 기반을 확보함.
- 간도는
청의 지배를 받으면서도 한인들의 항일 독립운동 중심지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