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 1919
3.1 운동 이후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됨.
▶ 1919
하지만
파리 강화회의와
베르사유 체제는 승전국의 식민지 지배를 인정함.
▶ 1920~
이에 임시정부는 일제의 탄압과 재정난으로 활동에 어려움을 겪음.
- 또한
독립운동 방식과 사상을 둘러싼 내부 갈등, 이승만의 위임통치 사건
등으로 분열됨.
▶ 1925
이승만 탄핵 후 국무령제가 시행되고,
▶ 1927.12
국무령 김구는 국무위원제를 시행하여 내무부를 맡음.
🌏 1931
만보산 사건(7월)과
만주사변(9월)으로 한국인과 중국인 사이에
불신이 커지고,
↘ 만보산 사건은 일본이 한국인과 중국인의 갈등을
조작·왜곡하여 양 민족 간의 불신과 충돌을 유도한 사건
- 임시정부는 중국 내에서 고립됨.
■ 한인 애국단
▶ 1931.9
임시정부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인 단체들을 모아 반일·중국 지원
운동을 추진함.
- ??
또한 임시정부는 비밀 조직 특무대를 결성하고 김구에게 전권을
위임함.
- 특무대는 김구를 단장으로 폭파와 암살 등
의열투쟁을 전개함.
- 일제는 80여 명 규모로
추정했으며 핵심 단원은 이봉창, 윤봉길 등을 포함한 10여 명으로
파악함.
▶ 1932.1
첫 의거, 이봉창은 도쿄에서 일왕을 향해 폭탄을 던짐 (이봉창 의거).
🌏 1.28~3.1 1차
상하이 사변
▶ 2.12
김구는 이즈모호 폭파를 계획했으나, 미완에 그침.
▶ 3월
김구는 일본군 비행장과 무기창고 폭파를 계획했으나, 중일 임시휴전으로
실행하지 못함.
▶ 조선 총독 암살 시도를 위해 국내
잠입했지만, 체포됨.
▶ 다롄에서 일본 주요 인사 암살을
준비했지만, 체포됨(5.24).
▶ 4.29 윤봉길은 홍커우공원에서 일본군 총사령관 등 주요 인사를
사살함 (윤봉길 의거).
▶ 이후 일제는 상하이 한인들을 무차별
체포했고, 이 과정에서 안창호·이유필 등도 체포됨.
■ 영향
▶ 이러한
활동은 한국 독립운동의 의지를 국제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임시정부가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는 중요한 전환점이
됨.
▶ 그러나 일제의 탄압 강화로 인해 임시정부는
상하이를 떠나 이동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