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한인애국단


김구 주도로 결성한 비밀 의열조직으로 일제에 대한 직접적 무장투쟁을 전개함.
이봉창·윤봉길 의거를 통해 독립운동의 의지를 세계에 알리고,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지를 이끌어냄.

■ 배경
 ▶ 1919 3.1 운동 이후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됨.
 ▶ 1919 하지만 파리 강화회의와 베르사유 체제는 승전국의 식민지 지배를 인정함.
 ▶ 1920~ 이에 임시정부는 일제의 탄압과 재정난으로 활동에 어려움을 겪음.
 - 또한 독립운동 방식과 사상을 둘러싼 내부 갈등, 이승만의 위임통치 사건 등으로 분열됨.
 ▶ 1925 이승만 탄핵 후 국무령제가 시행되고,
 ▶ 1927.12 국무령 김구는 국무위원제를 시행하여 내무부를 맡음.

 🌏 1931 만보산 사건(7월)만주사변(9월)으로 한국인과 중국인 사이에 불신이 커지고,
 ↘ 만보산 사건은 일본이 한국인과 중국인의 갈등을 조작·왜곡하여 양 민족 간의 불신과 충돌을 유도한 사건
 - 임시정부는 중국 내에서 고립됨. 

■ 한인 애국단
 ▶ 1931.9 임시정부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인 단체들을 모아 반일·중국 지원 운동을 추진함.
 - ?? 또한 임시정부는 비밀 조직 특무대를 결성하고 김구에게 전권을 위임함. 
 - 특무대는 김구를 단장으로 폭파와 암살 등 의열투쟁을 전개함.
 - 일제는 80여 명 규모로 추정했으며 핵심 단원은 이봉창, 윤봉길 등을 포함한 10여 명으로 파악함.

 ▶ 1932.1 첫 의거, 이봉창은 도쿄에서 일왕을 향해 폭탄을 던짐 (이봉창 의거).
 🌏 1.28~3.1 1차 상하이 사변
 ▶ 2.12 김구는 이즈모호 폭파를 계획했으나, 미완에 그침.
 ▶ 3월 김구는 일본군 비행장과 무기창고 폭파를 계획했으나, 중일 임시휴전으로 실행하지 못함.
 ▶ 조선 총독 암살 시도를 위해 국내 잠입했지만, 체포됨.
 ▶ 다롄에서 일본 주요 인사 암살을 준비했지만, 체포됨(5.24).
 ▶ 4.29 윤봉길은 홍커우공원에서 일본군 총사령관 등 주요 인사를 사살함 (윤봉길 의거).

 ▶ 이후 일제는 상하이 한인들을 무차별 체포했고, 이 과정에서 안창호·이유필 등도 체포됨.

■ 영향
 ▶ 이러한 활동은 한국 독립운동의 의지를 국제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임시정부가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는 중요한 전환점이 됨. 
 ▶ 그러나 일제의 탄압 강화로 인해 임시정부는 상하이를 떠나 이동하게 됨.




# 참고 자료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한인애국단]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