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만주사변


일본 관동군은 류탸오후 사건을 조작해 만주를 침략하고, 만주국을 세움.
국제연맹은 이를 침략으로 규정하고 철수를 권고했지만, 일본은 연맹을 탈퇴함.
이후, 중국이 만주국을 사실상 인정하면서 일본의 만주 지배가 확정됨.

■ 배경
□ 일본의 만주 진출
 ▶ 1905 러일 전쟁에 승리한 일본은
 ▶ 1906 남만주철도주식회사(만철)를 설립해 만주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확대함.
 - 일본은 관동도독부를 설치하고, 만철 보호를 명분으로 수비군(후일 관동군)을 주둔시킴.

□ 중국의 상황
 ▶ 1916 중국에선 중화민국 수립(1912) 이후 군벌 시대가 시작되고,
 ▶ 1922 장쭤린(군벌)이 독자적으로 일본과 협력해 철도·산업·토지 문제 해결을 시도함.
 ▶ 1926~ 국민당이 북벌을 시작하고,
 ▶ 1927~1936 그 과정에서 국민당과 공산당의 갈등이 격화되어 1차 국공내전이 발생함. 

□ 일제의 만주 침략 준비
 ▶ 1928.6 장쭤린이 일본의 요구를 더 이상 수용하지 않자, 관동군이 장쭤린을 제거함(황고둔 사건).
 - 그리고 관동군이 배후임이 드러남.
 ▶ 이후 장쉐량(장쭤린의 아들)이 국민정부에 합류해 일본에 맞섰고, 만주 전역에서도 반일 운동이 확산함.
 ▶ 또한 중국이 서구 자본을 들여와 자체적으로 철도를 건설하자, 일본은 이를 위기로 인식함.

 ▶ 1929.7 일본 내에서 황고둔 사건의 영향으로 내각이 교체되고,
 ▶ 1929 여기에 세계 대공황의 영향으로 불황에 빠지면서 군과 우익 세력의 반발이 커짐.
 ▶ 1930~1931 총리 저격 사건과 쿠데타 미수 사건이 발생하는 등 정국이 불안해지자,
 ▶ 1931.6 일본 군부는 만주 침략 계획을 구체화함.

□ 중국과 일본의 대립
 ▶ 1931.7 완바오산에서 조선인과 중국인의 무력 충돌로(만보산 사건) 중·일 관계가 악화되고,
 ▶ 같은 달 나카무라 사건이 일본 내 알려지며 반중 감정이 더욱 격화됨.
 ↘ 관동군 나카무라가 농업 기사로 위장해 만주에서 군사 정찰 임무를 수행하다 중국군에 의해 피살

■ 만주 사변
□ 류탸오후 사건
 ▶ 1931.9.18 관동군이 류탸오후 철도 선로를 폭파한 뒤, 이를 구실로 중화민국 군대를 공격함. 
 ▶ 9.19 관동군은 남만주철도 선상의 주요 도시들을 점령하고,
 - 9.19 일본 언론은 중국군이 일본군을 습격했다고 보도하며, 관동군의 군사 행동은 자위 목적이었다고 주장함.
 ↘ 자위 목적의 군사 행동은 침략이 아니라는 ‘켈로그-브리앙 조약(1928)’을 이용

 ▶ 이에 중국은 국제연맹에 제재를 요청했지만, 서구 열강은 일본에 유화적인 태도를 보임.
 - 국제연맹은 일본의 영토 확장 의도가 없다는 입장을 존중하며, 일본군의 조속한 철수를 결의함.
 ▶ 1931년 말 일본군의 진저우 공격 이후 국제연맹은 만주사태 조사를 위해 조사단 파견을 결정함.

□ 일본이 만주국을 세움
 🐯 1932.1 이봉창 의사 의거
 ▶ 1932.1 1차 상하이 사변이 일어나자, 열강은 상하이 이권 문제로 일본에 비판적 태도를 취함.
 ▶ 1932.3 일본은 푸이를 국가원수로 하는 만주국을 세움. 
 🐯 1932.4 윤봉길 의사 의거
 ▶ 1932.9 일본 정부는 만주국을 공식 승인하고, 일만의정서를 체결함.

□ 국제연맹 탈퇴
 ▶ 1932.10 국제연맹은 리튼 조사단의 보고서를 반영하여 만주사변을 일본의 침략으로 규정함.
 ▶ 1933.2 국제연맹 특별총회에서 일본군 철수와 만주국 불인정을 담은 권고안이 채택됨.
 ▶ 1933.3 일본은 상임이사국 지위를 버리고 국제연맹을 공식 탈퇴함. 

 ▶ 1933.3 일본이 베이징과 톈진 인근까지 남하하자,
 ▶ 1933.5 중국은 일본과 만주사변에 대한 정전협정(탕구협정)을 체결하며 만주국을 사실상 인정함. 

■ 이후
 ▶ 1937.8 중일 전쟁




# 참고 자료
[만주사변]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