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 일본의 만주 진출
▶ 1905
러일 전쟁에 승리한
일본은
▶ 1906
남만주철도주식회사(만철)를 설립해 만주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확대함.
- 일본은 관동도독부를 설치하고, 만철
보호를 명분으로 수비군(후일 관동군)을 주둔시킴.
□ 중국의 상황
▶ 1916 중국에선
중화민국 수립(1912) 이후 군벌 시대가 시작되고,
▶ 1922
장쭤린(군벌)이 독자적으로 일본과 협력해 철도·산업·토지 문제 해결을
시도함.
▶ 1926~
국민당이 북벌을 시작하고,
▶ 1927~1936
그 과정에서 국민당과 공산당의 갈등이 격화되어 1차 국공내전이 발생함.
□ 일제의 만주 침략 준비
▶ 1928.6 장쭤린이
일본의 요구를 더 이상 수용하지 않자, 관동군이 장쭤린을 제거함(황고둔
사건).
- 그리고 관동군이 배후임이 드러남.
▶ 이후
장쉐량(장쭤린의 아들)이 국민정부에 합류해 일본에 맞섰고, 만주
전역에서도 반일 운동이 확산함.
▶ 또한 중국이 서구
자본을 들여와 자체적으로 철도를 건설하자, 일본은 이를 위기로
인식함.
▶ 1929.7
일본 내에서 황고둔 사건의 영향으로 내각이 교체되고,
▶ 1929
여기에 세계 대공황의 영향으로 불황에 빠지면서 군과 우익 세력의
반발이 커짐.
▶ 1930~1931
총리 저격 사건과 쿠데타 미수 사건이 발생하는 등 정국이
불안해지자,
▶ 1931.6
일본 군부는 만주 침략 계획을 구체화함.
□ 중국과 일본의 대립
▶ 1931.7
완바오산에서 조선인과 중국인의 무력 충돌로(만보산 사건) 중·일 관계가
악화되고,
▶ 같은 달 나카무라 사건이 일본 내 알려지며
반중 감정이 더욱 격화됨.
↘ 관동군 나카무라가 농업 기사로 위장해 만주에서
군사 정찰 임무를 수행하다 중국군에 의해 피살
■ 만주 사변
□ 류탸오후 사건
▶ 1931.9.18 관동군이 류탸오후 철도 선로를 폭파한 뒤, 이를 구실로
중화민국 군대를 공격함.
▶ 9.19 관동군은
남만주철도 선상의 주요 도시들을 점령하고,
- 9.19
일본 언론은 중국군이 일본군을 습격했다고 보도하며, 관동군의 군사
행동은 자위 목적이었다고 주장함.
↘ 자위 목적의 군사 행동은 침략이 아니라는
‘켈로그-브리앙 조약(1928)’을 이용
▶ 이에 중국은 국제연맹에 제재를 요청했지만,
서구 열강은 일본에 유화적인 태도를 보임.
- 국제연맹은
일본의 영토 확장 의도가 없다는 입장을 존중하며, 일본군의 조속한
철수를 결의함.
▶ 1931년 말
일본군의 진저우 공격 이후 국제연맹은 만주사태 조사를 위해 조사단
파견을 결정함.
□ 일본이 만주국을 세움
🐯 1932.1
이봉창 의사 의거
▶ 1932.1 1차 상하이 사변이 일어나자, 열강은 상하이 이권 문제로 일본에 비판적 태도를 취함.
▶ 1932.3 일본은 푸이를 국가원수로 하는 만주국을 세움.
🐯 1932.4
윤봉길 의사 의거
▶ 1932.9 일본
정부는 만주국을 공식 승인하고, 일만의정서를 체결함.
□ 국제연맹 탈퇴
▶ 1932.10
국제연맹은 리튼 조사단의 보고서를 반영하여 만주사변을 일본의
침략으로 규정함.
▶ 1933.2
국제연맹 특별총회에서 일본군 철수와 만주국 불인정을 담은 권고안이
채택됨.
▶ 1933.3 일본은 상임이사국 지위를 버리고 국제연맹을 공식
탈퇴함.
▶ 1933.3
일본이 베이징과 톈진 인근까지 남하하자,
▶ 1933.5 중국은 일본과 만주사변에 대한 정전협정(탕구협정)을 체결하며
만주국을 사실상 인정함.
■ 이후
▶ 1937.8
중일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