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민족유일당 운동


국민대표회의 결렬 이후

정당 형태의 민족운동 총지도기관을 결성하고자 했지만,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계열 간 대립으로 인해 좌절됨.
이후, 정당 중심의 민족운동이 전개됨.

■ 배경
 ▶ 1923 임시정부 존폐를 둘러싼 창조파와 개조파의 대립으로 국민대표회의가 결렬됨. 
 ▶ 이에 따라 독립 역량을 통합하고 민족유일당을 조직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됨.

 - 1924 중국의 제1차 국공합작과 코민테른의 민족협동전선론은 한국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줌.
 ▶ 1924 안창호·여운형 등이 ‘대동통일취지서’를 발표했고, 임시의정원이 독립당대표회의 소집을 제의하고,
 ↘ 임시의정원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입법기관
 ▶ 사회주의 단체들도 민족협동전선 결성에 동의함.

■ 민족유일당 운동
□ 중국 관내
 ▶ 1926.10 북경에서 안창호와 원세훈이 주도하여 ‘대독립당조직 북경촉성회’가 결성됨.
 ▶ 1927 한국독립유일당상해촉성회가 결성되어 민족유일당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으나,
 ▶ 1929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진영 간 이념과 활동방식 차이 등으로 해체됨. 

□ 국내
 ▶ 1927.2 신간회 창립 
 ▶ 1927.5 근우회 창립

□ 만주 지역
 ▶ 중국 관내 민족유일당 운동이 만주로 확산되어
 ▶ 1927 정의부와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이 각기 민족유일당 운동을 추진함.
 ▶ 1927.4~8 정의부 주도로 길림에서 시사연구회가 조직되고, 사회주의 청년단체들은 내부 통합을 추진함.

 ▶ 1928.5 시사연구회 주관으로 민족유일당조직촉성회의가 열려 18개 단체 대표가 참가함.
 ▶ 하지만, 조직 방식에 대한 차이로 ‘협의회’ 계열과 ‘촉성회’ 계열로 나뉨.
 - ‘협의회’는 독립운동 단체의 연합을, ‘촉성회’는 기존 단체 해체 후 새로운 민족유일당 결성을 주장하며 대립함.

 ▶ 1928.12 결국, 촉성회 계열은 혁신의회를 조직하고,
 ▶ 1929 협의회 계열인 정의부와 신민부 민정파, 참의부 일부 세력은 국민부를 조직함. 

■ 이후
 ▶ 한국독립당, 조선혁명당 등 정당 중심의 민족운동이 전개됨.




# 참고 자료
중학교 역사2, 금성출판사 2023
중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민족유일당 운동]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