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 한인사회당
▶ 1917
러시아 혁명으로
볼셰비키가 주도하는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됨.
▶ 1918
극동의 한인 볼셰비키들은 이동휘가 이끄는 ‘한인신보’ 세력과 연대하기
시작하고,
▶ 1918.4 이동휘와 김알렉산드라 등이 한인사회당(최초의 한인 사회주의
정당)을 조직함.
▶ 한인사회당은 창당 직후 적위대를 조직해
러시아 내전에
참전했지만,
▶ 1918.8
연합군의 시베리아 개입으로 극동 소비에트 정부가 붕괴하면서,
한인사회당도 사실상 궤멸함.
▶ 1919
하지만 3.1 운동의 영향과
러시아 내전에서 소비에트 정권이 우세해지며 한인사회당도 세력을
회복함.
▶ 1919.4
상하이 임시정부 수립
▶ 1919.9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이동휘가 국무총리로 취임하고,
- 이동휘는
소비에트 정부(당시 임시정부를 지지한 유일한 국가)와의 유일한 외교
창구로 주목받음.
▶ 1920.5
이동휘를 비롯한 한인사회당 간부들을 주축으로 ‘한인공산주의그룹’이
결성됨.
□ 사회혁명당
▶ 1920.6 신아동맹당 조선 지부가 사회혁명당(최초의 국내 사회주의
정당)으로 개칭함.
↘ 신아동맹단은 1916년 일본 동경에서 결성된
아시아 유학생 중심의 반제국주의 비밀결사
■ 고려 공산당
▶ 1921.5 상하이에서 ‘한인공산주의그룹’에 사회혁명당 참여하여
공산당을 창당함(상하이파 고려공산당).
- 간부진 대부분이 사회혁명당 출신으로
구성되었고, 이탈한 인사들은 이르쿠츠크파로 합류함.
▶ 같은
시기, 러시아에서 고려공산당이 따로 창당되어(이르쿠츠크 고려공산당)
상하이에 지부를 구성함.
□ 상하이파의 활동과 갈등
- 이동휘는
임시정부 국무총리로서 영향력을 행사했고.
- 상하이파는
소비에트 정부와의 외교를 주도하고, 레닌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이를
운용하며 주도권을 확보함.
- 또한 사회혁명당
세력은 청년회 활동 등을 통해 전국적인 기반을 다져 나감.
- 하지만,
상하이파는 임시정부 자금 관리 문제로 임시정부 내부와 이르쿠츠크파의
비판을 받았으며,
- 소비에트 자금 횡령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지 않았지만, 이를 계기로 사회혁명당 인사들은 사상적
정체성을 명확히 할 것을 요구받음.
▶ 1921.6
상하이파와 이르쿠츠크파가 독립군의 지휘권을 둘러싸고 갈등하다 자유시 사변이 발생함.
▶ 1922.12 코민테른은 상하이파와 이르쿠츠크파의 해산을
명령하고,
▶ 조선 내 공산당 창당을 위해 양측 인사들로 구성된
‘꼬르뷰로’를 설치함.
↘ 꼬르뷰로는 조선공산당 조직을 위한 임시
기관
■ 이후
▶ 1925
조선 공산당 창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