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1907.6
헤이그 특사 파견 → 고종 강제 퇴위
▶ 1907.7 한·일 신협약
- 대한제국의 행정권과 인사권이 박탈되고 통감이
내정을 장악함.
- 부수각서에 군대 해산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
▶ 1907.8.1
군대 해산 - 시위대와 일본군의 교전이 있었지만, 대한제국 군대는
해산됨.
■ 정미의병
-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 활동에 가담하며 의병의 질적·양적
향상이 이뤄짐.
- 관료부터 농민까지 다양한 신분이 의병장으로
나서 무장 투쟁을 이끌며 전국적인 항일 구국 전쟁으로 확산하였고,
- 의병장들은
연합 작전을 시도하며, 외국 공사에게 일본의 국제법 위반을 알리기도
했음.
▶ 1907.9 ‘총포
및 화약류 단속법’ 시행 이후 포수들도 의병투쟁에 가담했고,
▶ 1907.11
홍범도는 후치령 전투를 시작으로 의병투쟁을 시작함.
□ 13도
창의군과 서울진공작전
▶ 이인영이 관동창의대장을
표방하며 의병 봉기를 촉구
▶ 13도 창의대진소가
편성되고, 이인영은 지평으로 이동해서 13도 창의대진소 대장으로
추대됨.
▶ 1907.11
13도 창의군이 서울로 진격을 시작
▶ 동대문 약 12km
지점까지 진격했지만, 전군이 모이기 전에 일본군의 선공으로 격전 끝에
퇴각하고,
▶ 임진각 유역에서 2차 작전을 준비했지만
실행하진 못함.
▶ ~1909
핵심 지도부 순국
□ 일본의 남한대토벌작전
▶ 1908~1909
전라도에서 의병 투쟁이 활발하게 일어나자, 일본은 전라도 의병 토벌을
계획함.
▶ 1905.5 말
부산으로 일본 보병 2개 연대가 파병되고,
▶ 1909.7~ 초토화 전술에 의해 전라도 의병은 2개월 만에
붕괴됨.
■ 이후
- 의병 활동은 약화되었지만, 국내외 독립운동과
연결되는 기반이 마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