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6월 항쟁

6월 민주항쟁, 6.10 민주항쟁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이한열 피격 사건을 계기로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항쟁이 시작됨.
시민들은 대규모 시위를 전개했고, 이에 압박을 받은 정부는 결국 대통령 직선제 수용을 발표함.
그 결과 직선제 선거가 시행되면서 한국의 민주주의가 제도적으로 크게 진전됨.

6월 항쟁

■ 배경
□ 대통령 간선제
 ▶ 1972 대통령 박정희는 유신헌법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를 폐지하고 독재 체제를 구축함.
 ▶ 1979 이후 10.26 사건으로 박정희가 사망하고, 12.12 군사 반란을 거쳐 전두환이 실권을 장악함.
 ▶ 1980.5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 전두환은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해 11대 대통령에 취임했음.
 ▶ 1980.10 이어 대통령 임기를 7년 단임제로 개정한 헌법을 마련하였고,
 ▶ 1981.2 대통령 선거인단을 통해 12대 대통령으로 다시 선출되어 집권을 시작함.

 ▶ 1987 대통령 임기 만료(1988년)를 앞두고 국민들의 직선제 요구가 확산됨.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 1987.1 박종철은 민주화운동 선배의 행방을 추궁하던 경찰에 의해 불법 연행되어 고문 끝에 사망했고, 
 ▶ 1.15 이 사실은 언론을 통해 세상에 알려졌음.
 ▶ 1.16 정부는 “수사관이 주먹으로 책상을 ‘탁’ 치자 박종철이 ‘억’ 소리를 내며 쓰러졌다”며 쇼크사라고 발표하며 사건을 은폐하려 했지만,
 ▶ 1.17 고문에 의한 사망을 시사하는 부검의의 검안 소견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진상이 드러나기 시작했음.

 ▶ 1.19 이에 치안본부장은 고문에 가담한 수사관 2명을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위반 혐의로 구속했고,
 ▶ 1.20 전두환 대통령은 유감을 표하며 내무부 장관과 치안본부장을 경질해 정권 책임론을 차단하려 했음.

□ 민주화 운동의 확산
 - 박종철 사망 직후 야당과 재야, 학생, 종교계가 고문공대위(고문 및 용공조작 저지 공동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항의 시위와 공동투쟁을 전개하며 민주화 세력이 연합을 이뤘고, ‘박종철 군 국민추도회 준비위원회’도 구성되었음.

 ▶ 2.7~3.2 박종철 국민추도일을 전후해 전국적으로 추도 시위가 확산되었고, 경찰의 강경 진압 속에서도 시민들이 참여하며 민주화 열기가 거세졌음.
 ▶ 3.3 ‘고문추방 민주화 국민평화대행진’이 전국에서 펼쳐졌고, 이에 맞선 정부의 탄압에도 시위는 계속 이어짐.

□ 4.13 호헌 조치
 ▶ 4.13 김영삼과 김대중이 직선제 개헌을 추진하며 통일민주당 발기인대회를 열었지만, 전두환 대통령이 이를 거부하고 헌법 수호를 선언(호헌조치)하자,
 ▶ 이에 반발한 전국적인 시위가 본격화되었음.

□ 박종철 사건의 진실 폭로
 ▶ 5.18 천주교 신부가 5.18 7주기 미사에서 박종철 사건 조작을 폭로하자 반정부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 5.27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국본)’가 발족하며 민주화운동이 조직적으로 전개되었음.

□ 이한열 열사 피격사건
 ▶ 6.8 국본이 6월 10일 국민대회를 예고하자, 전두환 정권은 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강경한 원천 봉쇄에 나섰음.
 ▶ 6.9 연세대학교에서는 국민대회 참여를 결의하는 총궐기대회가 열렸고,
 ▶ 6.9 5시경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이한열이 머리를 다쳐 의식불명에 빠짐. 

■ 6월 항쟁
□ 국민대회
 ▶ 6.10 서울을 비롯한 22개 도시에서 시민과 학생들이 “호헌 철폐, 독재 타도”를 외치며 거리시위를 벌였고, 
 ▶ 명동성당 농성은 시민들의 지지 속에 계속되었음.

 ▶ 6.18 국본은 전국 16개 도시에서 ‘최루탄 추방대회’를 열었고,
 ▶ 6.26 이어 ‘국민평화대행진’이 전국적으로 동시다발적으로 펼쳐지며 6월 항쟁은 정점에 이르렀음.

□ 6.29 선언
 ▶ 6.29 노태우는 대통령 직선제와 평화적 정권 이양을 핵심으로 한 ‘6.29 선언’을 발표하면서 민주화 운동이 사실상 성공을 거두었고, 항쟁이 마무리됨. 

■ 이후
 ▶ 1987.10 국회에서 개헌안이 의결되고 국민투표를 거쳐 대통령 직선제를 담은 새 헌법이 공포됨.
 ▶ 1987.12 이어 시행된 첫 직선제 대통령 선거에서 노태우가 당선되었고,
 ▶ 1988.2 노태우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새 헌법 체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됨.




# 참고 자료
중학교 역사2, 금성출판사 2023
중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1987년 6월 항쟁]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