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 ‘서울의 봄’이 시작됨
▶ 1979.10
박정희 대통령 사망으로
유신체제가 무너지자, 민주화 요구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음.
▶ 1979.12
혼란 속에서 전두환·노태우 등
신군부 세력이 쿠데타로 군권을 장악하고 정권 장악에 나섬.
▶ 1980.2
신군부는 진압 훈련(충정훈련)을 실시하고 민주화 운동을 사회 혼란으로
규정하며 탄압을 준비함.
▶ 1980.4~
한편 전국 곳곳에서는 노동자들의 격렬한 노동쟁의가 이어졌고,
▶ 1980.5
대학생들은 계엄령 해제와 민주주의 회복을 요구하며 거리 시위에
나섰음.
▶ 5.15
서울역에는 약 10만 명의 대학생이 모여 대규모 시위를 벌였지만,
총학생회장단의 결정에 따라 시위대는 자발적으로 해산했음.
□ ‘5.17 내란‘으로 ‘서울의 봄’이 끝남
▶ 17일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에서 비상계엄의 전국 확대가 결정되자,
▶ 17일 밤
군·검찰·경찰로 구성된 합동수사본부는 학생, 정치인, 재야인사들을
대상으로 예비 검속을 단행하고 불법 연행을 자행했음.
↘ 이 과정에서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이
발생함.
▶ 18일 0시 비상계엄이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대학가에는 계엄군이
배치되었고,
▶ 18일 특히
7공수여단은 전라남북도의 주요 대학을 점거하며 강경 진압에 나섰음.
▶ 18일 새벽 1시
이 과정에서 전북대학교에서는 계엄군에 쫓기던 한 대학생이 학생회관
옥상에서 숨진 채 발견되는 사건이 발생했음.
▶ 18일 새벽 2시
한편, 국회는 군에 의해 무력으로 봉쇄되며 입법 기능마저 사실상
마비되었음.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 7공수여단의 시위 진압
▶ 18일 아침 전남대
정문 앞에서 비상계엄과 휴교령에 반발한 학생 시위가 벌어졌고,
7공수여단이 이를 강제 해산시킴.
▶ 이에 학생들은
금남로와 광주 시내에서 산발적인 시위를 이어갔고, 경찰은 최루탄을
사용해 진압에 나섰음.
▶ 18일 오후
7공수여단이 본격적으로 투입되어 시민들을 무차별적으로 구타하고
연행함.
□ 총상자 발생
▶ 19일 오전 광주에
11공수여단이 추가 투입되어 금남로 일대를 완전히 통제하고, 군은
장갑차와 헬기까지 동원해 진압 수위를 높힘.
▶ 19일 오후 4시 40분
동원빌딩 인근에서는 분노한 시민들이 계엄군 장갑차를 공격했고, 이
과정에서 11공수여단 장교의 발포로 총상자가 발생했음.
□ 시위 확산
▶ 20일 군의 강경
진압에 분노한 시민들이 대규모 시위로 맞서며 광주MBC와 세무서를
불태우자, 군은 시위대를 ‘난동자’로 규정하고 무장을 강화했음.
▶ 21일 새벽
광주역에서 철수 중이던 3공수여단 병력이 시민들과 충돌하여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했고, 시민들은 방치된 시신을 발견하고 금남로로
행진했음.
▶ 21일 오전
10만여 명의 시민이 전남도청 앞에 모여 계엄군과 대치했으나
▶ 21일 정오 공수부대는 전남도청 앞과 전남대 정문 근처에서 집단 발포를
시작했음.
▶ 이에 시민들은 무기를 확보해 무장하며 본격적인
무력 충돌이 시작됨.
□ 광주 봉쇄
▶ 21일 오후
공수부대는 광주 외곽을 봉쇄하며 시민들을 ‘폭도’로 규정했고, 이에
따라 광주를 벗어나거나 이동하는 민간인을 향한 무차별 발포가
시작되었음.
▶ 계엄군 철수 후, 시민들은 방위대를 조직해 자치 질서를
세웠음.
- 한편, 종교인과 지역 유지들로 구성된
시민수습대책위원회는 계엄군과의 협상을 시도했지만, 계엄군은 협상에
응하지 않았음.
▶ 23~26일
도청 광장에서는 매일 시민궐기대회가 열렸고,
▶ 26일
젊은 층을 중심으로 민주시민학생투쟁위원회가 결성되어 결사항전을
선언함.
□ 항쟁의 끝
▶ 27일 새벽 3시 30분
군은 상무충정작전을 개시해 공수여단 특공조와 20·31 사단 병력이 광주
시내로 진입함.
▶ 27일 새벽 4시 5분
전남도청에서 시민군과 계엄군 사이의 교전이 벌어졌고,
▶ 27일 새벽 4시 55분
전남도청 진압이 완료되며 시민군의 중심 거점이 함락됨.
▶ 27일 새벽 5시경 군이 주요 기관을 완전히 장악하며 항쟁은
마무리됨.
■ 이후
▶ 1980.8
최규하 대통령이 하야하고
▶ 1980.9
전두환은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해 11대 대통령으로 취임했음.
▶ 1980.10
이어서 제5공화국 헌법이 공포되었고,
▶ 1981.2
전두환은 대통령 선거인단을 통해 다시 12대 대통령으로 취임함.
▶ 1987
이러한 권위주의 정권에 대한 저항은 결국
6월 민주항쟁으로
이어짐.
▶ 1995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고,
▶ 1997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이 공식 지정되었음.
▶ 1997.4 전두환과
노태우는 재판을 통해 징역형을 선고받았지만, 같은 해 12월 특별
사면되었음.
▶ 2011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은 유네스코 세계 인권 기록유산에
등재되었으며,
▶ 2018
진상 규명을 위한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도 새롭게
마련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