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5.18 광주 민주화운동


1980년

10.26 사건 이후, 민주화 요구가 높아지자 신군부는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며 무력으로 정권을 장악했고,
이에 반발한 광주 시민들의 저항은 5.18 민주화운동으로 이어졌음.
시민들은 계엄군의 집단 발포와 강경 진압에 맞서 저항했지만, 결국 군에 의해 진압됨.

5.18 광주 민주화운동

■ 배경
□ ‘서울의 봄’이 시작됨
 ▶ 1979.10 박정희 대통령 사망으로 유신체제가 무너지자, 민주화 요구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음.
 ▶ 1979.12 혼란 속에서 전두환·노태우 등 신군부 세력이 쿠데타로 군권을 장악하고 정권 장악에 나섬.

 ▶ 1980.2 신군부는 진압 훈련(충정훈련)을 실시하고 민주화 운동을 사회 혼란으로 규정하며 탄압을 준비함.
 ▶ 1980.4~ 한편 전국 곳곳에서는 노동자들의 격렬한 노동쟁의가 이어졌고,
 ▶ 1980.5 대학생들은 계엄령 해제와 민주주의 회복을 요구하며 거리 시위에 나섰음.
 ▶ 5.15 서울역에는 약 10만 명의 대학생이 모여 대규모 시위를 벌였지만, 총학생회장단의 결정에 따라 시위대는 자발적으로 해산했음.

□ ‘5.17 내란‘으로 ‘서울의 봄’이 끝남
 ▶ 17일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에서 비상계엄의 전국 확대가 결정되자,
 ▶ 17일 밤 군·검찰·경찰로 구성된 합동수사본부는 학생, 정치인, 재야인사들을 대상으로 예비 검속을 단행하고 불법 연행을 자행했음.
 ↘ 이 과정에서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이 발생함.

 ▶ 18일 0시 비상계엄이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대학가에는 계엄군이 배치되었고, 
 ▶ 18일 특히 7공수여단은 전라남북도의 주요 대학을 점거하며 강경 진압에 나섰음.
 ▶ 18일 새벽 1시 이 과정에서 전북대학교에서는 계엄군에 쫓기던 한 대학생이 학생회관 옥상에서 숨진 채 발견되는 사건이 발생했음.
 ▶ 18일 새벽 2시 한편, 국회는 군에 의해 무력으로 봉쇄되며 입법 기능마저 사실상 마비되었음.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 7공수여단의 시위 진압
 ▶ 18일 아침 전남대 정문 앞에서 비상계엄과 휴교령에 반발한 학생 시위가 벌어졌고, 7공수여단이 이를 강제 해산시킴.
 ▶ 이에 학생들은 금남로와 광주 시내에서 산발적인 시위를 이어갔고, 경찰은 최루탄을 사용해 진압에 나섰음.
 ▶ 18일 오후 7공수여단이 본격적으로 투입되어 시민들을 무차별적으로 구타하고 연행함.

□ 총상자 발생
 ▶ 19일 오전 광주에 11공수여단이 추가 투입되어 금남로 일대를 완전히 통제하고, 군은 장갑차와 헬기까지 동원해 진압 수위를 높힘.
 ▶ 19일 오후 4시 40분 동원빌딩 인근에서는 분노한 시민들이 계엄군 장갑차를 공격했고, 이 과정에서 11공수여단 장교의 발포로 총상자가 발생했음.

□ 시위 확산
 ▶ 20일 군의 강경 진압에 분노한 시민들이 대규모 시위로 맞서며 광주MBC와 세무서를 불태우자, 군은 시위대를 ‘난동자’로 규정하고 무장을 강화했음.

 ▶ 21일 새벽 광주역에서 철수 중이던 3공수여단 병력이 시민들과 충돌하여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했고, 시민들은 방치된 시신을 발견하고 금남로로 행진했음.
 ▶ 21일 오전 10만여 명의 시민이 전남도청 앞에 모여 계엄군과 대치했으나
 ▶ 21일 정오 공수부대는 전남도청 앞과 전남대 정문 근처에서 집단 발포를 시작했음. 
 ▶ 이에 시민들은 무기를 확보해 무장하며 본격적인 무력 충돌이 시작됨.

□ 광주 봉쇄
 ▶ 21일 오후 공수부대는 광주 외곽을 봉쇄하며 시민들을 ‘폭도’로 규정했고, 이에 따라 광주를 벗어나거나 이동하는 민간인을 향한 무차별 발포가 시작되었음.

 ▶ 계엄군 철수 후, 시민들은 방위대를 조직해 자치 질서를 세웠음. 
 - 한편, 종교인과 지역 유지들로 구성된 시민수습대책위원회는 계엄군과의 협상을 시도했지만, 계엄군은 협상에 응하지 않았음.
 ▶ 23~26일 도청 광장에서는 매일 시민궐기대회가 열렸고,
 ▶ 26일 젊은 층을 중심으로 민주시민학생투쟁위원회가 결성되어 결사항전을 선언함.

□ 항쟁의 끝
 ▶ 27일 새벽 3시 30분 군은 상무충정작전을 개시해 공수여단 특공조와 20·31 사단 병력이 광주 시내로 진입함.
 ▶ 27일 새벽 4시 5분 전남도청에서 시민군과 계엄군 사이의 교전이 벌어졌고,
 ▶ 27일 새벽 4시 55분 전남도청 진압이 완료되며 시민군의 중심 거점이 함락됨.
 ▶ 27일 새벽 5시경 군이 주요 기관을 완전히 장악하며 항쟁은 마무리됨. 

■ 이후
 ▶ 1980.8 최규하 대통령이 하야하고
 ▶ 1980.9 전두환은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해 11대 대통령으로 취임했음.
 ▶ 1980.10 이어서 제5공화국 헌법이 공포되었고,
 ▶ 1981.2 전두환은 대통령 선거인단을 통해 다시 12대 대통령으로 취임함.

 ▶ 1987 이러한 권위주의 정권에 대한 저항은 결국 6월 민주항쟁으로 이어짐.

 ▶ 1995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고,
 ▶ 1997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이 공식 지정되었음. 
 ▶ 1997.4 전두환과 노태우는 재판을 통해 징역형을 선고받았지만, 같은 해 12월 특별 사면되었음.
 ▶ 2011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은 유네스코 세계 인권 기록유산에 등재되었으며,
 ▶ 2018 진상 규명을 위한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도 새롭게 마련되었음.




# 참고 자료
중학교 역사2, 금성출판사 2023
중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5·18 광주 민주화운동]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