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12.12 군사 반란

12.12 쿠데타
1979년

12.12 군사 반란은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하나회 세력이 정승화 참모총장을 체포하며 군 권력을 장악한 사건임.
이후 전두환은 군과 정보기관을 통제하며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했고, 최규하 정부는 사실상 무력화되었음.

1212반란

■ 권력의 공백기
 ▶ 1979 10.26 사건으로 박정희 대통령이 사망했고, 대통령 권한대행이 된 최규하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비상계엄을 선포했음.
 ▶ 1979.10 이후 전두환은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장으로 임명되었고,
 ▶ 1979.12 최규하는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유신체제 해체 절차에 착수했음.

□ 정승화와 전두환의 갈등
 ▶ 전두환은 권력 공백 속에서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이를 견제하려는 정승화(참모총장)의 인사 조치를 하나회가 사전에 감지하면서 군사 반란을 준비하게 됨.
 - 하나회는 육사 11기 출신의 전두환과 노태우 등을 중심으로 구성된 군 내부의 비밀 사조직으로, 박정희 정권 시절 특전사·수경사·보안사 등 핵심 보직을 장악하며 군 내부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음.
 ↘ 군대 내 사조직은 공식 지휘 체계를 훼손하고 인사 농단, 정치 개입을 통해 군의 본질을 훼손하며 국가 안보와 민주주의에 심각한 위협이 됨

■ 12.12 군사 반란
 ▶ 1979년 12월 12일 하나회는 자신들이 장악한 서울·수도권의 병력을 동원해 군사 반란을 시작함. 

 ▶ 저녁 반란군은 10.26 사건 수사를 명분으로 정승화 참모총장을 관저에서 체포했음.
 ▶ 전두환은 체포 직후 최규하 대통령에게 사후 재가를 요청했지만, 최규하는 국방부 장관의 동의가 없다는 이유로 이를 거부함. 
 ▶ 이에 특전사령관과 수경사령관 등이 반란 진압과 정승화 구출을 시도했으나 끝내 실패했고, 국방부 장관은 사건 직후 신변 위협을 느껴 도피했으나 반란군에 의해 붙잡힘.
 ▶ 결국 최규하 대통령이 정승화 체포를 재가하면서 12.12 군사 반란은 전두환 세력의 승리로 마무리됨. 
 - 비록 군 내부의 반란이 직접적으로 민간 정부를 전복한 것은 아니었지만, 이는 전두환 정권 탄생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음.

■ 이후
 ▶ 이후 최규하 정부는 사실상 무력화되었고,
 ▶ 전두환은 군과 정보기관을 통제하며 실질적인 권력자가 되었으며, 하나회 인사들은 군과 정부의 주요 요직을 장악했음. 

 ▶ 서울을 중심으로 계엄 철폐와 유신헌법 개정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이어지자,
 ▶ 신군부는 민주 인사와 학생 대표들을 대거 체포하며 강경하게 대응했음.
 ▶ 1980.5 결국 전두환은 전국적으로 확산된 민주화 운동을 계엄령 확대와 무력 진압으로 억누르고,
 ▶ 1980.9 11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며 정권을 장악함. 




# 참고 자료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10·26과 12·12]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