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1863
고종
즉위
▶ 1864 조선인의
연해주(=프리모리예) 블라디보스토크 이주 시작
▶ 1907년 경
신민회
조직
- 1910.6
이종호 등이 신민회에서 독자적 정치집단 형성하고 함북회에 참여하여
‘북파(함경도파)’를 형성
▶ 1910.5
미주 지역에
대한인 국민회
조직
▶ 1910.8 경술국치
■ 권업회
- 러시아 지방정부로부터 정식 설립 인가를
받았지만, 러일 범인도 조약(1911.6)의
영향 아래 활동을 시작하여,
- 표면적으로는 경제·사회적 한인 지원 단체를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독립을 목표로 하는 정치 단체임.
▶ 1911.6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권업회 발기회 결성
- ‘북파’가
발기회를 주도하고, 최재형과 홍범도가 회장과 부회장을 맡음.
▶ 1911.7
청년근업회(블라디보스토크 한인 청년회)가 권업회 발기회에 합류
▶ 1911.9
이상설 등 ‘경파(서울파)’가 권업회에 합류
- 미주
국민회에서 러시아로 파견한 요인들이 정치체제에 대한 이견으로
‘경파’와 ‘서파(평양파)’로 분리하여 대립
▶ 1911.12
러시아 지방정부의 노력과 경술국치로 인해 연합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서파'도 권업회에 합류
▶ 1912.4
총회를 거치며 권업회는 연해주 한인 통합 세력이 됨.
▶ 1912.4 신채호, 이상설 등을 주필로 권업신문을 간행
- 권업회의 활동과 재러 한인의 권리 신장을
알리고, 민족의식 고취와 문화 정체성 유지를 위한 역할을 함.
▶ 1913~
권업회 임원이 초기 정치적 망명자 중심에서 지역 토착세력 중심으로
변화하고,
▶ 1914 신한촌 자치단체를 흡수하며 한인사회의 일상과 자치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확대함.
- 1914 7월
기준 10,000여 명의 회원과 10개의 지사로 구성
▶ 1914
대한광복군정부와 사관학교 설립
- 대한광복군정부는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무장투쟁을 전개한
비밀조직으로, 이상설과 이동휘 등이 이끔.
- 중국 왕칭현에 사관학교 설립
▶ 1914
9월에 이주 50주년 행사를 준비
- 러시아 관료의
승인·지지를 얻어 한인사회를 결속시키고 독립운동의 기반을 강화하고자
했음.
▶ 1914.8 1차 세계대전
발발 - 러시아와 일본은 독일을 견제하기 위해 동맹 관계를 형성
▶ 일본의
요청으로 권업회의 반일활동을 전개하던 한인들은 러시아에 의해 추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