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 BCE 108
            한반도 북부의
            고조선이 멸망하고
            한사군이 설치되자,
 ▶ 남부에는 여러 소국이 모인
            진한(낙동강 동쪽)과 마한(충청·전라 중심), 변한(낙동강 하류) 연맹체가
            형성됨.
          
            ■ 사로국 성립
 ▶ 기원전 57년 경주 지역의 여섯 촌락에 박씨·석씨·김씨 집단이 이주해 서로
              우위를 다투다, 박혁거세가 사로국을 건국함. 
 - 경주 분지는 사방이 열려 있는 교통 요지이자
            철 생산지와 가까웠으나, 한반도 동남쪽 끝에 위치해 선진 문화 수용에는
            불리했음.
 - BCE 37
            주몽이 압록강 중류 지역에서
            고구려를 건국함.
 - BCE 18
            온조가 한강 남쪽 지역에서
            백제를 건국함.
□ 동남 해안 정복
 ▶ 1C 무렵 사로국은
            울산과 부산 등 동남 해안을 정복하며 세력을 넓혀 진한의 중심 세력으로
            부상함.
□ 월성 축조
 ▶ 101 5.
            파사이사금은 경주에 월성을 축조하여 지배층의 거처이자 방어 시설로
            삼았고,
 - 주변에 여러 토성을 축조하여 왕성인
            월성을 보조하고 남당회의를 열거나 외적 침입을 방어하는 시설로
            활용함.
 ↘ 고고학적 견해에 따르면 월성은 늦은 3세기에
              축조가 이뤄졌다고 봄.
 ▶ 2C 무렵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따르면, 한반도 남부와 동북부의 세력은 점차
            성장하여 한 나라의 군현을 위협하기에 이름.
□ 내륙 진출
 ▶ 3C 이전까지
            사로국은 금관가야와 영남 지역 교역권을 놓고 경쟁했으나,
 ▶ 이후
            다벌국·압독국·소문국 등 내륙 세력을 차례로 흡수하고 낙동강 서쪽과
            경주 일대를 통합하며 국가 기반을 강화했음.
 ▶ 3C 말 이후 낙동강 동쪽에서 금관가야의 영향력을 밀어내고 경상도 동부와
              중부 대부분을 장악하며 우위를 확보함. 
 ↘ 고고학적 견해에 따르면 사로국의 해안 정복과
              내륙 진출은 3~4세기에 이루어졌으며, 사로국이 신라로 발전한 시기는
              4세기 전반으로 봄.
          
            ■ 국호를 ‘신라’로 사용
 ▶ 4세기 후반 사로국은 ‘신라’라는 국명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군주 칭호도
              ‘이사금’에서 ‘마립간’으로 변화했음. 
 ↘ 382년 신라 사신이 중국 전진의 황제를 만났을 때
              ‘신라’라는 국호를 사용했으며, 이후 503년 지증왕 때 이를 공식
              국호로 제정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