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백제 13대 근초고왕

11대 비류왕의 아들
재위 346년부터 375년까지

근초고왕은 남부 지역을 안정시킨 뒤,
고국원왕을 전사시켜 고구려의 남하 정책을 저지하고 북방으로 영토를 확장하였음.
이어 동진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으며, 이 시기에 왜에 칠지도를 하사한 것으로 추정됨.

근초고왕

■ 배경
 ▶ 313~ 고구려 미천왕이 낙랑군과 대방군을 축출하면서 백제와 고구려가 직접 국경을 맞대게 되었음.
 ▶ 344 백제 12대 계왕이 왕위에 오름.

■ 재위 기간
 ▶ 346년 근초고왕이 왕위에 오름. 
 - 백제 왕계를 이원적으로 볼 때, 이전까지는 왕위가 고이계와 초고계로 번갈아 계승되었으나 근초고왕 이후에는 초고계 직계로 단선 계승되었으며,
 - 이를 통해 왕권이 안정되어 왕이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하며 대외 정복의 기반을 마련하게 됨.

□ 전반기
 - 재위 전반의 기록은 전하지 않지만, 왕권 강화를 위한 통치 체제 정비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됨.
 - 또한, 박사 고흥으로 하여금 ‘서기’를 편찬하게 하여 왕실의 정통성과 왕권을 유교적 이념으로 정당화하였음.
 ↘ ‘서기’는 백제 최초의 역사서로 현재는 전하지 않음.

□ 남쪽 지역 안정화
 ▶ 369 근초고왕은 왜군과 함께 가야 7국을 정복한 뒤
 ▶ 전남 해안으로 비정되는 침미다례와 주변 4읍까지 진출함.
 ↘ ‘삼국사기’는 마한 통합을 1대 온조왕 대의 일로 기록하고 있지만, ‘일본서기’의 기록엔 근초고왕 대에 마한 정복이 이루어진 것으로 기록됨.

 ▶ 이를 통해 백제는 남부를 안정적으로 지배하여 북방 진출의 기반을 마련함. 

□ 고구려와의 충돌
 ▶ 369 고국원왕이 치양(황해도 백천)을 공격했으나 근초고왕이 태자를 보내 격퇴했고,
 ▶ 371 이어 패하(황해북도 예성강) 전투에서 매복으로 고구려군을 크게 무찔러 평양성까지 진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켰음. 

 ▶ 이 승리로 백제는 대방과 낙랑 일부 지역을 장악하며 북방으로 세력을 넓혔음.

□ 외교 활동
 ▶ 372 정월 백제가 동진에 사신을 파견하자,
 ↘ 같은 시기 근초고왕이 칠지도를 제작해 왜왕에게 하사한 것으로 추정함.
 ▶ 372 6월 동진은 근초고왕을 진동장군 영낙랑태수로 책봉하며 공식 외교 관계가 성립하였음. 
 ↘ 이전까지는 마한이 독자적으로 중국에 사신을 보냈으나, 이후에는 백제가 외교를 주도하게 됨.

 - 근초고왕 시기의 백제와 왜의 관계는 문화·학문·군사 전반에서 연결되어 있었음.

■ 이후
 ▶ 375 근초고왕이 세상을 떠나고 14대 근수구왕이 즉위함.




# 참고 자료
[근초고왕]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