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신라 21대 소지마립간

소지, 비처마립간, 20대 자비마립간의 아들, 22대 지증왕의 6촌 형
479년부터 500년까지 약 22년 동안 왕위에 있었음.

소지마립간은 고구려의 백제 정벌 이후 즉위하여 고구려의 잦은 공격을 받았음.
그러나 신궁을 세워 왕권을 강화하고, 우역과 관도를 정비하여 중앙 집중화를 추진하였음.
또한 백제와 혼인 동맹을 맺어 나제동맹을 강화하고, 상호 구원 관계를 이어감.

소지마립간

■ 배경
□ 나제동맹
 - 4C 신라는 내물마립간 대부터 고구려의 간섭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 433 눌지마립간 대 백제와 나제동맹을 맺으면서 고구려의 침입을 받게 됨.
 ▶ 475 나제동맹 초기에는 고구려가 백제 공격에 집중했지만, 한성 함락 이후에는 신라를 주된 공격 대상으로 삼음.

■ 재위 기간
 ▶ 479년 자비마립간이 세상을 떠나고, 소지마립간이 즉위함. 

 ▶ 480 고구려는 말갈을 동원해 신라의 북쪽 변경을 침입했고,
 ▶ 481 이어 말갈과 연합해 신라 북쪽 변경의 일곱 성을 빼앗고 미질부(현재의 경북 포항 흥해)까지 침입하였음.
 ▶ 이에 백제와 가야가 구원군을 파견하여 고구려의 공격을 막아냈음.

□ 신궁 설치
 ▶ 487 김씨 시조 김알지를 모신 것으로 보이는 신궁을 세워 왕실의 권위를 강화함. 
 ↘ 신라에는 박혁거세를 모신 시조묘도 존재

□ 중앙의 지배력 확장
 ▶ 487 우역을 설치하고 관도를 정비하여 중앙과 지방의 통신·행정 체계를 강화하였음. 
 - 이를 통해 지방 통치를 직접적으로 관리하며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화를 추진함.

□ 사금갑 설화
 ▶ 488 소지마립간이 신비한 계시를 받아 거문고 갑을 쏘자 궁중의 간통이 드러난 이야기로,
 - 이는 불교가 확산되던 시기에 토착신앙과 귀족 세력이 불교 세력을 견제한 갈등을 상징하며, 일부에서는 고구려의 첩자 사건으로도 해석함.

□ 혼인 동맹 및 대외 관계
 ▶ 493년 백제 동성왕의 혼인 제안을 받아들여, 이벌찬 비지의 딸을 보내 혼인시켰음. 
 - 같은 해, 왜의 잦은 침입에 대비하여 임해진과 장령진을 설치함.

 ▶ 494 고구려와의 전투에서 위기에 처한 신라 장수를 백제가 구원하였고,
 ▶ 495 이듬해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자, 신라는 구원군을 보냄.

□ 소지마립간의 아들
 ▶ 500 소지마립간이 날이군에 행차했을 때 파로가 딸 벽화를 왕에게 바쳤으며,
 - 이듬해 두 사람 사이에서 아들이 태어났지만, 소지마립간이 사망한 뒤 그 아들에 대한 기록은 사라짐.

■ 사후
 ▶ 500년 11월 소지마립간이 세상을 떠나고 지증왕이 즉위함.




# 참고 자료
[소지마립간]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