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 사회의 모순이 표면화됨
□ 토지 제도(전시과) 붕괴 - 지배층들이 토지 확보에 주력하자 농민들은
            토지를 잃고 거주지를 떠남
□ 문벌 체제 갈등의
            표면화 - 이자겸의 난, 서경 천도 운동 등 지배 집단의
            갈등 발생
□ 무신에 대한 차별
 - 무관 최고
            지위는 정3품 상장군으로 병권과 군사 지휘권을 가질 수 없음
 - 무관들은
            일반 병사에서 출세한 자가 많아 무반 자체가 천시받음 (과거제에 무과
            없음)
 - 하급 군인들은 군인전을 제대로 받지 못해
            굶주렸으며, 공사 등 잡역에 동원됨
          
            ■ 이전
 ▶ 1146 의종
            즉위
 - 재위 중반 이후 향락에 빠져 개경과 인근에 보현원, 연복정
              등의 별장을 짓고 연회를 즐김 
 - 한뢰, 이복기, 임종식 등은 의종을 부추김
 ▶ 1167
            왕이 탄 수레에 화살이 떨어진 일이 발생하고, 이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시위군이 귀양 감
 ▶ 1170.4
            문신들의 연회를 보며 이의방, 이고, 정중부는 거사를 일으킬 뜻을
            품음
 ▶ 1170.8.30
            의종은 연복정, 흥왕사 연회에 이어 보현원으로 이동
 ▶ 보현원으로
            가던 중, 의종의 명으로 무신들의 무술 시합이 열림
 - 환갑을
            넘은 무신 이소응이 기권하고 물러나자, 젊은 문신 한뢰에게 뺨을
            맞음
 - 쓰러진 이소응을 왕과 문신들이 모욕하자
            무신들이 대응하지만, 의종은 이들을 화해시킴
          
            ■ 무신정변
 ▶ 8.30 저녁
            무신들은 의종이 보현원에 들어갈 때, 임종식과 이복기를 살해하며
            거사를 시작
 - 한뢰 등 문신과 환관들이 살해됨
 ▶ 이들은
            도망간 문신이 태자를 모시고 개경에서 성문을 닫으면 거사가 실패할
            것을 생각하여 개경으로 진입
 - 궁궐과 태자궁을 점령하고 50여 명의 고위 문신을
              살해 
 ▶ 정중부는 의종을 환궁시킴
 ▶ 9.1
            의종의 측근 환관들이 정중부를 토벌하려다 밀고로 죽고, 의종과 태자는
            유패
 ▶ 9.2 의종은
            거제로, 태자는 진도로 추방 → 의종의 동생인 명종 옹립
          
            ■ 이후
 - 무신들이 중방(장군 회의 기관) 중심으로 권력을
              장악 
 - 정중부와 이소응 등은 종2품과 정3품으로
            임명되고, 이고와 이의방 등은 종3품과 정4품으로 임명
 ▶ 1170.10
            사면령과 공신 책봉 - 정중부·이의방·이고는 벽상공신,
            양숙·채원은 2등공신 책정
□ 무신 집권기 시작
 ▶ 1170~
            초기 무신 집권기:
            이의방 → 정중부 → 경대승 → 이의민
 ▶ 1196~
            최씨 무신 집권기:
            최충헌 → 최우 → 최항 → 최의
 ▶ 1258~
            후기 무신 집권기:
            김준 → 임연 → 임유무
 ▶ 1270
            왕정복고, 원 간섭기 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