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1206
            테무진이 칭기즈 칸에 추대되며 몽골의 확장이 시작됨
 ▶ 1260
            쿠빌라이 칸 즉위
 - 서쪽으로 흑해 북부와 지중해
            동쪽 해안까지 진출하고, 남으로는 남송을 압박
 - 대륙
            세력을 거의 정복한 쿠빌라이 칸은 일본 복속을 시도
 ▶ 1266~
            일본에 6차례 항복을 권유했지만, 가마쿠라 막부는 몽골 사신에 응대하지
            않음
 ▶ 1270 고려
            개경 환도
 ▶ 1271
            몽골은 원정군을 준비하지만,
            삼별초의 저항으로
            일본 원정을 보류함
          
            ■ 1차 원정
 ▶ ~1273 삼별초의 저항 종료 
 ▶ 1274.10 몽골군과
            한족군 2.5만, 고려군 8천을 포함한 4만의 원정군이 창원에서 출정
 ▶ 대마도(쓰시마)와
            이키섬(대마도와 규수 사이) 점령
 ▶ 10.19
            원정군은 (규수 후쿠오카현) 하카타에 상륙하여 규수군과 전투를 벌임
 ▶ 10.20
            원정군이 일시 퇴각하여 배로 돌아오고, 이날 밤 폭풍이 몰아쳐 다수의 전함이 파손됨 
 ▶ 11.6
            원정군은 철수를 시작했고, 전체의 1/3이 귀환하지 못함
          
            ■ 2차 원정
 ▶ 1275 몽골은
            일본에 사신단을 파견했지만, 막부 정권은 사신단을 살해함
 ▶ 1279 몽골의 남송 정벌 완료 
 ▶ ~1280.10 남송
            병력으로 강남군(수군), 고려군, 1차 원정 경험이 있는 동로군으로 14만
            원정군을 조직
 ▶ 1281.5
            고려군과 동로군이 출병하고, 강남군은 경원(현 중국 저장성 항구도시
            닝보?)에서 같은 시기 출발 예정
 ▶ 고려군과 동로군은
            대마도와 이키섬을 장악했지만, 규수에 상륙하진 못함
 ▶ 1281.7 말
            강남군이 합세하여 규수 상륙을 시도
 ▶ 8.1 원정군은 태풍이 불어 큰 피해를 당함 
 ▶ 8월 중순
            원정군은 합포로 철수
          
            ■ 이후
 ▶ 1282~
            3차 원정 준비
 ▶ 몽골의 내란으로 원정을 실행하진
            못함
 ▶ 1294 쿠빌라이 칸이 사망하여 일본 원정은 중단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