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메이지 유신

고잇신, 명치유신

일본은 국내외 혼란 속에서 막부 체제를 붕괴시키고 왕정 복고를 이루고,
정치·군사·경제·사회 전반에 걸친 개혁을 추진하여 일왕 중심의 중앙집권 국가로 전환함.
결국 제국헌법을 공포하고 입헌군주제를 도입함으로써 근대국가로 성장함.


‘메이지’는 122대 일왕의 연호이고, ‘유신’은 제도나 체제를 새롭게 한다는 뜻.

■ 배경
 ▶ 17C 초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막번 체제(군사 정권)를 확립하면서 일왕은 정치에서 배제됨.
 ▶ 19C 초 일본은 외세의 교역 요구와 대기근, 농민 봉기 등으로 국내외 혼란이 심화되며 막부의 통치력이 약화하기 시작함.

□ 개항
 ▶ 1853 페리 제독이 이끄는 미국 함대가 내항하여 개항을 압박하자
 ▶ 1854 막부(바쿠후)는 미국을 시작으로 영국, 러시아 등과 화친조약을 맺음.

 ▶ 1858 이어 막부가 일왕 승인 없이 미국과 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고반대 세력을 탄압하자(안세이 대옥), 
 ↘ 본격적 통상을 개시한 불평등 조약으로 이후 영국, 러시아, 프랑스 등과도 수호통상조약을 맺음.
 ▶ 반막부 세력이 결집하여 ‘왕을 받들고, 외세를 물리칠 것(존왕양이)’을 주장함.
 - 이 시기 일본 사회는 불평등 조약으로 물가가 급등하고, 이를 견디지 못한 민중 봉기가 이어짐.
 🐯 1863 조선에서 고종이 즉위하고, 흥선대원군이 실질적으로 집권함.

□ 막부의 붕괴
 ▶ 막부는 주요 반막부 세력인 조슈 번 정벌에 실패하며 권위를 잃기 시작하고,
 ▶ 1866 조슈 번은 막부 타도를 목표로 사쓰마번과 군사동맹을 맺음(삿초 동맹).
 ▶ 1867 결국 막부는 일왕에게 명목상 정권을 반납함(대정봉환).

■ 메이지 유신
□ 왕정 복고
 ▶ 1868 조슈 번과 사쓰마 번 등이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부활시키며 메이지 유신이 시작됨. 
 ▶ 1868 신정부는 개국을 선언하고, 일왕 중심의 근대 국가 체제를 확립하며 연호를 ‘메이지’로 정함.
 ▶ ~1869.5 이어 구막부와의 보신 전쟁이 일어나지만, 신정부가 승리함.
 ▶ 1869 일왕이 에도로 거처를 옮기고, 에도를 ‘도쿄’로 개칭함.
 🐯 일본의 국교 요청을 흥선대원군이 거부하자, 정한론이 대두됨.

□ 근대 개혁 추진
 ▶ 1871 지방의 ‘번’을 폐지하고 ‘현’을 설치해 중앙 집권 체제 확립하고(폐번치현), 
 ▶ 1871~1873 미국과 유럽 등지에 이와쿠라 사절단을 파견해 서구 문물과 제도를 조사함.
 ▶ 1872~ 징병제, 토지세 개혁, 신분제 폐지, 교육개혁 등 국가 체제 근대화를 시행함. 

□ 세이난(서남) 전쟁
 ▶ 1873 사이고 다카모리와 이타가키 다이스케 등은 조선 침략을 주장했지만, 거부당하고 하야함(정한론 정변).
 🐯 1875~1876 운요호 사건을 일으켜 조선과 조일수호조규를 체결함.
 ▶ 1876 신정부는 사족의 칼 소지를 금지하고(폐도령), 번들의 채무를 해결함(질록처분).
 ▶ 1877 이에 사이고 다카모리가 중심이 되어 반란을 일으키지만, 신정부에 의해 진압되어 사족은 몰락함(세이난 전쟁) .

□ 제국헌법(메이지 헌법) 공포
 ▶ 1880 이타가키 다이스케가 국회기성동맹을 조직하며 자유민권운동이 확산됨.
 ▶ 1881~ 신정부는 국회 개설을 약속하고, 이토 히로부미 등을 유럽으로 파견함.
 🐯 1884 김옥균 등은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갑신정변을 일으킴.
 ▶ 1889 신정부는 이토 히로부미가 만든 헌법 초안을 수정하여 일본 제국헌법(일왕이 주권을 가진 입헌군주제)을 공포하고 
 ▶ 1890 제국의회를 개설함.

■ 이후
 ▶ 1894~ 청일 전쟁에 승리하여 타이완(대만)을 할양받고 제국주의 국가로 변해감.
 🌏 1898 청은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변법자강 운동을 시도함.




# 참고 자료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메이지 유신]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