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1906
러일 전쟁(1904) 이후 일본은
남만주철도를 설립해
만주 지역의 경제적 권익을 확대하였고,
▶ 1920s
점차 만주는 일본의 자본 투자처이자 상품시장, 중공업 원료 공급지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짐.
▶ 1928
관동군이 만주 군벌 장쭤린을 제거함(황고둔 사건, 장쭤린 폭살사건).
□ 세계 대공황에 대한 일본의 대응
▶ 1930s 세계 대공황(1929~) 이후,
- 조선총독부와 관동군은 조선과 일본의 농촌 문제를 해결한다는 명분 아래
만주국으로의 농업 이민을 추진하고,
- 군수 경기와
아시아 무역을 통해 엔화 블록을 형성하려 함.
□ 일본의 만주 침략
- 일본은 만주와 몽골을 전략적·경제적 거점으로
삼아 동아시아 지배를 계획하고,
↘ 만주와 몽골은 소련과 중국 국경에 접한 전략적
요충지면서 지하자원이 풍부함
▶ 1931.9 이를
실현하기 위해 류탸오후 사건을 구실로
만주사변을
일으킴.
▶ 1932.1 일본
정부는 만주를 직접 통치하는 대신 괴뢰국가 ‘만주국’ 건설 방침을
결정함.
▶ 1932.2
만주 주요 도시를 점령한 일본은 동북최고행정위원회를 세우고, 만주
독립을 선언토록 함.
■ 만주국이 세워짐
▶ 1932.3 일본은 만주국을 세우고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였던 푸이를
‘집정(국가원수)’으로 세워 명목상 군주제 형식을 갖췄으나,
↘ 1911년 신해혁명으로 폐위된 푸이는 자금성에
머물렀으나, 1924년 베이징 정변으로 성에서 쫓겨났음.
- 실제로는
관동군이 국방·치안·교통
등 주요 권한을 독점했고 행정기관과 정부 요직도 일본인이 장악하여
사실상 일본의 식민지로 운영됨.
▶ 중화민국이
일본을 국제연맹에 제소하자, 국제연맹은 조사단을 파견함.
▶ 1932.9
하지만 일본은 국제연맹의 보고서가 발표되기 전에 만주국을 승인하고,
일만의정서를 체결하여 일본군의 만주국 주둔을 공식화함.
▶ 1933.3~ 이에 국제사회의 비판이 계속되자 일본은 국제연맹을 탈퇴했고,
내몽골과 화북 지역까지 영향력을 확대해 나감.
□ 대공황에 맞춘 경제 정책
▶ 1933.3 만주국
정부는 일본이 준비해오던 ‘만주경제건설요강’을 발표해, 중공업과 군수
산업 중심으로 계획경제를 추진함.
↘ 국가 주도로 만주중앙은행과 만주항공,
만주전신전화, 만주석유 등 특수회사를 설립함.
▶ 1934.3
만주국은 제정을 시행하지만, 실제로는 관동군이 지배하는 행정 중심의
체제로 운영됨.
▶ 1934.6
일본은 만주중앙은행을 설립하고 민간 자본의 진출을 공식 허용하여 군수
산업 중심의 중공업화를 시행함.
- 은본위제 정지,
만주국 화폐와 엔화 연동을 통해 만주국을 포함한 아시아에 엔화 블록을
구축함.
□ 전쟁 준비를 위한 경제 정책
▶ 1937 만주국은
소련과의 전쟁에 대비하여 중공업 중심의 산업 개발과 생산력 확충에
집중하고, 일본은 닛산 콘체른을 중심으로 만주 지역 산업을
독점·통제함.
□ 중일 전쟁
▶ 1937.7 중일 전쟁
발발, 만주국은 관동군을 후방에서 지원함.
▶ 1938.7
만주국 동부에서 소련군과 일본군이 충돌했지만, 8월에 정전 협정을
체결함.
▶ 1939.5
몽골 국경 근처에서 소련군과 일본군이 다시 충돌했고(할힌골 사건),
일본군이 대패하면서 일본은 북진정책을 포기하고 동남아시아 침략
중심의 남진정책으로 전환함.
□ 태평양 전쟁
▶ 1941.12 일본은
미국 진주만을 기습하고, 만주국에서 식량·자원 수탈을 강화함.
▶ 1942.6
일본이 미드웨이 해전에서 패하고,
▶ 1943~
관동군 병력이 남방과 일본 본토로 이동하면서 만주국 내 일본군의 힘이
약화됨.
▶ 1945.8 소련군이 대일 선전포고 후 만주국을 침공하면서 만주국은
붕괴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