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독립의군부


고종의 밀지를 받아 유림 중심으로 조직된 비밀 결사로, 의병 투쟁을 계승하여 국권 회복을 도모함.

■ 이전
 ▶ 1895 명성황후 시해사건, 을미개혁 → 🏹을미의병
 ▶ 1905 을사늑약 → 🏹을사의병
 ▶ 1907.7 고종 강제 퇴위, 정미7조약 → 🏹정미의병
 ▶ 1910.8😈 경술국치 

■ 독립의군부
 ▶ 1912.9 임병찬은 고종의 밀지를 거절했지만,
 ▶ 1913.2 다시 고종(62)의 밀지를 받아 단체를 조직함.
 - 기존에 의병 투쟁을 전개하던 유림들이 주축이 되어 전국적 비밀단체를 결성하여
 - 고종 복위와 국권 회복을 목표로 전국적인 의병 봉기를 계획하고, 
 - 국권 회복 요구서를 작성하고, 태극기 게양 운동과 향약 실시 운동을 추진함.

 ▶ 1914.5 조선 총독에게 보낸 투서가 문제가 되어 수원 대표 김창식이 일제에 발각됨.
 ▶ 연이어 관련 인사들이 체포되며 사실상 해체됨.
 ▶ 1916.5 임병찬(66) 순국




# 참고 자료
[독립의군부] 교과서 용어 해설, 우리역사넷 2025.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