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1904.2~1905.9
            러·일 전쟁
 ▶ 1905.11
            을사늑약(2차 한·일 협약) → 헌정 연구회
            해체(1905.5~11)
 - 러·일 전쟁과 을사늑약을 계기로 조선인의
            일본에 대한 인식은 근대 문명의 전달자에서 침략자로 변하며,
 - 애국계몽운동도 일본을 침략자로 보는 대일 대결론과 문명 전달자로 보는 대일
            협력론으로 분화됨.
 ▶ 1906.4
            대한자강회
            결성 - 헌정 연구회 계열과 황성신문 계열이 참여
 ▶ 1907.7 정미 7조약(한·일 신협약) , 대한제국 군대 해산
 ▶ 1907.8 대한자강회 해산 
          
            ■ 대한협회
 ▶ 1907.11 해산된
            대한자강회 계열에 천도교 계열이 결합하여 대한협회를 조직
 - 대한협회는
            국부 증강을 위해 교육 보급, 산업 개발, 행정 개선 등 사회 개혁을
            목표로 활동하고,
 - 대한협회회보와 대한민보 간행,
            연설회 개최, 정부에 질의와 건의를 함.
 ▶ 1908.7
            새 회장이 선출되면서 황성신문 계열이 후퇴하고, 친일적 성향을 보이기
            시작함.
 - 일본을 동양 문명의 선도자로 인식하며, 을사늑약의 ‘한국이
              부강하면 보호를 철회한다’는 문구를 긍정적으로 해석. 
 - 외교권 상실 후에도 내정 독립 유지 가능성을
            주장하며 내정독립론을 펼침.
 - 의병운동을 국력
            소모로 간주하며 비판하고, 정당 정치 도입을 주장하며 점차 권력을 추구함. 
 ▶ 1908
            이완용 내각 탄핵 운동을 전개
 ▶ 1909.1
            순종의 순행 중 송병준이 행패를 부리자, 일진회와 이완용 내각을
            비판
 ▶ 1909.6
            통감부 이토 사임
 ▶ 1909.9
            일진회가 이완용 내각 타도를 목적으로 대한협회, 서북협회와 3파
            연합운동을 전개함.
 ▶ 1909.10 안중근 의사 의거 - 이토가 암살되며 3파 연합은 결렬됨.
 ▶ 1910.8 한·일 병합 조약 직후,
            정치 단체 해산 조치로 대합협회도 해산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