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부 형성
□ 철기문화 유입
▶ BCE 4C
철기문화가 한반도에 유입되기 시작했고,
▶ BCE 2C
본격적화되며 압록강 중상류 일대에 ‘나(노)’ 집단들이 등장하였음.
↘ ‘나(노)’라는 명칭은 강가나 계곡을 뜻하며,
이들은 압록강과 혼강 유역을 근거지로 삼음.
□ ‘나’ 집단 통합
▶ BCE 108 이후
고조선이 멸망하고
한사군이 설치되자,
▶ ‘나’ 집단은 한사군의 압박에
맞서 연맹과 정복을 거치며 점차 통합해 나갔음.
▶ BCE 1세기 경
이 과정에서 여러 ‘나’ 집단은 4부 체제로 재편되었으며, 그중
비류나부(소노부)가 중심이 되어 연맹체를 주도했음.
↘ ‘삼국사기’에는 비류나부·연나부·환나부·관나부로
기록되어 있으며, 중국 문헌에는 소노부·절노부·순노부·관노부로 전함.
이후 계루부가 새로 참여하는데, 이 부만 ‘나’자가 붙지 않아 주몽
집단을 외부에서 들어온 세력으로 보는 견해도 있음.
■ 5부 형성(고구려 건국)
▶ 기원전 37년 주몽이 계루부를
기반으로 기존 4부를 포섭해
고구려를 건국하며
5부 체제가 성립함.
↘ 연구자들은 주몽 집단이 연맹체의 맹주가 되었고,
고구려는 이후 점차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하며 성립했을 거라
해석함.
□ 왕권과 연합적 공존 관계
- 5부는 각기 독자적인 조직과 군사력을 갖추어
자치권을 행사했으나,
- 계루부 왕권이
전쟁·외교·무역 등 대외 교섭권을 장악하여 나머지 4부를 통제하며
연맹을 유지하였음.
- 고구려의 중요한 국정은 5부 대가들이 모인 제가 회의에서
결정되었으며, 왕은 이를 주재하는 최고 지위자였을 뿐 절대적 권한을
가진 것은 아니었음.
□ 왕권의 강화
▶ 고구려 왕권은 점차 강화되면서 5부의 독자성과
자치성을 약화시키려 하였음.
▶ 2C 말
9. 고국천왕 시기와 사후에 연나부와 비류나부가 반란을 일으켜 왕권에
저항하였으나 모두 진압되었고, 그 결과 5부의 자치권은 크게 약화됨.
- 왕위 계승이 부자 계승으로 바뀌며 왕권이 강화되었고, 왕은
‘태왕’ 칭호를 사용하며 절대적 권력자가 됨.
■ 5부 붕괴
▶ 3C 이후 이에
따라 5부 지배 세력은 독자적 권한을 잃고 수도로 이주하여 중앙
귀족으로 편입되었음.
▶ 유력 지배층이 수도로 옮겨오면서 5부는 지방
자치성과 단위 정치체의 성격을 상실하고 수도의 행정 구역으로 변함.
▶ 그
결과 부의 명칭도 지명에서 방위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왕이 고구려
전체를 직접 통치하는 중앙집권 체제가 완성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