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단통치기
▶ 1910.10
조선총독부 조직 확립, 초대 총독으로 데라우치 임명
- 즉결 처분권을 가진 헌병경찰이 민족운동을 탄압하며
일상생활까지 통제하고,
- 한국인의 정치 참여와 공로자(매국노) 우대를
위해 중추원을 설치하였으나, 실질적 권한은 없었음.
- 한국인의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억압하고, 우민화 교육을 실시함.
▶ 1912, 1915
조직 개편을 통해 행정 효율화와 산업 통제를 강화함.
- 조선 총독은 식민지 조선에서 입법·사법·행정·군 통수권을
장악한 절대적 권력자로,
- 일왕에게 직접 명령을 받으며 일본 내각의
지휘를 거의 받지 않음.
▶ 1929, 1942
일본의 제도 개편에서도 조선 총독의 권한에는 제약이 가해지지 않음.
■ 문화통치기
→ “문화통치”라고 부르지만, 실제로는 헌병의 복장이 달라졌을 뿐 전반적인 탄압과 검열은
이어짐.
▶ 1919 3.1 운동
▶ 1919.8 관제
개정 - 헌병경찰제를 폐지하고 보통경찰제를 도입
▶ 1920
6국(내무국·재무국·식산국 등) 3부(토목부·철도부 등)로 조직을
개편하고,
▶ 1924
행정·재정 정리를 통해 기구를 축소·조정하며 효율화를 추진함.
▶ 1932
농림국 신설
■ 민족말살정책기
▶ 1937.7 중일 전쟁
▶ 1937.9 자원과가
신설되어 전쟁 수행을 위해 자원 조사와 총동원계획을 담당함.
▶ 1937.10
경기도와 함경북도에 외사경찰과 신설
▶ 1938.11
경제경찰제 도입
▶ 1939.11
자원과와 임시물자조정과를 통합하여 기획부 신설, 국가총동원 계획
담당.
▶ 1940.10 국민총력조선연맹과 애국반체제를 도입해 중앙에서 촌락
단위까지 통제 체계를 구축함.
- 애국반체제는 10가구 단위로 주민을 조직해
통제와 자원 동원을 효율화한 지배 체제
▶ 1941.12 태평양 전쟁
▶ 1942.11 일본
외무성 산하에 대동아성을 설치
- 대동아성은 전쟁
수행과 ‘대동아공영권’ 이념 선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함.
▶ 1943.12
전시 동원을 위한 ‘결전행정’ 체제로 행정기구를 개편하여 식량 증산,
자원 개발, 징병 등을 추진하였고,
- 이는 농민,
노동자, 학생의 강제 동원과 조선인의 생존권 박탈을 더욱 심화시킴.
■ 이후
▶ 1945.8
일본의 패망으로 조선총독부 기능이 정지되고
미군정 체제가
시작됨.
▶ 1996.11
조선총독부 건물 완전 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