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1904.2
러·일 전쟁 발발,
한·일 의정서
체결
▶ 송병회는 동학의 부흥을 위해 일본과 접촉하여
대동회를 조직 → 진보회로 개칭
▶ 1904.8
독립협회 회원이었던 송병준 주도로 유신회가
조직 → 일진회로 개칭
- 정부 정책
비판, 입헌 주군제 등을 주장하며 친일 활동 전개
■ 일진회의 활동
▶ 1904.12 진보회와
일진회는 친일·반정부 단체로서 일진회로 통합
▶ 1905
중앙본부와 지부로 조직을 개편하여 이용구와 송병준이 중심으로 활동
일진회는 일본을 문명화된 국가로 여기고 친일적 입장으로
활동
- 입헌군주제, 경제 개편, 근대적 교육, 화폐
정리, 금융기관 설치 등 개혁을 주장
- 대한제국으로부터
견제를 받았지만, 한국주차군(한일의정서에 근거한 일본군)의 비호를
받음
▶ 1905.9
러·일의 포츠머스 조약 → 일진회는 보호국화를 자청하는
선언서를 발표
▶ 1905.11 제2차 한·일 협약(을사늑약)
▶ 1905.12 통감부
설치 - 이토 히로부미(초대 통감)와 우치다 료헤이(흑룡회
창립) 입국
▶ 1905.12
일진회는 관직에 진출하고, 일본은 일진회를 정치적 자원으로 활용
▶ 1906.8 송병준
구속 → 우치다는 송병준 석방 조건으로 한·일 병합
운동을 요구했고, 이용구는 이를 수락
▶ 1907.1
일진회는 일본의 지원을 받으며 활동
▶ 1907.5
이완용 내각 출범
▶ 1907.6
헤이그 특사 사건 → 송병준, 이용구, 우치다는 고종의 퇴위를 압박
▶ 1907.7
한·일 신협약 → 정미의병
▶ 1907.11
일진회는 정미의병에 대항하여 자위단 결성 → 통감부가
이를 제재하자 이토와 대립
▶ 1908.4
이용구는 도쿄에서 이토 사임과 대한제국 합방을 선전
▶ 1909.4
일본은 대한제국이 청원하는 형식으로 합병할 것을 결정
▶ 1909.10.26 안중근 의사 의거 -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 처단
▶ 1909.12 일진회는 황제 유지와 한국인 내각 구성을 골자로 하는
‘합방청원서’를 일본에 전달
▶ 1910.8 한·일 병합 조약(경술국치)
▶ 1910.9
일진회 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