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국채보상운동


을사늑약 이후 시작됨

대구에서 시작되어 언론사의 보도로 전국으로 확산됨.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참여했지만, 일본의 방해로 중단됨.

■ 배경
 ▶ 1904.2 러·일 전쟁 → 일본은 재정적 압박을 통해 대한제국을 경제적으로 예속화하려 함.
 ▶ 1904.8 1차 한·일 협약 → 고문정치 시작
 - 1905 재정고문 메가타는 화폐정리사업, 부채 정리 등의 이유로 일본으로부터 650만 원의 차관을 들여옴.
 ▶ 1905.11 을사늑약(2차 한·일 협약) → 통감정치 시작
 - 이토는 기반 시설 확충과 시정 개선 등을 명목으로 1,000만 원의 기업자금채 도입을 결정하고, 먼저 500만 원을 차관함.
 - 1907.2 국가 빚은 이자를 포함해서 약 1,300만 원과 앞으로 들여올 500만 원이 있게 됨. 
 - 1906년 당시 대한제국이 지출을 계획한 예산은 790만 원이고, 행정안전부는 2025년도 예산안 72조 872억 원을 편성

■ 국채보상운동
 ▶ 1907.2.16 대구, 대동광문회 행사에서 부사장 서상돈이 모금 운동을 제안하고, 
 ▶ 2.21 사장 김광제와 함께 국채지원금수합사무소를 설치하여 모금 활동을 시작함.
 ▶ 이들은 모금 활동을 전국으로 확산시키려 했고,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 등이 이를 보도함.

 ▶ 2.22 서울에서 김성회·유문상 등은 국채보상기성회를 조직하고,
 ▶ 1907.3 모금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어 27개 단체가 조직됨.
 ▶ 1907.4 규모가 커지자, 국채보상기성회는 대한매일신보사에 국채보상지원금총합소를 설치하고,
 - 비슷한 시기에 13도 대표자가 모여 자강회 사무소에서 국채보상연합회의소를 설립함.

 ▶ 국내 농민, 양반, 고위 관료 등 각계각층과 국외에서도 유학생들이 참여하여
 - 장기적으로 국권 회복을 지향하고 있었으므로 일본은 방해 공작을 펼침.
 ▶ 대한매일신보 발행인인 베델이 반일적인 보도를 했다는 이유로 영국 사법당국에 고소하고, (→ 금고 3주, 벌금형)
 - 국채보상지원금총합소 검사원인 양기탁을 횡령 혐의로 구속함. (→ 증거불충분으로 무죄 선고)
 → 이러한 과정에서 국채보상운동은 타격을 받고 중단됨.
 → 금전적 성과는 제한적이었지만, 민족적 단결과 자주권 회복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줌. 

■ 이후
 ▶ 1909.7 일본 헌병대가 대한매일신보에서 집계한 금액은 약 18만 원이었고,
 ▶ 1909 의연금 처리를 위해 국채보상금처리회가 결성됨.
 - 토지재단을 설립하고 수익금으로 교육사업을 하려 토지 매수를 시작함.
 ▶ 1910.8 국권피탈 
 ▶ 국채보상금처리회는 토지를 매입하지 못하고, 교육기본금관리회로 개칭됨.
 ▶ 교육기본금과리회는 조선총독부 통제하에 들어가며 자금은 사라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