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 1904.2 러·일 전쟁 → 일본은 재정적 압박을 통해 대한제국을 경제적으로
예속화하려 함.
▶ 1904.8 1차 한·일 협약 → 고문정치 시작
- 1905
재정고문 메가타는 화폐정리사업, 부채 정리 등의 이유로 일본으로부터
650만 원의 차관을 들여옴.
▶ 1905.11 을사늑약(2차 한·일 협약) → 통감정치 시작
- 이토는 기반 시설
확충과 시정 개선 등을 명목으로 1,000만 원의 기업자금채 도입을
결정하고, 먼저 500만 원을 차관함.
- 1907.2 국가 빚은 이자를 포함해서 약 1,300만 원과 앞으로 들여올
500만 원이 있게 됨.
- 1906년 당시 대한제국이 지출을 계획한 예산은
790만 원이고, 행정안전부는 2025년도 예산안 72조 872억 원을 편성
■ 국채보상운동
▶ 1907.2.16 대구, 대동광문회 행사에서 부사장 서상돈이 모금 운동을
제안하고,
▶ 2.21 사장
김광제와 함께 국채지원금수합사무소를 설치하여 모금 활동을 시작함.
▶ 이들은
모금 활동을 전국으로 확산시키려 했고,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 등이
이를 보도함.
▶ 2.22
서울에서 김성회·유문상 등은 국채보상기성회를 조직하고,
▶ 1907.3
모금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어 27개 단체가 조직됨.
▶ 1907.4
규모가 커지자, 국채보상기성회는 대한매일신보사에
국채보상지원금총합소를 설치하고,
- 비슷한 시기에
13도 대표자가 모여 자강회 사무소에서 국채보상연합회의소를 설립함.
▶ 국내 농민, 양반, 고위 관료 등 각계각층과
국외에서도 유학생들이 참여하여
- 장기적으로 국권
회복을 지향하고 있었으므로 일본은 방해 공작을 펼침.
▶ 대한매일신보
발행인인 베델이 반일적인 보도를 했다는 이유로 영국 사법당국에
고소하고, (→ 금고 3주, 벌금형)
- 국채보상지원금총합소
검사원인 양기탁을 횡령 혐의로 구속함. (→ 증거불충분으로
무죄 선고)
→ 이러한 과정에서 국채보상운동은
타격을 받고 중단됨.
→ 금전적 성과는 제한적이었지만, 민족적 단결과 자주권 회복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줌.
■ 이후
▶ 1909.7
일본 헌병대가 대한매일신보에서 집계한 금액은 약 18만 원이었고,
▶ 1909
의연금 처리를 위해 국채보상금처리회가 결성됨.
- 토지재단을
설립하고 수익금으로 교육사업을 하려 토지 매수를 시작함.
▶ 1910.8 국권피탈
▶ 국채보상금처리회는 토지를 매입하지 못하고,
교육기본금관리회로 개칭됨.
▶ 교육기본금과리회는
조선총독부 통제하에 들어가며 자금은 사라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