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신라 24대 진흥왕

심맥부, 삼맥종, 23대 법흥왕의 조카, 25대 진지왕의 아버지
540년부터 576년까지 약 37년 동안 왕위에 있었음.

진흥왕은 백제와 함께 한강 유역을 차지한 뒤, 이어 하류까지 장악하였음.
이후 대가야를 정복하고 북진하여 영토를 크게 확장하였으며, 순수비를 세워 이를 선포했음.
또한 황룡사를 완공하고 장육존상을 조성하였으며, 화랑도를 재편하여 사상적·인재적 기반을 확립함.

진흥왕

■ 출생
 ▶ 534 입종갈문왕과 지소부인 사이에서 태어남.

■ 재위 기간
 ▶ 540년 7월 법흥왕이 세상을 떠난 후, 일곱 살의 진흥왕이 즉위하고 그의 어머니 지소부인이 섭정함.
 ↘ 비대전국과 모랑이라는 아들이 있었다는 기록도 있지만, ‘삼국사기’에선 언급되지 않음.

□ 흥륜사 완공
 ▶ 544 법흥왕 때부터 추진된 신라 최초의 사찰인 흥륜사가 완공되었으며,
 ▶ 544 출가가 공식적으로 허락되어 불교가 신라 사회에 완전히 정착하게 됨.
 ▶ 549 이후 양나라에서 온 불사리(부처님의 유골)를 흥륜사 앞에서 받들어 모심.

□ 국사 편찬
 ▶ 545 이사부의 건의를 받아들여, 거칠부로 하여금 ‘국사’를 편찬하게 함.
 ↘ 신라의 ‘국사’는 현재 전해지지 않음.

□ 단양 신라 적성비
 ▶ ~550 진흥왕은 단양 신라 적성비(국보 제198호)를 세워,
 - 영토 확장에 공을 세운 적성 사람 야이차를 표창하고 충성자에 대한 포상 정책을 밝힘.

□ 한반도 중부 지역 장악
 ▶ 551 진흥왕은 백제 성왕과 연합해 고구려를 공격하여 한강 상류 지역을 확보하였으나,
 ▶ 553 이후 백제를 배신하고 한강 하류까지 차지해 한강 유역 전체를 신라의 영토로 만들었음. 
 ▶ 554 이에 격분한 백제가 신라를 공격했지만, 신라는 관산성 전투에서 성왕을 전사시키고 중부 지역을 완전히 장악함.
 - 551 ‘개국’이라는 연호를 사용함.

□ 영토 확장
 ▶ 진흥왕은 창녕 일대를 신라의 영토로 편입하고
 ▶ 561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국보 제33호)를 세웠으며,
 ▶ 562 이어 대가야를 정복해 가야 전역을 신라의 영토로 만들었음. 
 ▶ 또한 동해안을 따라 북진하여 함경남도 함흥 지방까지 영토를 확장함.

 ▶ 566 신라에서 처음으로 장남을 태자에 책봉함.

□ 진흥왕 순수비
 ▶ 568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국보 제3호), 마운령 신라 진흥왕 순수비, 황초령 신라 진흥왕 순수비를 세우고, 
 ↘ 순수(巡狩)란 왕이 직접 전국을 돌아보며 나라를 다스리는 일을 말함.
 - ‘태창(대창?)’이라는 연호를 사용함.

□ 황룡사 완공
 ▶ 569 진흥왕은 553년부터 황룡사 건립을 추진해 완공하였으며, 이를 통해 불교를 바탕으로 왕권의 정당성과 권위를 더욱 강화하였음. 
 - 572 ‘홍제’라는 연호를 사용함.
 ▶ 574 이어 황룡사에 거대한 불상인 장육존상을 주조하였음.
 - 진흥왕은 아들들의 이름을 불교의 이상적 군주인 전륜성왕에서 따온 동륜과 사륜이라 지어 불교를 국가 통치 이념으로 삼음.

□ 화랑도 재편
 ▶ 576 진흥왕은 인재를 기르기 위해 두 명의 미녀를 원화로 삼아 그들을 따르는 무리를 조직하였으나,
 ▶ 시기와 갈등으로 원화 제도가 폐지되었음.
 ▶ 이후 아름답고 덕이 있는 남자를 화랑으로 세우고 낭도들을 모아 화랑도를 조직함.

■ 사후
 ▶ 576년 8월 진흥왕이 세상을 떠나고, 진지왕이 즉위함.

 ▶ 1969  경주 진흥왕릉 이 사적 제177호로 지정됨.




# 참고 자료
[진흥왕]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