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1895 명성황후 시해사건(을미사변) - 경복궁에서 왕비가 일본 낭인들에게 살해됨
 ▶ 일본군이
            삼군부에 주둔하고, 고종의 경비 병력은 친일 개화파가 통제
 ▶ 1895.11 (음 10)
            춘생문 사건
 - 고종의 최측근과 정동파 관료,
            외국인 등이 군사를 동원하여 고종의 탈출을 시도하지만 실패함
 ▶ 1895 말 을미의병 - 고종은 밀지를 내려 의병 봉기를 유도함
 ▶ 1896.1 말
            서울에 주둔한 부대가 지방으로 파견
 ▶ 1896.2.10
            전국에서 봉기가 일어나자, 러시아 공사관은 자국민 보호를 목적으로
            지원 병력을 받음
          
            ■ 아관파천
 - 고종의 안전과 조선에 대한 일본의 영향력 약화를 목적으로
              함 
 ▶ 1896.2.11 새벽
            정동파 관료와 러시아 공사가 모의하여 실행
 - 고종과
            세자는 궁녀가 타는 가마를 타고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동
 ▶ 러시아 공사관에 도착한 고종은 김홍집 내각 구성원 전부를
              파면하는 명령을 내림 
 - 김홍집과 정병하는 백성들에게 살해되고,
            유길준과 조희연 등은 일본으로 망명하며 친일 개화파 정부는 붕괴함
 - 조선의
            철수 요구에도 일본군은 계속 서울에 주둔
 ▶ 1896.2
            백성들에게 윤음을 발표하여, 궁궐로 돌아갈 것을 알림
 ▶ 1896.5
            러시아 니콜라이 2세 대관식
 - 고종은 민영환을
            특사로 파견하여 러시아에 군사교관 등을 요청
 ▶ 1896.6
            야마가타-로마노프 의정서 체결
 - 러시아와 일본의
            한반도 내 상호 견제 조치로 러시아의 적극적 지원을 받지 못함
 ▶ 민영환은
            13명의 군사고문단과 귀국하여 군사를 훈련함
 ▶ 1896.9
            경운궁 중건
 ▶ 1897.2.20
            고종의 안위가 지켜질 상황이 되자 경운궁으로 환궁
          
            ■ 이후
 ▶ 광무개혁 추진 
 ▶ 1897.10 대한제국 선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