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카이로·얄타·포츠담 회담에서 한국을
            독립시키기로 선언했으나, 구체적 처리 방침은 정해지지 않음
 → 1945
            8.15 광복
 → 1945.12.6~25 모스크바 삼상회의(3국 외상 회의) 
 - 대한민국에 민주 임시정부 수립, 미소
            공동위원회 조직, 신탁통치, 미소 사령부 대표 간 회의 소집을 결정
 → 남한에서
            신탁통치 반대운동이 일어남
          
            ■ 예비 회담 (1946.1~2)
 - 미국은 정치적 문제와 관계없이, 38선을
            철폐하고 전국을 하나로 통합할 것을 주장
 → 소련은
            정치적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 이원적 체제 유지를 주장
 → 사실상
            결렬
          
            ■ 1차 회담 (1946.3~5)
 -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정당·사회 단체 선정에서
            문제 발생
 - 소련은 임시정부 수립 협의에 반탁 운동 단체를 배제할 것을
              주장하고, 미국은 민주주의를 근거로 이에 반대함 
 → 4.5 소련은
            반탁 운동을 했더라도 삼상회의 결정에 지지 성명하는 단체는 협의
            대상으로 하는 양보안을 제안
 → 4.18
            소련의 양보안을 받아들여 미소 공동위원회 5호 성명 발표
 → 4.27
            미국은 5호 성명에 서명해도 신탁통치에 찬성하는 게 아니라는 담화를
            발표하여 반탁 단체의 참여를 유도 
 → 미군정의
            일방적인 담화 발표와 반탁 단체의 대거 참여는 소련을 자극하고, 회담은
            무기한 휴회됨
 → 7.25 좌우 합작 위원회 발족 
 → 1947.3 미국의 트루먼 독트린 발표 
          
            ■ 2차 회담 (1947.5~10)
 → 6.7 협의
            대상 규정문제 합의
 → 7월 초
            정당·사회단체 명부 작성 문제 발생
 - 소련은 친일파·민족 반역자 등을 협의에서 제외할 것을
              제의하고, 미국은 단체 전부를 협의에 포함할 것을 주장 
 → 8월 실질적
            결렬 상태에 이름
 → 미국은 한국 문제를 유엔
            총회에서 논의할 것을 제안하고, 소련은 미국이 협정을 위반하는
            것이라며 반대
 → 9.21
            유엔총회 운영위원회는 한국 문제의 유엔총회 상정안을 가결
 → 10.21
            소련 대표단이 북한으로 떠나며 결렬됨
          
            ■ 이후
 → 1948.4
            남북 협상 추진 - 김구, 김규식은 김일성, 김두봉과 함께
            남한 단독 선거 반대 성명 발표
 → 1948
            5.10 총선거 시행
 → 1948.8.15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