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물산장려운동


경제적 자립과 민족 산업 보호를 목표로 시작되었으나, 물가 상승 등의 문제로 쇠퇴함.

■ 이전
 ▶ 1910.12~ 회사령 시행으로 조선인 기업 설립이 제한되고, 민족 자본의 성장이 억제됨.
 ▶ 1920.4~ 회사령 폐지 후 일본 기업들이 한반도에 대거 진출하며 경제적 침탈이 심화함.

■ 물산장려운동
 ▶ 1920.8 평양에서 조만식 등 70여 명이 조선물산장려회를 발기하며 물산장려운동이 시작됨.
 - '자급자작'을 실천하여 상공업을 발전시켜 경제적 자립과 사회 발전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함. 
 ↘ 자신이 필요한 물품이나 재화를 직접 생산하여 소비하는 것

 ▶ 1922.1 동아일보에서 자급자작을 통한 경제적 자립을 주장
 ▶ 1922.4 조선청년회연합회는 조선인의 산업 발달 기본권을 선언하고,
 - 산업 기술 습득, 조합 조직 강화, 조선산 제품과 상점 이용을 실천 방안으로 의결함.
 ▶ 1922.6 평양 조선물산장려회 창립

 ▶ 1922.10 조선총독부와 대장성이 관세 철폐를 합의하자(1923년 4월 시행), 각 신문·잡지에서 자급자작 운동을 호소하며 물산장려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함. 
 ↘ 대장성은 경제·재정을 담당했던 정부 기관으로, 현재의 재무성에 해당

 ▶ 1922.12 조선청년회연합회에서 표어를 발표하며 운동 분위기를 확산시킴.
 ↘ '내 살림 내 것으로', '‘조선 사람 조선 것' 등
 ▶ 1922.12 자작회가 조직되어 조선산 제품 소비와 생산을 촉진하고, 토지를 지켜 경제적 자립을 이루려 함.
 ▶ 1923.1 서울 조선물산장려회 창립

 - 직물 부문이 호황을 맞았지만 생산 부족으로 가격이 상승했고, 상인들은 이득을 보았으나 소비자 부담이 증가함. 
 - 이에 물산장려회가 소비조합 결성을 시도했지만 실패함.

■ 쇠퇴
 ▶ 1923 여름 이후 열기가 시들해짐.
 - 물산장려운동은 자본과 기술 부족, 일본 자본과의 경쟁력 약화, 조직력 취약 등의 이유로 침체함.

□ 찬성 입장
 ▶ 나공민 등 지식인들은 물산장려운동이 산업을 발전시키고 민족적 단결을 이루며,
 - 무산자의 생활을 개선할 수 있는 반제국주의 운동임을 주장함.

□ 반대 입장
 ▶ 주종건, 이성태 등 사회주의자들은 물산장려운동이 중산계급과 자본가의 이익을 위한 것이며,
 - 노동자·농민에게 실질적인 혜택 없이 계급의식을 약화시키고 경제적 부담만 초래한다고 주장함.




# 참고 자료
중학교 역사2, 금성출판사 2023
중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물산장려운동]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