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1931.9
일본이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 지역을 점령하자, 중국 각지에서 이에 맞선 항일 운동이
일어남.
▶ 1931.11
특히 상하이에서는 일본의 만주 침략을 규탄하는 대규모 시민대회가
열림.
▶ 이에 일본은 항일 운동을 분산시키고, 만주에 집중된 여론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 상하이를 공격함.
🐯 1932.1
이봉창 의사 의거
■ 1차 상하이 사변
□ 일본 승려 폭행사건
▶ 1932.1
상하이에서 일본 승려들이 중국인에게 구타당하는 사건이 발생함.
↘ 실제 범행 주체는 불분명하며 일본의 사주라는
설이 유력
▶ 1.20 이에
일본인들이 항의 시위를 벌이다 중국 경찰과 충돌하면서 사상자가
발생함.
▶ 일본 총영사가 중국 정부에 진상 조사와
보상을 요구했고, 중국이 이를 수용했음에도 일본은 군사 행동을
개시함.
□ 개전
▶ 1.28 상하이 조계를 담당하던 일본군과 중국 19로군 사이에 전투가
시작됨.
▶ 영국과 미국 총영사의 중재로 일시 정전이
이뤄짐.
↘ 상하이는 1, 2차 아편 전쟁을 거치며 국제 조계가
형성되었고, 이곳에서의 전투는 영국과 미국 등 서양 국가들의
이익에도 영향을 미침
▶ 중국은 국제연맹에 일본의 침략 행위를 제소했고, 국제연맹은
사태 조사를 위해 리튼 조사단을 파견함.
□ 상하이 점령
▶ 2.5 일본은
상하이에 병력을 증파하여 전투를 확대하고,
- 3.1
청나라 황제였던 푸이를 내세워
만주국을 수립하며 만주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함.
▶ 1932.3
이어 상하이를 점령하고, 이후 ‘거류민 보호’를 내세우며 정전 협정에
착수함.
🐯 1932.4
윤봉길 의사의 상하이
훙커우 공원 의거로
일본군 지휘부가 큰 타격을 입힘.
▶ 1932.5
국제 연맹의 협정안 채택으로 정전 협정이 체결되고,
▶ 1932.7
일본군은 중국의 반일 운동 단속과 19로군의 교체 및 무장화를 조건으로
상하이에서 철수함.
■ 이후
▶ 1932.9
일본은 만주국을 승인하고 일만 의정서를 체결함.
▶ 1933.2
국제 연맹 총회에서 일본의 만주 침략이 정당하지 않다는 리튼 보고서를
채택하자
▶ 1933.3 일본은 국제연맹을 탈퇴하고, 이후 국제적 비난에도 침략 정책을 더욱 확대해 나감.
□ 중일 전쟁
▶ 1937.7
루거우차오(노구교) 사건을 시작으로
2차 상하이 사변이 발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