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 13C
            몽골의 유라시아 대륙 장악
 ▶ 14C
            원의 통치력 약화
 - 1340~
            반복된 자연재해로 강남 지역에 백련교가 유행
 ▶ 1351
            강남에서 홍건군이 봉기 - 각지에서 개별적으로 원에 적대
            활동
 ▶ 1354 홍건군이
            황허를 넘어 북으로 진출
 ▶ 1358
            원 수도인 베이징을 공략하지만 실패
 ▶ 1359
            두 번째 수도인 상도를 함락
 ▶ 요동의 중심지인 요양을 점령하며 요동 일대가 전쟁 영향권에
              들어감 
          
            ■ 1차 침입
 ▶ 1359.11 홍건적이
            압록강을 넘어와 약탈
 ▶ 1359.12
            4만 홍건적이 의주부터 서경까지 함락
 ▶ 1360.1
            고려군의 반격으로 서경 수복
 ▶ 1360.4
            고려군은 홍건적을 완전히 몰아내고 개경으로 복귀
          
            ■ 2차 침입
 ▶ 홍건적이 간헐적으로 침입하자, 고려는 관료를
            파견하여 홍건적의 반란을 파악
 ▶ 원에 사신 파견,
            정동행성에 관원 배치 등을 통해 원과 공동 대응에 나서며 수비를
            강화함
 ▶ 1361.10
            10만 홍건적의 침입
 ▶ 1361.11 홍건적이 개경을 압박하자 공민왕은 파천을 실행하고, 곧이어
              개경이 함락됨 
 ▶ 공민왕은 파천 후 지방 군사 세력과 연합하여
            반격을 준비
 ▶ 1362.1
            고려군이 개경을 포위
 ▶ 1362.1.18
            전투를 개시하여 개경을 수복하고, 홍건적은 압록강 너머로 도주
          
            ■ 이후
 ▶ 1362.12
            원이 덕흥군을 고려 왕으로 세움
 ▶ 1364
            고려군과 덕흥군 군(원 군대)의 전투에서 최영이 이끄는 고려군이
            승리하며, 고려 왕권은 원의 제약에서 벗어남
 ▶ 1368.9 명에 의해 원의 수도 함락 
 - 원이 북으로 물러간 후 고려는 새로 부상한
            명과 외교적 관계를 정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