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박혁거세

혁거세거서간
재위 기원전 57년부터 서기 4년까지

혁거세는 여섯 촌장의 추대를 받아 사로국을 세움.
내정을 안정시키고 대외적으로도 위신을 세우며 국가 통합에 이바지함.

박혁거세

■ 이전
 ▶ 고조선이 멸망한 후 유민들이 산골에서 여섯 촌락(6촌)을 이루며 모여 살았음.
 ▶ 기원전 69년 어느 날 고허촌의 촌장 소벌공이 양산 나정 근처에서 말을 보았는데, 말은 울며 사라지고 그 자리에 큰 알이 남았고, 그 알에서 박혁거세가 태어남. 
 - 박혁거세가 태어났다고 전해지는  경주 나정 은 1975년에 사적 245호로 지정됨.

 - ? 왕후가 되는 알영은 알영정(경북 경주)에서 용이 나타나 옆구리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짐.

■ 거서간 즉위
 ▶ 기원전 57년 혁거세는 13세에 6부(6촌의 촌장들)의 추대를 받아 거서간으로 즉위하고 국호를 서라벌이라 정함. 
 ↘ 국호 ‘서라벌’은 이후 신라의 수도 경주를 가리키는 명칭이 됨.

 ▶ BCE 50, 28 왜와 낙랑이 침범하려 했으나, 혁거세의 덕과 백성들의 도덕적 생활을 보고 물러남.

 ▶ BCE 41 왕후 알영과 함께 6부를 순행하며 백성을 위로하고 농사와 잠업(누에치기)를 권장함.
 ▶ BCE 37 수도에 금성을 쌓음.
 ↘ 이후 5. 파사이사금이 경주에 월성을 축조하고 거처를 옮김.

 ▶ BCE 20 공물 문제로 마한의 관계가 긴장 상태를 맞이했으나,
 ▶ BCE 19 마한왕이 죽자 혁거세는 공격 대신 사신을 보내 조문함.

 ▶ BCE 5 동옥저에서 혁거세의 인품을 칭송하며 좋은 말을 바침.

■ 이후
 ▶ CE 4 혁거세거서간이 세상을 떠나고, 2. 남해 차차웅이 즉위함.

□ 오릉(사릉) 설화
 ▶ 혁거세가 죽자 시신이 하늘로 올라갔다가 7일 뒤에 유해가 흩어져 땅에 떨어짐.
 ▶ 이에 사람들이 합장하려 했으나 큰 뱀이 막아 다섯 능에 나누어 묻음.
 -  경주 오릉 은 1969년 사적 172호로 지정됨.




# 참고 자료
중학교 역사2, 금성출판사 2023
중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박혁거세]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