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 1917
            러시아 혁명으로
            볼셰비키가 극동 소비에트 정부를 수립하였고, 곧이어 러시아 내전이 발발함.
 ↘ 볼셰비키는 레닌 중심의 사회주의 혁명
              세력
 ▶ 소비에트 정부는 한국인 독립운동가를 지원했고,
              독립운동가들은 지원을 얻기 위해 소비에트에 협력함. 
          
            ■ 한인사회당
 ▶ 1918.4 극동 소비에트 정부의 지원 아래 하바롭스크에서 한인사회당이
              창립되었으며, 
 - 이동휘가 위원장을 맡고 김립, 김알렉산드라
            등이 주요 간부로 활동함.
 - 러시아 지역의
            한인들을 대상으로 선전과 출판 활동을 전개하고,
 - 하바롭스크에
            문덕 중학교를 세워 교육을 지원하는 한편, 사관학교를 운영하여 무장
            독립운동 인재를 양성함.
 - 또한 남만주 지역의
            독립군 세력과의 연계를 시도함.
 ▶ 1918.8
            미국, 일본 등 반소비에트 연합군이 시베리아로 출병함.
 ▶ 1918.9
            연합군의 지원을 받은 백군이 하바롭스크를 점령하면서 극동 소비에트
            정부가 붕괴됨.
 ▶ 이에 한인사회당 인사들은
            블라디보스토크로 이동해 신민당을 흡수하고,
 ↘ 김규면 등이 1918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신민당을
              조직
 ▶ 1919.4 당 대회를
            열어 한인사회당을 재정비함.
 ▶ 1919.9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이동휘는 국무총리, 김립은 국무원 비서장으로 취임함.
 - 1921.1
            연합국이 러시아 봉쇄를 해제하며 러시아 내전이 종료됨.
 ▶ 1920.4
            일본군이 블라디보스토크를 공격하여 한인을 학살한 사건이 일어나자(4월
            참변), 근거지를 옮김.
 ▶ 1921.5 상하이에서 사회혁명당과 결합하여
              고려공산당을
              창당함. 
 ↘ 김철수 등이 1920년 6월 사회혁명당을
              결성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