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 행정: 집사부를 중심으로 10여개의 관청이 담당
■ 지방
            행정: 9주 5소경(지방을 9주로
            나누고, 수도(경주)의 치우침을 보완하기 위해 주요 지역에 5소경
            설치)
■ 군사 제도: 중앙군은 9서당(고구려, 백제, 말갈인 포함),
            지방군은 10정
          
            ■ 태종무열왕 654~
 - 김춘추가 진골 귀족 최초로
            왕위에 오름
 - 유교 정치 이념 수용
 - 집사부를
            독립시켜 시중(집사부의 장)의 역할을 강화, 귀족 회의의 기능을
            축소하여 상대등(귀족 회의 의장)의 권한 약화
          
            ■ 문무왕 661~
 - 삼국통일 달성, 월지 건설(경북
            경주)
 - 나·당 전쟁 때 친당적인 진골 귀족
            축출
          
            ■ 신문왕 681~
 - 김흠돌 숙청, 진골 귀족들의 반란
            진압, 국학 설립(유학 사상 보급)
 -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을 폐지하여 귀족의
            특권을 제한함
 - 6두품이 성장(행정 실무 담당,
            왕의 정치적 조언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