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태조대왕

2. 유리왕의 손자, 국조왕
재위 기원후 53년부터 146년까지

태조대왕은 7세에 즉위해 장기간 고구려를 다스림.
동옥저와 여러 소국을 정복하고 한나라와 전쟁을 벌이며 영토를 크게 넓힘.

태조대왕

■ 출생
 ▶ 기원후 47년 2. 유리왕의 아들과 부여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출생

■ 고구려의 왕으로 즉위
 ▶ 기원후 53년 폭정을 일삼던 5. 모본왕이 암살되자, 나이 어린 왕자를 대신해 일곱 살의 나이로 즉위함. 
 - 즉위 초에는 태후가 수렴청정을 하며 국정을 이끎.

□ 영토 확장
 ▶ 56 태조대왕은 동옥저를 정벌해 국경을 확장하고,
 ▶ 68 갈사국을 항복시켰으며,
 ▶ 72, 74 고구려 5부 중 관나부와 환나부의 패자를 보내 주변 소국인 조나와 주나를 정벌함.

 ▶ 98 이어 동쪽 국경과 새로 확장된 영토를 직접 순시하고,
 ▶ 114 고구려 남쪽 해안 지역까지 돌아보며 국경과 영토를 점검함.

□ 한나라와의 전쟁
 ▶ 121 봄 한나라가 고구려를 침공하자, 태조대왕의 동생 수성이 기만술로 요동과 현도를 기습함.
 ▶ 121 여름 이어 고구려는 선비족과 함께 요대현을 공격해 약탈하고 요동 태수를 죽였으며,
 ▶ 마한·예맥 군과 함께 현도성을 포위했으나 북부여 2만 병력에 대패함.
 ↘ ‘후한서’에 따르면 태조대왕은 121년에 사망하고 동생 수성이 왕위를 이어 한나라와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기록됨.

■ 양위
 ▶ 146 태조대왕은 동생 수성(7. 차대왕)에게 양위하고 별궁으로 물러났으며, 
 ↘ 수성은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웠으나 인자함이 부족하고 왕위를 노리기 시작했음.
 ▶ 차대왕은 즉위 후 충신과 태조대왕의 아들들을 제거함.

 ▶ 165 태조대왕은 119세로 생을 마쳤고, 차대왕이 시해된 뒤 8. 신대왕이 즉위함. 
 ↘ 태조대왕과 형제들의 장수 기록은 ‘삼국사기’의 과장 혹은 왕통 단절을 감추려는 왜곡으로 보이며, 그는 고구려 왕실의 새로운 출발점이 된 인물로 해석됨. 또한 ‘후한서’에 근거해 왕위가 소노부에서 계루부로 넘어갔다는 설과, 계루부 내부에서 왕실이 교체되었다는 설이 공존함.




# 참고 자료
[태조대왕]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