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 1946.3~5
            1차 미소 공동위원회 결렬
 → 1946.6.3
            이승만은 정읍 발언을 통해 남한 단독정부 수립 언급(단정론)
 - 한국민주당을
            제외한 거의 모든 정치 세력은 반대하고, 미국 정부와 미군정도 지지하지
            않음
 → 미군정은 중도 좌파 여운형과 중도 우파
            김규식에게 좌우 합작을 제안
          
            ■ 좌우 합작 위원회
 → 7.25 하나의 임시 정부 수립을 목표로 좌우 합작 위원회
              발족 
 → 좌익 인사들은 합작에 회의적이었고, 여운형은
            이를 설득하기 위해 북한을 방문하여 김일성 등을 설득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함
 → 1946.10.7 좌우 합작 7원칙 발표 
 - 통일 임시 정부 수립, 유상 매입과 무상 분배
            원칙하에 토지 개혁, 반민족 행위자 처벌 등
 → 우익은
            친일 반민족 행위 처벌 문제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좌익은 무상
            몰수·무상 분배의 토지 개혁과 친일파 즉각 청산을 요구하며 반대
 → 미군정은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창설하고, 좌우 합작 위원회 지원을 점차 축소함
 - 의원의
            과반수는 선거를 통해 선출했으며, 좌익세력의 참여 거부로 우익세력이
            다수 당선됨
 → 1947.3~7 미국의 대외정책 변화 (트루먼 독트린, 봉쇄 정책 등으로 공산주의 팽창을 억제)로 좌우 합작
            운동은 지원을 받지 못함
 → 1947.5~10
            2차 미소 공동위원회가 다시 결렬되며, 남북 통일 정부 수립 가능성은
            더욱 희박해짐
 → 1947.7 여운형이 암살되며 좌우 합작 운동은 사실상 중단 
 → 1947.12
            좌우 합작 위원회 해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