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조선형평사

형평사

진주에서 백정 차별 철폐와 평등 사회 구현을 목표로 설립됨.
반형평 운동과 내부 분열 등을 겪으며 전국전인 사회단체로 성장함.
하지만, 점차 이익단체로 변질되면서 일제에 협력하는 방향으로 변화함.

■ 형평운동의 등장
 ▶ 1894 갑오개혁으로 신분제가 폐지되었으나 백정에 대한 차별은 이어짐.
 ▶ 1896 호구조사규칙 반포로 백정도 호적이 등재되었지만, 차별은 계속됨.
 ↘ 모든 국민을 호적에 등재하여 공식적인 신분을 부여했지만, 자신의 작업을 기재해야 함.
 ▶ 1896 관민공동회(만민공동회)에서 백정 박성춘이 연설함.
 ▶ 이후 백정들은 근대 교육을 받아 전문직에 종사하거나 사회운동에 참여하며 점차 권리를 확대해 나감.

 ▶ 1910s 진주를 중심으로 백정들은 도살업 종사자들의 권익을 위한 모임을 가짐.
 - 1922 일본에서 부라쿠민 차별 철폐 운동이 발생했고, 이는 조선형 평사 설립에 영향이 있었으리라 추정

■ 조선 형평사 설립
 ▶ 공사립학교에서 백정의 아이를 입학 거부한 일이 발생하자,
 ▶ 1923.4 진주의 지식인과 경제력을 갖춘 백정들이 주도하여 차별 철폐와 평등 사회 구현을 목표로 조선 형평사를 결성함. 
 ▶ 선전 활동과 언론, 재일사회단체·노동공제회 등의 지지를 받으며 전국으로 확산함.

□ 반형평 운동과 내부 갈등
 ▶ 1923.5 형평사 창립 축하식이 열렸고, 다음 날 농민들이 진주 형평사를 습격함.
 ▶ 이후 전국에서 반형평 시위, 백정 폭행 사건, 백정들에게 신분 표시 강요 등 차별이 이어짐.
 - 백정은 일제에 의한 민족차별과 조선인들에 의해 사회적 차별을 받음.

 ▶ 1924 그럼에도 불구하고 형평사는 전국에 80개의 조직을 구축하며 성장함.
 ▶ 1924.2 형평사는 본사 이전과 운동 노선을 두고 ‘서울파(혁신파)’와 ‘진주파(보수파)’로 세력이 나뉨.
 - 백정 출신을 중심으로 한 ‘서울파’는 사회주의 계급 운동과 연대를 주장했지만,
 - 비백정 출신이 중심의 ‘진주파’는 단결을 통한 해방운동을 주장함.

□ 사회운동 단체로 성장
 ▶ 형평사의 분열은 반형평 운동을 계기로 통합을 이루었으며, 본부를 서울로 이전하고 조직을 개편함.
 - 이 과정에서 서울파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직업적 활동가와 외부 지식인들이 합류함. 

 ▶ 1925.8 예천청년회장의 차별적 발언을 계기로 형평사원들이 군중에게 공격당하는 사건이 발생했지만,
 ▶ 이후 형평사는 조직을 확대하고 사회운동 단체들의 지지를 받아 전국적인 사회운동 단체로 성장함. 

 ▶ 1927 서울파가 고려공산당 사건에 연루되어 투옥되자, 하위단체에 활동하던 젊은 급진세력이 형평사를 주도함.
 ▶ 1930s 사회주의 세력이 새로운 계급 중심 조직을 만들자는 ‘해소론’을 제기했지만, 형평사는 유지하기로 함.
 ▶ 1933 형평청년전위동맹 사건으로 급진세력이 몰락하고, 진주파가 다시 지도세력으로 부상함. 
 ↘ 일제가 청년회원들을 공산주의자로 조작한 사건

■ 이후
 ▶ 1935 형평사는 ‘대동사’로 개칭하고,
 ▶ 이익단체로 변질되어 일제에 협력하는 방향으로 변화함.




# 참고 자료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조선 형평사]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