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조선의용대


김원봉을 중심으로 중국 계림에서 창설된 최초의 한중 연합부대로 정치선전 활동을 함.
이후 화북 지역으로 이동하여 팔로군과 연계해 본격적인 무장 항일 투쟁을 전개함.
한국광복군으로 합류하는 세력과 중국 공산당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세력으로 나뉨.

■ 배경
 ▶ 1937.7 중일 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 1937.9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간 2차 국공합작이 이루어짐.
 - 민족혁명당(1935)의 김원봉은 중국인들에게 합작을 주장하며 협력을 이끌어냄.

■ 조선의용대
□ 계림(구이린)에서의 활동
 ▶ 1938.10 한중 연합군대인 조선의용대가 창설되어 
 ▶ 1938.11 계림에 대본부를 둠.
 - 장제스의 중국군사위원회 산하에서 국민당의 지원과 지역 군벌, 중국 공산당의 지원을 받음.
 - 대일·대중국인 선전 임무를 맡아 무장 정치선전대로 활동하고, 기관지 ‘조선의용대통신’를 발행함.
 ↘ 조선의용대의 활동과 한중 연대를 담아내며, 정치적 토론과 선전 등을 통해 항일투쟁을 전개한 기관지

 ▶ 1939.10 중국 국민당의 소극적인 항일 투쟁으로 이내 다수 병력이 화북으로 북상을 시작함. 

□ 화북(화베이)에서의 활동
 🌍 1941.6 2차 세계대전 중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며 공산주의 세력에 위기가 발생함.
 ▶ 1941 여름 조선의용대는 조선 민중과 함께하며 조선 청년들을 모으기 위해 화북 지역의 팔로군 근거지로 이동함.
 ↘ 팔로군(제8로군)은 중국 공산당이 통제하는 독립부대

 ▶ 1941.7 화북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하던 조선인들과 함께 별도로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를 창설함. 
 - 무장 선전과 간부 양성에 힘쓰며 항일활동을 전개함.
 - 호가장 전투(1941.12)와 반소탕전(1942.5)에서 팔로군과 함께 일제와 전투를 펼침.
 🌏 1941.12 태평양 전쟁 발발로 강대국들이 일본과 대립하게 됨.

□ 조직 재편
 ▶ 1942.5 김원봉 등 일부는 한국광복군으로 합류하고, 
 ▶ 1942.7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는 중국 공산당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조선의용군 화북지대 개칭함. 




# 참고 자료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조선의용대]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