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조선어학회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반포해 한글 표기 체계를 정립함.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활동이 중단되었지만, 광복 후 국어 정비와 사전 편찬을 이어감.

■ 배경
 ▶ 1910.8 경술국치
 - 조선총독부는 일본어를 ‘국어’로, 한국어를 ‘조선어’로 격하시켜 일본어 중심의 교육 정책을 시행하고,
 - 한글은 일본어 보급의 도구로 취급하여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방식을 사용함. 

□ 조선어 연구회
 ▶ 1921 주시경의 제자들이 조선어 연구회를 조직해서 조선어 철자법을 연구·보급하고 ‘한글’을 간행함.
 ▶ 1926~ 한글날을 제정해 기념식을 개최했으며,
 ▶ 1929 조선어사전 편찬회를 조직하고,
 ▶ 1930.12 총독부 철자법이 아닌 독자적인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기로 결의함.

■ 조선어학회
 - 단순한 언어 연구를 넘어,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고 민족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동함.
 ▶ 1931 조선어학회로 개칭하고, 외래어 표기법 통일을 위한 협의회를 구성함.
 ▶ 1933.10 표준말 원칙과 세부 표기 규정을 담은 ‘한글 마춤법 통일안’을 반포함. 
 ↘ 현대 한국어 맞춤법과 표준어의 기본 틀을 마련

□ 일제의 탄압
 ▶ 1935 조선총독부는 조선어학회가 조선일보, 동아일보, YMCA 등과 연계하던 운동을 금지함.
 ▶ 1936.10 한글날 기념식에서 표준어 어휘집인 ‘조선어 표준어 사정안’을 발표되었으나, 안창호의 발언으로 경찰이 개입하면서 행사가 중단됨.
 ▶ 1937.6~ 수양동우회 사건(흥사단 관련)으로 학회 인사들이 검거되고,
 ↘ 조선총독부가 수양동우회의 영향력을 우려해 탄압하고, 일부 민족운동 인사를 전향시킴.
 ▶ 1938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학회 인사들이 퇴직당함.
 ↘ 흥업구락부는 이승만의 독립혁명동지회와 연관

 ▶ 1939 조선어학회는 명맥 유지를 위해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산하로 들어감.
 ▶ 1940 ‘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발간하고,
 ▶ 1940.3 조선총독부에 ’조선어 대사전‘ 출판을 신청해 조건부 허가를 받음.
 ▶ 1940.6 한글 음운에 기반한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을 발표하고,
 ▶ 1941 일제의 허가를 받아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을 책자로 발간함.

□ 조선어학회 사건
 ▶ 1942.10~1943.4 일제는 조선어학회 회원 31명을 내란 혐의로 검거하고, ‘조선어 대사전’ 원고를 압수함. 
 - 조선어학회는 3.1 운동·신간회·임시정부 등 다양한 민족운동 인사들이 모여있었음.

■ 광복 이후
 ▶ 1945 조선어학회가 재건되어 국어 표기법 정비와 교육 기반을 마련하고, ‘조선어 대사전’ 편찬 재개와 ‘우리말 도로 찾기’ 운동 등을 통해 조선어는 다시 ‘국어’의 지위를 되찾게 됨. 
 ▶ 1947~1957 조선어학회는 총 6권의 ‘조선말 큰사전’을 간행하고,
 ▶ 1949.10 ‘한글학회’로 개칭함.

 ▶ 2004~ 남북공동 ‘겨레말큰사전’ 편찬의향서 체결




# 참고 자료
중학교 역사2, 금성출판사 2023
중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조선어학회]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