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즉위 이전
 → 1595
            정원군과 인헌왕후 사이에서 출생
 → 1622
            반정을 계획하지만, 실패
 → 1623
            실패한 반정이 누설되어 위기에 처하자, 거사를 실행 - 인조반정 
          
            ■ 즉위 이후
 → 1623
            즉위 → 서인·남인을 등용하고, 친명배금 정책 추진 
 → 1623
            강원도·충청도·전라도에 대동법 확대 실시 → 1625
            충청도·전라도 대동법 폐지
 → 1623~1627
            호위청·어영청·총용청·수어청을 신설·재편하여 5군영 체제의 기초
            마련
 → 1624
            이괄의 난 - 관군에 의해 제압
 → 1627.1 정묘호란 - 후금과 화친을 맺으며 반정의 명분을 거스르게 됨
 → 1634~1635
            경상도·전라도·충청도(삼남지역)에 양전을 실시
 → 1635 영정법을 시행하여 세수를 증가시키고 세율을 감하 
 → 1636.12 병자호란 - 인조·세자 일행은 남한산성에 입궁하여 40일간 고립되어
            항전
 → 1637.1
            삼전도에서 삼배구고두례를 행함
 → 1645.1
            소현세자 귀국 → 1645.4
            사망
 → 1646
            강빈옥사 - 소현세자의 부인이 인조를 독살하려 했다는
            의혹을 받아 사사
 → 1649
            승하, 묘호 ‘인조’
          
